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환상의 짝꿍 공생 없인 못살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박테리아 친구들을 만나서 자세히 알아보자!박테리아야, 고마워!안녕? 너희의 몸에
100
조~
100
0조 개나 살고 있는 박테리아라고 해. 사람의 세포수가 약 60조 개니까, 사람의 세포보다 훨씬 많은 어마어마한 숫자지. 머리부터 발끝까지 피부는 물론 사람의 장에도 엄청난 수의 박테리아가 살고 있어.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일본 방사능에서 벗어나는 법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좋다. 한 사람의 몸속에 쌓아둘 수 있는 요오드의 양이 정해져 있기 때문이다.요오드127을
100
~200mg(밀리그램,
100
0mg=1g) 먹으면 요오드131이 쌓이는 것을 98%까지 막을 수 있다. 요오드127은 미역이나 다시마 같은 해조류에 많이 들어 있다. 말린 다시마 40g를 먹으면 24시간 동안 요오드131이 몸속에 쌓이는 ...
PART 3 수학공부에도 효과 톡톡!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의사소통 능력에도 도움 돼저는 보드게임을 좋아해서 하나둘씩 모으다 보니
100
개가 넘는 보드게임을 갖고 있어요. 처음에는 제가 좋아해서 모았는데, 보드게임을 하다 보니 학생들과 수업할 때도 쓰면 좋겠다고 생각했죠.보드게임의 가장 좋은 점은 무엇보다도 재미가 있다는 거예요. 저도 ... ...
PART 1. 왜 수학시간에 전자계산기를 쓰려고 하지?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이보다 작은 수를 사용한다.예를 들어 통계 분야를 보면 교과서에서는 대상을 주로
100
명 수준에서 분석한다. 하지만 실제로 보통
100
0명 이상을 다루며, 국가 수준에서는 수십만 명에서 수천만 명까지 다룬다. 현재는 무늬만 실생활 교과서인 셈이다. 많은 성인들이 학교에서 어렵게 배운 수학을 ... ...
2011 한국수학올림피아드 1차 시험 대비법 수학 최고수라면 도전하라!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현재 세계 최강은 중국이다. 그 뒤를 러시아와 미국이 잇고 있고, 바로 뒤가 한국이다.
100
여 개 IMO 참가국 중 4위인 셈이다.우리나라가 이렇게 수학에 강한 이유에는 높은 교육열이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교육 환경이 비슷한 일본보다도 잘한다. 대만과 싱가포르, 홍콩은 학생 평균 수학실력이 ... ...
Intro. 화학-지구촌 구할 녹색 해결사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확대해 나가고 있다. [‘2011 세계 화학의 해’는 퀴리부인의 노벨화학상(1911년) 수상
100
주년을 기념해 선정됐다.] 한국도 1999년부터 책임보호운동 참여그러나 지난 세기 후반부터 화학에 대한 대중의 이미지는 악화일로를 밟아왔다. 특히 미군이 베트남전쟁(1960~ 1975년)에 사용한 화학무기와 ... ...
Part 1. 방사능 논란, ‘저선량 방사선’이 문제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일으키려면 하루 2000mSv 정도의 방사선량은 돼야 가능하다”며 “태아도 전신에 최소
100
mSv 정도를 받아야 기형 같은 의학적인 문제가 생긴다”고 말했다.하지만 반대 의견도 있다. 방사선량이 낮다고 해서 마냥 안전하다고 말하기에는 불확실한 점이 많다는 의견이다. 먼저 인체에 대한 연구이기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8년 효율이 7%가 넘는 세계 최고 수준의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광자
100
개를 받으면 7개의 전자를 내놓는다는 뜻이다. 2010년에는 2.4m×1.4m의 대형 패널도 개발했다. 패널을 만들 경우 효율은 5.5~5.8%가 된다. 고 교수는 “차세대 태양전지인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반도체와 ... ...
“나를 키운 건 8살짜리 궁금증”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그는 자라서 세계적인 과학철학자가 됐다. 동아일보 창간 기념 ‘10년 뒤 한국을 빛낼
100
인’에 선정된 장하석(44) 영국 케임브리지대 과학철학·과학사학과 교수다. 부모님을 만나기 위해 잠깐 귀국한 장 교수를 4월 5일 서울 인사동에서 만났다.최재천 이화여대 교수는 동아일보에 쓴 글에서 장 ... ...
맥스웰의 도깨비를 찾아서 “아는 것이 힘이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100
개가 양쪽에 50개씩 존재하는 경우의 수는
100
!/(50!50!)으로 대략 2
100
이므로 엔트로피는
100
kBln2(=kBln2
100
)이다. 모두 한 쪽에 있는 경우는 한 가지뿐이므로 엔트로피는 0이다. 엔트로피는 줄어들지 않으므로 공이 한 쪽으로 몰리는 일은 일어날 수 없다는 뜻이다.열 ...
이전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