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무명 선수도 1등’ 첨단 스포츠 의류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마이클 펠프스 선수를 제치고 세계신기록을 달성했다. 같은 대회 남자 자유형
100
m에서는 브라질의 세자르 필류 선수가 X-글라이드를 입고 세계신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차지했다. X-글라이드의 위력이 검증된 셈이다.하지만 수많은 논란 끝에 지난 1월, 이 수영복은 세계수영연맹(FINA)의 ... ...
인류의 에너지원 ‘별’ 탐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질량에 따라 다르다. 노년기 별의 진화를 명확하게 밝힌 사람 중 하나가 지금으로부터
100
년 전, 한국에서는 경술국치로 국권을 일본에 빼앗겼던 해에 태어난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다. - 중략 -핵 안에 있던 수소가 모두 핵융합 반응을 일으켜 헬륨으로 바뀌면 핵은 헬륨핵이 된다. 평생 수소 ... ...
외계행성을 지구처럼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생산 공장을 만들면 된다. 대표적인 온실가스로는 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질소가 있다.
100
년을 기준으로 메탄과 아산화질소는 이산화탄소에 비해 온실효과가 각각 20배, 300배 가량 크다. 그러나 메탄은 불에 타고 아산화질소는 사람이 오래 마시면 죽을 수도 있다.온실효과를 일으키는 데 걸리는 ... ...
‘시험관 아기’로 신의 섭리 넘어서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스텝토 박사는 사람 난소에서 난자를 채취해온 산부인과 전문의였다. 그들은 12년 동안
100
번 이상 실패를 거듭한 끝에 1978년 드디어 체외수정으로 아기를 탄생시키는 데 성공했다. 당시에는 한 달에 한 개씩, 자연적으로 배출되는 난자를 갖고 시술했기 때문에 임신 성공률이 낮았다.10% 불과했던 ... ...
변화무쌍 수조 진짜 남극바다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파도 높이를 80cm까지 높게 만들 수 있다”며 “실험은 실제 바다를 60분의 1에서
100
분의 1 규모로 축소해 하기 때문에 실제 상황이라면 어마어마한 파도”라고 설명했다. 김 책임연구원은 “조파장치를 다양한 패턴으로 움직이면서 파도의 주기와 방향도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고 덧붙였다 ... ...
배다해와 장재인의 노래 비법이 궁금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목소리를 전달한다. 연구회장에서 크게 연주하는 오케스트라의 평균 소리 강도는 90~
100
dB이다. 이는 인간의 평소 목소리를 훨씬 뛰어 넘는다. 큰 소리에 묻혀 작은 소리가 들리지 않는 마스킹 효과(masking effect)가 성악가에게 일어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비밀은 공명에 있다. 사람의 공명관은 코와 ... ...
수를 알면 게임은
100
전
100
승!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지금부터 경기를 시작합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수를 알면 게임은
100
전
100
승! 제1게임 먼저 두는 사람이 유리한 오목 제2게임 행렬로 푸는 흑백 게임 제3게임 수학으로 두는 체스 제4게임 짝수를 만들어야 이기는 님 ... ...
제1게임 먼저 두는 사람이 유리한 오목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모순을 이끌어 내는 방법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수를 알면 게임은
100
전
100
승! 제1게임 먼저 두는 사람이 유리한 오목 제2게임 행렬로 푸는 흑백 게임 제3게임 수학으로 두는 체스 제4게임 짝수를 만들어야 이기는 님 ... ...
우리 돈과 외국 돈이 만났을 때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내에서 환율을 미리 결정해 두기로 약속한 외국환입니다. 앞에서 말한 기업이 환율을 1
100
원으로 약속한 선물환을 사둔다면 당장은 손해를 보는 것 같아도 한 달 뒤에 입을 피해를 줄일 수 있답니다.이때 사고파는 사람이 서로 이득을 볼 수 있도록 가장 적절한 환율을 계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
[부록] 비교의 여왕, 부등식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어떤 내용이 담겨 있을까요?만남1 수의 크기 비교와 어림하기초등학교 1학년 때는 ‘
100
까지의 수’ 단원에서 수의 순서를 이해하고, 수의 크기를 비교합니다. 또한 두 수의 크기 비교에 대한 문장으로 수학을 기호로 표현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4학년 때는 ‘수의 범위와 어림하기’ 단원에서 발전된 ... ...
이전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