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혜초 따라 실크로드 걷다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우연인 듯 필연인 듯 그 소중하고 대단한 가치를 알아본 것이다. 왕오천축국전은 100년이 넘는 세월 동안 프랑스국립도서관에 소장돼 공개되지 않다가 마침내 한국에 왔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의 ‘실크로드와 둔황’ 특별전에 전시돼 있다. 앞뒤가 잘려 일부만이 남아 있지만 글을 읽을 수 있을 ... ...
- neutrino 중성미자 경쟁, 한국이 1등 할까?과학동아 l2011년 02호
- 반물질인 양전자는 곧바로 전자와 쌍소멸해 빛을 발한다. 중성자는 약 200μs(마이크로초, 100만 분의 1초) 뒤 수소 원자에 잡혀 빛을 낸다. 이 빛을 광센서로 관측해 중성미자를 검출한다. 김수봉 교수는 “원리는 50년 전과 비슷하지만 섬광액체가 예전보다 화학적 특성이 좋아졌으며 개선된 광센서를 ... ...
- Part 2. 숙주 특이성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오른쪽이 리노바이러스(감기바이러스)로 매우 닮았다.][인플루엔자바이러스-지름이 100nm 정도이고 캡시드단백질을 지질막이 감싸고 있는 구조다. RNA게놈은 8개의 조각으로 나눠져 있다. 전자현미경으로 볼 수 있지만 결정화가 안 되기 때문에 구제역바이러스처럼 원자 차원의 구조는 알 수 없다. ... ...
- [hot science] 얼짱 몸짱 마법의 주사는 없다?!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성인을 기준으로 한 번에 5병 이상 주입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보톡스 1병에 든 양을 100으로 봤을 때 시술에 사용하는 양은 20~30 밖에 되지 않는다. 필러도 지나치게 넣으면 외관상 부자연스러워지지만 일정 시간이 지나면 흡수돼 큰 위험이 따르지 않는다. 보톡스나 필러를 넣고 부작용을 겪는 ... ...
- 올 여름엔 김떡과 아이스떡볶이 맛볼까과학동아 l2011년 02호
- 비교적 오래 보관할 수 있는 떡은 노화가 더딘 찹쌀로 만든 찹쌀떡이다. 아밀로펙틴 100%로 이뤄진 찹쌀 전분은 멥쌀 전분(아밀로펙틴 80%, 아밀로오스 20%)보다 비교적 오랫동안 부드럽다. 전분을 구성하는 성분 중 긴 사슬 모양인 아밀로오스가 나뭇가지 모양인 아밀로펙틴보다 빨리 노화하기 ... ...
- 공항에서 소시지를 빼앗는 이유는?과학동아 l2011년 01호
- 식품이기 때문에 안전하다고 생각하곤 한다. 하지만 호주 등 구제역 비발생국의 식품도 100% 믿기는 어렵다. 중국, 베트남처럼 구제역이 자주 발생한 나라의 육가공품은 특히 위험하다. 우선, 원료가 의심스럽다. 구제역에 걸린 소나 돼지를 이용해 제품을 만들었을 수 있다. 건강한 가축을 가공해 ... ...
- 김필립 교수는 정말 억울하게 노벨상을 놓쳤나과학동아 l2011년 01호
- 탄생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안데르손 부총장은 최근 한국 정부가 20~30대 신진과학자 100여명에게 5년간 일자리와 연구비를 제공하는 ‘노벨 과학상 프로젝트’를 시작한 데 대해 “젊은 과학자의 연구를 지원하면 매우 창의적인 주제가 나올 것”이라면서 “한국의 첫 노벨상 배출에 도움이 되는 ... ...
- 2단계 수학·과학능력 필수 대비과학동아 l2011년 01호
- 있다. 2010학년도 입시에서부터 입학사정관 전형을 도입해, 2011학년도 입시에서는 100%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선발했다. 1단계 서류평가, 2단계 과학캠프를 실시했다. 과학캠프에서는 지원자의 기초 학습능력을 점검하기 위해 수학·과학 종합사고력 평가를 실시했다. 또 전반적인 인성을 보는 면접을 ... ...
- PART 2-1. 째깍째깍, 수학으로 가는 시계수학동아 l2011년 01호
- 보내는 정보라 약 수십 미터 정도의 오차는 생길 수밖에 없어. 위성에서 1마이크로초(100만 분의 1초)만큼 오차가 생겼다면 지구 안의 위치정보는 300m 정도 틀린다고 해. 하지만 자동차 내비게이션은 이런 단점을 극복하며 발전했어. 바로 위치정보와 지도정보를 함께 사용하는 특효약을 처방했거든 ... ...
- Intro. 클락, 이러다 클나!수학동아 l2011년 01호
- 시각에서 또 다른 어떤 시각까지의 사이를 말한다. 예를 들어 100m달리기의 기록은 ‘100m를 뛰는 데 걸린 시간’을 말한다. 초시계와 같이 특정한 ‘시간’을 *측정하는 도구도 있다. *측정일정한 양을 기준으로 양의 크기를 재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자로 길이를 재거나, 저울로 무게를 재는 ... ...
이전3473483493503513523533543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