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하늘이 사라진다과학동아 l2010년 10호
- 인공위성과 충돌할 위험도 적지 않다.이 뿐만이 아니다. 열권은 태양에서 오는 파장이 100nm(나노미터, 10억분의 1m) 이하의 극자외선이나 우주방사선을 지표면으로 내려오지 못하도록 흡수한다. 만약 열권의 대기 농도가 옅어지면 자외선이나 우주 방사선 같은 고에너지 복사선이 지표면으로 내려올 ... ...
- 나노 용어 알고 쓰세요과학동아 l2010년 10호
- 국가 표준이 제정됐다. 이번에 확정된 국가 표준에 따르면 나노 크기(nanoscale)는 1∼100nm(나노미터,1nm= 10억 분의 1m)범위로 정의됐다. 나노 물체(nano object)는 물체의 크기를 결정하는 가로·세로·두께 중에서 1개 이상의 길이가 나노 크기인 물질로, 나노입자(nanoparticle)와 나노섬유(nano fiber) ...
- 최초의 과학 찾아 떠나는 시간여행과학동아 l2010년 10호
- 에드워드 윌슨이 한 말이다. 하지만 우리는 인간이 어떻게 탄생했는지 아직 100% 확실한 결론을 내지 못하고 있다. 인간은 창조됐는가, 진화했는가. 인간이 유인원에서 진화했다는 주장(진화론)과 인간이 만든 것 외의 모든 것은 조물주가 창조했다는 주장(창조론, 지적설계론)은 오랫동안 불꽃 튀게 ... ...
- 극한이의 위기탈출 넘버 3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0호
- 그림자의 주인을 언제 다 찾아 주지?과학상식 가장 깊은 바다는 어디일까?심해는 보통 100∼200m 이상 깊은 바다를 말해요. 가장 깊은 심해는 일본과 파푸아 뉴기니 사이에 있는 마리아나 해구예요. 가장 깊은 곳이 11,080m나 되지요. 8,848m로 가장 높은 산인 에베레스트 산을 넣고도 남을 정도랍니다 ... ...
- PART 3 수학이 안 쓰이는 게 있을까?수학동아 l2010년 10호
- 이용해 때나 기름을 제거하는 데 1g에 100~300㎡의 표면적을 가진다. 아파트 한 채가 100㎡정도인 걸 생각하면 제올라이트 1g이 아파트보다 넓은 셈이다.다양한 수학적 방법이 동원된 MP3지성이네 현관문은 디지털 도어록이다. 그러나 지성이가 버스카드를 대도 번호를 눌러도 문은 열리지 않는다. 디지털 ... ...
- 야구장은 도형의 집합소수학동아 l2010년 10호
- 121.92m(400피트)를 넘는게 좋다고만 나올 뿐 정해진 건 없다.두산과 LG의 프로야구단은 좌우 100m, 가운데 125m인 잠실구장을 함께 쓴다. 하지만 LG의 홈경기에서는 가운데를 121m로 당기고 담장 높이도 2.7m에서 2m로 낮게 바꾼다. 구장의 크기와 담장 높이는 홈런 개수와 관련이 깊다. 지난해 LG가 담장을 당긴 ... ...
- 채권도 보험 든다수학동아 l2010년 10호
- 똑같겠죠.아빠 : 그렇지만 방금 이야기한 것처럼 회사채는 3년 사이에 회사가 부도나면 100만원을 못 받을 수도 있잖아.우철 : 아! 그럼, 회사채가 더 싸겠네요.아빠 : 그렇지, 국채와 회사채가 가격이 똑같다면 굳이 위험이 있는 회사채를 사려는 사람이 없을 거야. 회사채를 사려는 사람이 없으니까 ... ...
- 큰 소리의 대결수학동아 l2010년 09호
- 자동차 경적소리가 110dB인 것과 비교하면 큰 소리임에 분명하다.이 때문에 20dB의 차이는 100배나 큰 소리를 뜻한다. 낮시간 확성기의 소음이 80dB을 넘으면 벌금을 부과한다. 90dB이 넘는 소리를 8시간 넘게 들으면 귀의 기능에 이상이 올 수도 있다. 부부젤라를 단순한 응원도구로 여기기에는 무서운 ... ...
- 조선왕조 500년의 상징 광화문의 귀환과학동아 l2010년 09호
- “경복궁만큼 (일제에 의해)정책적으로 파괴된 문화재는 없었다”면서 “한일 강제병합 100주년이 되는 올해 반드시 공개하고 싶었다”고 전했다. 42년 만에 다시 태어난 광화문. 전통기술과 현대과학의 조화로 새롭게 태어난 광화문이 한민족의 역사를 꾸준히 지켜보길 기대한다. ... ...
- 중력은 없다?과학동아 l2010년 09호
- 너머 거시우주는 어떨까. 양자역학과 달리 거시세계를 설명하는 일반상대성이론은 지난 100여 년 동안 거듭되는 검증을 거쳐 입증이 됐다. 하지만 실제로 일반상대성이론에 대한 검증은 양계 내에 국한되어 있다. 아인슈타인은 태양계 너머 거대 우주는 아직 평정하진 못했다.이 문제는 현대물리학의 ... ...
이전3583593603613623633643653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