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10년 후, 로봇이 한반도 지킨다”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있는 짐꾼로봇 진풍(다족형 견마로봇)을 실용화 직전 단계까지 개발했다. 이 로봇은 현재 100kg의 짐을 싣고 말이나 개처럼 네 발로 걷는다. 45˚ 경사의 산길을 걸어 올라갈 수 있다. 생기원은 진풍의 성능을 2012년까지는 상용화가 가능한 수준까지 끌어 올릴 계획이다.군인들의 힘을 몇 배나 세게 ... ...
- 헬륨 부족하면 첨단 연구도 STOP! 헬륨 위기가 온다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차지하는 비율은 약 20%다. 미국 토지관리국(BLM)에 따르면 카타르의 헬륨 매장량이 약 100억m3, 알제리가 약 84억m3다. 미국의 매장량은 약 83억m3다. 이어서 러시아의 매장량이 약 67억m3, 캐나다와 중국은 각각 약 20억m3, 약 10억m3라는 평가다. 현재 유럽연합(EU)에서 유일하게 헬륨을 생산하는 폴란드의 ... ...
- 호주 밤하늘엔 숨어 있던 은하수가 뜬다과학동아 l2010년 09호
- 바뀌었다. 다음 100km를 달리자 흰색 구름 사이로 파란 하늘이 슬금슬금 나타난다. 100km를 더 달리자 마침내 온 하늘이 파랗게 물들었다. 구름 한 점 없이 파란물이 뚝뚝 떨어질 기세다. 군디윈디(Goondiwindi) 마을 30km 아래 지점에서 무작정 비포장길로 들어섰는데 운 좋게 멋진 관측지를 찾아냈다 ... ...
- 덩치 큰 슈퍼컴퓨터, 소프트웨어로 다이어트하다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짐을 시속 80km로 옮기는 자동차를 한 대 사용하면 네 번 왕복해 옮길 수 있다. 그러나 100kg짜리 짐을 시속 40km로 옮기는 자동차 두 대를 사용하면 두 번 왕복해 옮길 수 있다. 만일 자동차도 프로세서처럼 에너지를 속도의 제곱에 비례해 사용한다면, 시속 40km의 자동차 두 대를 사용할 경우 연료가 더 ... ...
- F1 머신에 민무늬 광폭 타이어를 다는 이유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중에 주유를 할 수 없게 됐다. 주유 없이 주행거리를 완주해야 하기 때문에 머신에는 약 100L의 연료를 더 실어야 한다. 무게를 견디기 위해 타이어의 내구성과 접착력은 더욱 중요한 요소가 됐다.머신에는 폭이 넓은 타이어를 사용한다. 그러면 고속에서도 안정감 있게 달리면서 노면에서 올라오는 ... ...
- 도시의 미래를 꿈꾸다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산업화의 첨병이었던 도시는 새로운 흐름에 적응하지 못하고 급격히 쇠락했다. 지난100년간 세계 곳곳에서 수많은 도시가 흥망성쇠를 겪었다. 이같은 움직임은 지난 6000년 동안 벌어진 것보다 훨씬 빠르고 심하다. 환경이라는 요소가 더해진 최근에는 이와 같은 변화가 더 과격해질 가능성이 높다 ... ...
- 쫄깃쫄깃 타피오카의 비밀과학동아 l2010년 09호
- 더 많이 생산한다고 발표했다. 백 사장은 “ISC카사바는 매년 1만m2당 바이오에탄올을 100~150t 가량 생산한다”며 “이는 같은 면적에서 일반 카사바보다 3~5배나 높은 수준”이라고 밝혔다.전문가들은 좀 더 효율적인 산업용 카사바를 개발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 미국 도날드 댄포드 식물학센터의 ... ...
- 1992년 사무엘 웨이스 박사의 성체 신경세포 생성 발견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질환에 대한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그의 발견은 ‘신경세포는 생성되지 않는다’는 100년 된 도그마를 무너뜨렸을 뿐 아니라 미래 인류의 정신건강을 향상시키는 데 초석이 된 셈이다 ... ...
- 빛이 갇힌 세계에서 만든 나노광학현미경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이 미세한 바늘(탐침)을 광섬유로 만든다. 광섬유 끝을 길게 늘여 단면 지름을100nm 이하로 만든 뒤, 이 끝으로 자외선을 내보낸다. 이렇게 만든 현미경의 이름은 근접장 주사 광학현미경, 또는 나노광학현미경이다. 자외선을 사용하는 이유는 세포 같은 바이오 샘플이 자외선을 쬐면 자체발광이 ... ...
- 우주여행, 상상에서 현실로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의 흐름을 일컫는다. 즉 태양의 중력을 탈출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은 에너지를 갖는, 즉 100eV(전자볼트)의 고에너지 전자와 1keV를 갖는 양성자가 태양을 벗어나 우주공간으로 퍼져나가는 현상이 바로 태양풍이다. 태양풍의 속도는 편차가 심한데, 지구 근처에서 초속 200~900km이고 평균초속 450km 정도다. ... ...
이전3603613623633643653663673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