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중력은 없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너머 거시우주는 어떨까. 양자역학과 달리 거시세계를 설명하는 일반상대성이론은 지난
100
여 년 동안 거듭되는 검증을 거쳐 입증이 됐다. 하지만 실제로 일반상대성이론에 대한 검증은 양계 내에 국한되어 있다. 아인슈타인은 태양계 너머 거대 우주는 아직 평정하진 못했다.이 문제는 현대물리학의 ... ...
“10년 후, 로봇이 한반도 지킨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있는 짐꾼로봇 진풍(다족형 견마로봇)을 실용화 직전 단계까지 개발했다. 이 로봇은 현재
100
kg의 짐을 싣고 말이나 개처럼 네 발로 걷는다. 45˚ 경사의 산길을 걸어 올라갈 수 있다. 생기원은 진풍의 성능을 2012년까지는 상용화가 가능한 수준까지 끌어 올릴 계획이다.군인들의 힘을 몇 배나 세게 ... ...
덩치 큰 슈퍼컴퓨터, 소프트웨어로 다이어트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짐을 시속 80km로 옮기는 자동차를 한 대 사용하면 네 번 왕복해 옮길 수 있다. 그러나
100
kg짜리 짐을 시속 40km로 옮기는 자동차 두 대를 사용하면 두 번 왕복해 옮길 수 있다. 만일 자동차도 프로세서처럼 에너지를 속도의 제곱에 비례해 사용한다면, 시속 40km의 자동차 두 대를 사용할 경우 연료가 더 ... ...
F1 머신에 민무늬 광폭 타이어를 다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중에 주유를 할 수 없게 됐다. 주유 없이 주행거리를 완주해야 하기 때문에 머신에는 약
100
L의 연료를 더 실어야 한다. 무게를 견디기 위해 타이어의 내구성과 접착력은 더욱 중요한 요소가 됐다.머신에는 폭이 넓은 타이어를 사용한다. 그러면 고속에서도 안정감 있게 달리면서 노면에서 올라오는 ... ...
도시의 미래를 꿈꾸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산업화의 첨병이었던 도시는 새로운 흐름에 적응하지 못하고 급격히 쇠락했다. 지난
100
년간 세계 곳곳에서 수많은 도시가 흥망성쇠를 겪었다. 이같은 움직임은 지난 6000년 동안 벌어진 것보다 훨씬 빠르고 심하다. 환경이라는 요소가 더해진 최근에는 이와 같은 변화가 더 과격해질 가능성이 높다 ... ...
그래핀, 신발 악취 없앤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물질이다. 반도체에 사용되는 실리콘보다 전자가
100
배 이상 빨리 흐르고 구리보다
100
배 많은 전류가 흐른다. 접거나 휘어도 전기적 성질이 바뀌지 않아 차세대 디스플레이인 전자종이 재료로 활용할 수 있어 각광받고 있다. 연구진은 이런 그래핀이 악취의 원인인 대장균을 죽이는 것을 발견했다 ... ...
“내 손으로 풍력발전기 만들었어요”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열린 ‘제9회 3M 청소년 사이언스캠프’현장이다. 캠프에는 전국 각지의 중학교 1~2학년생
100
여 명이 참가했다. 위저드는 미국 3M 본사에서 파견한 ‘과학실험 마법사’로 올해 한국을 찾은 위저드는 케빈 빈스트라 씨였다.케빈이 선풍기와 소형 풍차 재료를 나눠주자 7, 8명씩 모둠을 이룬 학생들은 ... ...
1992년 사무엘 웨이스 박사의 성체 신경세포 생성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질환에 대한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그의 발견은 ‘신경세포는 생성되지 않는다’는
100
년 된 도그마를 무너뜨렸을 뿐 아니라 미래 인류의 정신건강을 향상시키는 데 초석이 된 셈이다 ... ...
제시문에 기반해 명확한 답 찾기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올해 더욱 커졌다. 고려대는 올해 입시에서 우선선발 조건에 해당하는 학생을 논술
100
% 전형으로 선발할 계획을 밝혔다. 어느 때보다 논술이 입시 당락을 결정하는 열쇠가 됐다. 고려대 논술의 출제 경향과 변화사항을 체크하고 대비책을 살펴보자.고려대 수학논술의 특징고려대 자연계 논술은 ... ...
눈을 크게 뜨고 봐야 하는 통계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44점의 기억을 지울 수 있다면 무조건 좋아요.사랑 : 그런데 대푯값이라면 44점이든
100
점이든 골고루 반영해야 하지 않을까요? 모든 점수를 다 반영하는 건 평균밖에 없네요. 전 평균이 가장 좋은 대푯값 같아요.선생님 : 맞아요. 많은 경우에 평균이 가장 유용하죠.평균의 함정선생님 : 자~, 그럼 ... ...
이전
359
36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