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왜 0으로는 나눌 수 없나?수학동아 l2011년 02호
- 작은 수로 선택합니다. 0으로 나누면 어떻게 될지 상상하면서 말이에요. 1÷0.1=10, 1÷0.01=100, 1÷0.001=1000, 1÷0.0001=10000,…. 이렇게 나누는 수가 작아질수록 나눈 값은 점점 커집니다.나누는 수를 0.000…000001과 같이 0에 가까이 가면서 점점 작아지는 수로 생각해 봅시다. ...
- Part 3. 말귀 알아듣는 컴퓨터수학동아 l2011년 02호
- 보통의 질의응답 시스템은 이런 알고리즘 십여 개를 이용해 답을 찾아낸다. 왓슨은 100여 개의 알고리즘을 이용해 답을 찾는다.여기서 궁금한 점이 있다. 컴퓨터는 애매한 표현을 어떻게 받아들일까. 예를 들어 ‘빨리 어른이 되고 싶다’ 라고 말하면 컴퓨터는 몇 살쯤이라고 생각할까. 1965년 미국 ... ...
- Part 1. 왜 제퍼디 퀴즈쇼인가수학동아 l2011년 02호
- 정보와 비교해 답을 찾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뤄져 있다. 질문이 들어오면 서로 다른 100여 개의 알고리즘을 동시에 사용하면서 답을 찾는 것이다. 이때 수십 개의 알고리즘에서 같은 답안을 만들면 그것을 답으로 선택한다. 즉 가능한 여러 가지 답안을 이끌어낸 뒤 정답확률을 계산해 답을 정한다는 ... ...
- 책 읽는 서울대 과학영재교육센터수학동아 l2011년 02호
- 온통 새하얀 관악산 산자락에 자리 잡은 서울대 과학영재교육센터. 흰 눈 사이로 파릇파릇 피어나는 보리싹이 아름답듯, 흰 눈을 헤치고 찾아온 꿈나무 한명 한명이 소중하 ... 20% 정도의 전체교육과 각 분과의 교육을 골고루 받는 순환교육도 포함된다. 연간 수업시간은 100시간 안팎이다 ... ...
- 새처럼 노래하는 쥐, 있다?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일본 오사카대학교 생명공학대학원의 야기 다케시 교수팀이 새처럼 노래하는 쥐 100마리를 만들었답니다.연구팀은 ‘진화 쥐 프로젝트’ 실험의 하나로, 일부러 쥐가 유전정보 물질인 DNA를 잘못 복제하도록 해서 돌연변이 쥐를 만들었어요. 그런 다음 돌연변이 쥐끼리 교배시켜 어떤 특성을 가진 ... ...
- Part2. 지구 살리는 13가지 방법과학동아 l2011년 02호
- 디자인으로 어디에, 몇 개를 놔야 하는가.미국 국립과학아카데미 회원들은 1992년 면적이 100m2인 거울을 5만 5000개 띄우면 된다고 제안한다. 만일 적도 위 고도 2000~4500km 위에 토성처럼 먼지로 된 고리를 설치해 태양 에너지 2%를 줄이기 위해서는 먼지입자 20억t이 필요하다. 이 물질은 지구에서 우주로 ... ...
- 초신성 이용한 암흑에너지 측정법과학동아 l2011년 02호
- 먼지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그 결과 초신성까지의 거리를 잘못 계산하곤 했다. 연구팀은 100개 이상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초신성의 색은 빨리 어두워질수록 붉은색을 띠고 반대일수록 푸른색을 띤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폴리 박사는 “20년 가까이 천문학자들이 찾아내려던 방법”이라며 “1a형 ... ...
- 보이지 않는 하늘의 제왕 스텔스과학동아 l2011년 02호
- 만약 당신이 스텔스 전투기를 타고 있다면 적군의 전투기 대수와 관계없이 거의 100% 승리를 장담할 수 있다. 상대편이 스텔스 전투기라면? 그런 걱정은 할 필요가 없다. 적기를 만났다는 사실을 알기 전에 미사일부터 맞을 테니까. 지금까지 스텔스 기술을 가진 나라는 미국뿐이었다. 러시아나 ... ...
- 수학 논술 - 통큰 치킨과 게임 이론과학동아 l2011년 02호
- 꺼내서 더한 450만 원을 두 명에게 나눠준다. 따라서 A는 225만 원, B는 원래 갖고 있던 100만 원에 225만 원을 합쳐 325만 원을 갖는다. 이 게임의 지불행렬을 나타내고 내시 균형을 찾으시오. 3) [난이도 중] 치킨 게임에서는 두 명이 자동차를 몰고 정면으로 달린다. 이때 먼저 핸들을 꺾는 사람은 ... ...
- Part 2. 세포 구조 모방하는 미래 인터넷과학동아 l2011년 02호
- 프로토콜)을 개발해 문제를 극복하는 방법이다. 차세대 인터넷이 완성되면 통신망에 약 100억 대의 단말기를 연결할 수 있고, 속도도 현재의 10배 수준인 1Gbps까지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미국과학재단의 FIND(Future Internet Design) 프로젝트는 이보다 극단적인 해결책을 제시한다. 현재의 인터넷이 의존하고 ... ...
이전346347348349350351352353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