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초신성 이용한 암흑에너지 측정법과학동아 l2011년 02호
- 먼지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그 결과 초신성까지의 거리를 잘못 계산하곤 했다. 연구팀은 100개 이상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초신성의 색은 빨리 어두워질수록 붉은색을 띠고 반대일수록 푸른색을 띤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폴리 박사는 “20년 가까이 천문학자들이 찾아내려던 방법”이라며 “1a형 ... ...
- [hot science] 얼짱 몸짱 마법의 주사는 없다?!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성인을 기준으로 한 번에 5병 이상 주입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보톡스 1병에 든 양을 100으로 봤을 때 시술에 사용하는 양은 20~30 밖에 되지 않는다. 필러도 지나치게 넣으면 외관상 부자연스러워지지만 일정 시간이 지나면 흡수돼 큰 위험이 따르지 않는다. 보톡스나 필러를 넣고 부작용을 겪는 ... ...
- 올 여름엔 김떡과 아이스떡볶이 맛볼까과학동아 l2011년 02호
- 비교적 오래 보관할 수 있는 떡은 노화가 더딘 찹쌀로 만든 찹쌀떡이다. 아밀로펙틴 100%로 이뤄진 찹쌀 전분은 멥쌀 전분(아밀로펙틴 80%, 아밀로오스 20%)보다 비교적 오랫동안 부드럽다. 전분을 구성하는 성분 중 긴 사슬 모양인 아밀로오스가 나뭇가지 모양인 아밀로펙틴보다 빨리 노화하기 ... ...
- Part 2. 세포 구조 모방하는 미래 인터넷과학동아 l2011년 02호
- 프로토콜)을 개발해 문제를 극복하는 방법이다. 차세대 인터넷이 완성되면 통신망에 약 100억 대의 단말기를 연결할 수 있고, 속도도 현재의 10배 수준인 1Gbps까지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미국과학재단의 FIND(Future Internet Design) 프로젝트는 이보다 극단적인 해결책을 제시한다. 현재의 인터넷이 의존하고 ... ...
- neutrino 중성미자 경쟁, 한국이 1등 할까?과학동아 l2011년 02호
- 반물질인 양전자는 곧바로 전자와 쌍소멸해 빛을 발한다. 중성자는 약 200μs(마이크로초, 100만 분의 1초) 뒤 수소 원자에 잡혀 빛을 낸다. 이 빛을 광센서로 관측해 중성미자를 검출한다. 김수봉 교수는 “원리는 50년 전과 비슷하지만 섬광액체가 예전보다 화학적 특성이 좋아졌으며 개선된 광센서를 ... ...
- 인간단백질 지도사업 이끈다과학동아 l2011년 02호
- 불린다.백 교수는 “인간의 유전자 수를 2만~2만 5000개로 보고 있는데 단백질의 종류는 100만 가지 이상으로 추정한다”며 “지노믹스(유전체학)를 연구하는 데 10의 노력이 필요하다면 프로테오믹스는 1000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인간단백질 지도사업은 국제 협력 없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한 백 ... ...
- 수학 논술 - 통큰 치킨과 게임 이론과학동아 l2011년 02호
- 꺼내서 더한 450만 원을 두 명에게 나눠준다. 따라서 A는 225만 원, B는 원래 갖고 있던 100만 원에 225만 원을 합쳐 325만 원을 갖는다. 이 게임의 지불행렬을 나타내고 내시 균형을 찾으시오. 3) [난이도 중] 치킨 게임에서는 두 명이 자동차를 몰고 정면으로 달린다. 이때 먼저 핸들을 꺾는 사람은 ... ...
- Part 1. 왜 제퍼디 퀴즈쇼인가수학동아 l2011년 02호
- 정보와 비교해 답을 찾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뤄져 있다. 질문이 들어오면 서로 다른 100여 개의 알고리즘을 동시에 사용하면서 답을 찾는 것이다. 이때 수십 개의 알고리즘에서 같은 답안을 만들면 그것을 답으로 선택한다. 즉 가능한 여러 가지 답안을 이끌어낸 뒤 정답확률을 계산해 답을 정한다는 ... ...
- Part 3. 말귀 알아듣는 컴퓨터수학동아 l2011년 02호
- 보통의 질의응답 시스템은 이런 알고리즘 십여 개를 이용해 답을 찾아낸다. 왓슨은 100여 개의 알고리즘을 이용해 답을 찾는다.여기서 궁금한 점이 있다. 컴퓨터는 애매한 표현을 어떻게 받아들일까. 예를 들어 ‘빨리 어른이 되고 싶다’ 라고 말하면 컴퓨터는 몇 살쯤이라고 생각할까. 1965년 미국 ... ...
- 왜 0으로는 나눌 수 없나?수학동아 l2011년 02호
- 작은 수로 선택합니다. 0으로 나누면 어떻게 될지 상상하면서 말이에요. 1÷0.1=10, 1÷0.01=100, 1÷0.001=1000, 1÷0.0001=10000,…. 이렇게 나누는 수가 작아질수록 나눈 값은 점점 커집니다.나누는 수를 0.000…000001과 같이 0에 가까이 가면서 점점 작아지는 수로 생각해 봅시다. ...
이전346347348349350351352353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