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요리조리 꼼꼼 자연을 그린 그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5호
- 아트센터100년 뒤, 새로운 세잔의 풍경화이번엔 컨스터블과 프리드리히의 시대로부터 100년을 건너뛰어 볼까요? 지난 ‘그림 속 과학’에 소개된 20세기 정물화의 대가 세잔도 풍경화를 남겼거든요. 세잔은 색채나 공간을 교묘하게 구성해 새로운 풍경화를 탄생시켰어요. 예를 들면 멀리 있는 산을 ... ...
- 곰팡이에 대한 오해와진실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4호
- 균사끝에는 곰팡이의 씨앗인 포자가 주렁주렁 매달려 있단다. 포자는 아주 작아서 포자 100개가 일렬로 줄을 서도 1㎜도 되지 않아. 정말 신기하지?버섯도 곰팡이라고?흔히 버섯과 곰팡이는 전혀 다른 생물이라고 생각하지만 버섯도 곰팡이야.마치 매미가 오랜 시간을 땅 속에서 살다가 여름 동안만 ... ...
- 나로호 2차 발사 실패, WHY ?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3호
- 밸브를 여닫는 등의 역할을 해. 9일에는 소방 시설이 잘못 작동해 소방 호수 3개가 약 100톤 가량의 소화액을 나로 호에 뿜어 버렸어. 그것도 발사 3시간 전에 말이야. 결국 발사 날짜를 하루 연기할 수밖에 없었단다.6월 7일 오후 4시1단 로켓의 지상관측시스템과 발사대 사이의 전기신호 불안정으로 ... ...
- 단원편식증을 이겨 내자!수학동아 l2010년 12호
- 푸는 문제는 자신 있어요! 하지만 계산 문제만 나오면 자신이 없어져요.단원평가에서 100점을 받으면 엄마가 칭찬을 많이 해주세요. 그런데 도형관련 단원은 70점을 못 넘어 혼나기 일쑤예요.문장제 문제는 어떻게 풀어야 할지 잘 모르겠어요. 스스로 못 푸는 문제가많아지니 점점 싫어하게 돼요 ... ...
- 이런 수학문제 봤나요?수학동아 l2010년 12호
- 답안 계산하기 편하게 새 경찰차가 단위시간 1h당 100km를 간다고 하자. 즉 새 차는 100km/h, 헌 차는90km/h로 이동한다. 이때 경찰관은 ‘도둑은 1h 이내에 차를 훔쳐 우측으로 갔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도둑은 현재 우측으로 0km 초과, 90km 미만의 어느 지점에 있을 것이다. 새 차와 헌 차의 상대 속도는1 ...
- 브누아 만델브로과학동아 l2010년 12호
- IBM의 토마스 왓슨 연구소였다. 기업 연구소가 변경인의 안식처로IBM은 지금도 매출 100조 원이 넘는 거대한 글로벌 기업이지만, 20세기 중반 산업계에서의 무게감은 지금보다 훨씬 컸다. 미국의 컴퓨터 시장을 장악한 대기업으로서 연구개발 활동에 적극적이던 IBM은 기초과학부터 응용공학에 ... ...
- 3차 나로호에 실릴 인공위성 공개과학동아 l2010년 12호
- 송·수신 기능만 갖춰 발사체의 궤도진입 성공여부를 확인할 때 쓰는 위성이다. 무게 100kg, 높이 약 1m인 소형위성으로 통상 임무수행기간이 3주밖에 되지 않는다. 이번에 사용할 검증위성은 2005년 항공우주산업이 제작해 KAIST 인공위성센터가 보관 중이다.연구센터가 개량할 검증위성은 1년 이상 ... ...
- 기준에 맞춰 모여! 모두 집합!수학동아 l2010년 12호
- 1학년 과정까지 수와 연산에 대한 교육과정은 모두 연결됩니다. 초등학교 1학년 때는 100까지의 자연수 범위에서 수를 이해하고, 2학년 때는 1000까지의 수와 두 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 곱셈을 공부합니다. 이렇게 점차 수의 범위와 연산의 범위를 확장해 4학년 때는 자연수의 사칙연산을, 6학년 때는 ... ...
- 산타의 기적, 첨단과학이 만든다과학동아 l2010년 12호
- 산타가 상대성이론을 이해한 지 500년이 됐지만 우리가 상대성이론을 이해한 지는 고작 100년 정도다. 그래서 산타가 이해하고 있는 상대성이론의 수준은 우리보다 훨씬 높다. 시간과 공간, 그리고 빛을 다룰 줄 알게 된 것이다. 그런 산타는 ‘상대성 구름’이라 는 걸 창조했다.상대성 구름이란 ... ...
- 1991년 사이먼 르베이 박사의 동성애자 뇌구조 차이발견과학동아 l2010년 12호
- 넘는다고 한다. 최근 아프리카 우간다의 한 신문은 동성애자를 처형하라며 동성애자 100명의 이름과 사진을 싣기도 했다. 동성애자를 상당히 포용하는 서구의 대중조차도 좀처럼 색안경을 벗지 못한다. 동성끼리 어깨 동무하거나 손잡고 다니는 데 익숙한 우리나라 젊은이들이 배낭여행을 떠날 때 ... ...
이전3513523533543553563573583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