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사상 최악의 지진해일…일본이 울었다과학동아 l2011년 04호
- 0m 수심에서 비행기와 같은 시속 800km다. 수심 500m에서는 고속 열차 속도인 시속 250km, 수심 100m에서는 자동차와 같은 시속 110km, 해안가에서 파고가 10m일 때는 36km 정도다. 하지만 지진해일파의 속도는 지형의 형태나 높이, 파동이 들어오는 방향 등에 따라 달라진다. 이번처럼 자동차가 전속력으로 ... ...
- 우울증, 거식증도 미국이 팔았다과학동아 l2011년 04호
- 2008년 일본의 우울증 환자는 100만 명을 넘어섰다. 작년 5월 일본 정신신경학회 등 4개 학회는 공동으로, 우울증은 암이나 심장병만큼 국민 건강을 위협한다며 우울증을 ‘국민병’으로 규정했다. 일본에 왜 우울증 환자가 많을까. ‘미국처럼 미쳐가는 세계’에서 저자인 에단 와터스는 “미국의 ... ...
- 과목별 핵심 단원부터 정복하라과학동아 l2011년 04호
- 조건(수학 가 1등급+나머지 3개 영역 중 1개 영역 1등급)에 해당하는 학생들을 논술 100% 전형으로 선발하며 논술 비중과 영향력을 크게 높였다. 타 학교 중복합격으로 인한 미등록 인원과 수능최저등급을 충족하지 못한 인원이 정시로 이월돼 결과적으로 전체 모집 정원의 49%에 해당하는 1865명을 ... ...
- 천체망원경 제작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1년 04호
- 달리해 망원경을 제작했으며, 사용한 렌즈의 구경은 다 같으며 초점거리만 다르다.(구경 100mm만 제외) (…중략…) 4. 실험과정 ① 접안렌즈와 대물렌즈로 사용할 렌즈들의 초점거리를 측정한다. ② 빛의 출입을 막기 위해 검은 종이를 잘라 원통형 안쪽에 붙인다. ③ 같은 방법으로 세 개의 원통을 감싼 ... ...
- Part1. 원전 사고 5가지 핵심 쟁점과학동아 l2011년 04호
- 10초 만에 나왔다고 가정하면 이 사람이 받은 방사선량은 0.009mSV다(3.244/360초). 만약 100초(1분 40초) 동안 우왕좌왕하다 나왔다고 해도 0.09mSV가 된다. 이 정도는 1년 동안 일반인 1명이 쐬는 방사선량인 1mSV의 10분의 1 수준이다.게다가 이미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종종 이보다 높은 방사선에 노출되곤 한다. .. ...
- Part2. 꿈의 기술? 아직 피지 못한 꽃?과학동아 l2011년 04호
- 현재 상용화를 눈앞에 두고 있다. 지난 2005년 한국전기연구원과 LS전선은 길이가 100m인 22.9kV(킬로볼트)급 고온 초전도 케이블을 공동개발해 2007년에는 실증 시험도 완료했다. 올해는 한국전력과 LS전선이 경기도 이천의 변전소에 길이 500m인 22.9kV급 고온 초전도 케이블을 설치해 실개통 적용 실증 ... ...
- 서울에서 즐기는 과학나들이과학동아 l2011년 04호
- 경험할 수 있는 ‘사진과 미디어로 만나는 빛의 그림’ 영역을 비롯해 총 9개 영역과 100여 개 이상의 전시물을 체험할 수 있다. 종로와 서대문 인근에는 박물관이 많다. 이중 자연과 과학, 기술의 역사를 알 수 있는 곳을 선정해 박물관 탐사코스를 만들었다.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 ...
- 제10회 전국 학생 산업.기술.과학 논술대회과학동아 l2011년 04호
- 지정도서를 읽고 작성하면 된다.중·고등부 대상 수상자는 지식경제부 장관상과 상금 100만 원, 금상은 포스코 회장상과 상금 70만 원이 수여된다. 초등부 대상 수상자는 동아일보 사장상과 상금 50만 원, 금상은 포스코 회장상과 상금 30만 원이 수여된다. 대한민국 최대 규모인 전통의 전국학생 ... ...
- 광펌핑 세슘원자시계 KRISS-1과학동아 l2011년 04호
- 배 가량 정밀한 시계를 만들 수 있다는 뜻이다. ‘은’도 주목받는데, 세슘원자시계보다 100배 더 정확하게 만들 수 있다. 은원자의 고유 진동수가 450조 번이나 된다.은이나 스트론튬으로 시계를 만들려면 마이크로파가 아닌, ‘팸토초 모드록 레이저’라는 특정한 빛을 내는 레이저를 개발해야 한다 ... ...
- 생명의 기원, DNA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1년 04호
- 기본 구조는 DNA와 히스톤 단백질의 복합체인 뉴클레오솜(nucleosome)인데 그 크기가 100Å로 매우 작다. 따라서 전자현미경으로만 뉴클레오솜이 사슬 모양으로 연결된 구조를 관찰할 수 있다. 평상시에는 염색질의 형태로 풀어져 존재하다가 세포가 분열하는 시기가 되면 응축해 염색체가 된다. ... ...
이전3413423433443453463473483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