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30% 선발”과학동아 l2011년 03호
- 과외 활동을 경험하도록 장려한다.졸업생 현황은 어떻게 되는가?올해 졸업생 106명(2학년 100명, 3학년 6명)중 서울대에 28명, KAIST에 48명, 포스텍에 26명, 연세대에 16명 합격했다. 해외보다는 국내 대학에 대다수 진학한다.경기과학고 입학을 희망하는 과학동아 독자들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 ...
- 프로그래밍을 대하는 자세과학동아 l2011년 03호
- 마에스트로’라는 IT인력 양성 프로그램에서 학생들과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100명을 선발해서 1년 6개월 가량 스파르타식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해, 최종적으로 10명 내의 인원에게 정부 인증서를 발급하고 창업지원 혜택을 주는 프로그램이다. 우리 팀은 6명이 협력해 그래픽 카드의 ... ...
- Part 1. 데이터 과학, '소셜'을 분석하다과학동아 l2011년 02호
- 논문이 발표됐다는 소문 때문이다. 정하웅 KAIST 물리학과 교수팀이 발표한 미국 상원의원 100명의 네트워크 지도가 그것. 지도에는 2006년 5월 미국 상원의 상황이 마치 X선 사진처럼 고스란히 담겨 있다.지도를 보면 존 케리 민주당 의원과 존 매케인 공화당 의원이 각각 다른 세력의 중심 인물로 ... ...
- 태양이 쓰고 있는 불꽃 왕관의 비밀과학동아 l2011년 02호
- 태양이 쓰고 있는 불꽃 왕관인 ’코로나‘는 실제로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는 태양보다 더 뜨겁다. 이 원인이 처음으로 밝혀졌다.미국 록히드마틴 태 ... 온도가 2만~10만K 정도인데 부분에 따라서는 100만K를 넘는다”며 “플라스마가 초속 100Km의 빠른 속도로 코로나까지 솟구친다”고 밝혔다 ... ...
- 인간단백질 지도사업 이끈다과학동아 l2011년 02호
- 불린다.백 교수는 “인간의 유전자 수를 2만~2만 5000개로 보고 있는데 단백질의 종류는 100만 가지 이상으로 추정한다”며 “지노믹스(유전체학)를 연구하는 데 10의 노력이 필요하다면 프로테오믹스는 1000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인간단백질 지도사업은 국제 협력 없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한 백 ... ...
- [life & tech] 세척사과 정말 먹어도 되나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있다. 가장 강력한 후보는 ‘마이크로 버블 세척’이다. 지름이 1~수십 마이크로미터(1μm=100만분의 1m)의 미세한 기포로 식품을 세척하는 방식이다. 먼저 물과 공기를 혼합한 다음 펌프로 높은 압력을 줘 물속에 미세하게 녹은 기포를 만든다. 수도관안에 공기가 들어가면 갑자기 수돗물 수압이 세지며 ... ...
- 100m를 단번에 오르는 에스컬레이터수학동아 l2011년 02호
- 구성이 복잡하고 무거운 구조물을 지지해야 한다. 그런데 이번에 공개된 에스컬레이터는 100m 높이까지 하나로 연결돼 더 가볍다.실제로 이 에스컬레이터를 만들고 있는 독일의 ‘헬릭사터’ 사는 에스컬레이터의 속도와 나선의 지름을 최적화해서 사람들이 돌면서 올라가는 중에 어지러움을 느끼지 ... ...
- Part 2. 5년간 성장한 왓슨 vs 제퍼디 퀴즈 영웅수학동아 l2011년 02호
- 알 수 있을 것 같다.이번 대결에 걸린 상금 또한 어마어마하다. 대결에서 우승하면 100만 달러(약 11억 2000만원), 2등은 30만 달러(약 3억 3000만 원), 3등은 20만 달러(약 2억 2000만 원)를 받는다. 왓슨은 상금 전액을 기부할 계획이고 제닝스와 러터는 상금의 절반을 기부할 예정이다. 켄 제닝스 출생 197 ... ...
- 기호를 알면 도서관 책이 보인다.수학동아 l2011년 02호
- 혼돈에서 출발한다는 의미에서 특정 학문이나 주제에 속하지 않는 분야를 모았다. 100은 혼돈에서 질서를 찾기 위한 이성의 노력을 담은 철학을, 200에서는 유한한 인간이 절대적인 신을 숭배한다는 뜻에서 종교를 담았다. 300에는 인간이 가족과 사회, 국가를 형성하는 데 필요한 사회학을, 400에는 ... ...
- 오일러가 사랑한 수 e수학동아 l2011년 02호
- 살아 있는 동안 논문이나 책을 연평균 약 800페이지씩 쓴 셈이다.e라는 수의 개념은 약 100년 이상 앞서서 로그가 발견된 이래로 이미 잘 알려져 있었으나 이것을 나타내는 표준 기호는 없었다. 오일러는 1727년에 러시아에 도착했는데, 그때 그는 대포의 발사실험을 시작했다. 그가 1727년 또는 1728년에 ... ...
이전3453463473483493503513523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