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구글(Google), 수학에 통 큰 지원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세계 수학 영재들의 축제를 돕게 돼 기쁘다”고 밝혔다. 구글(Google)이라는 이름 역시 10의
100
제곱을 가리키는 ‘구골(googol)’에서 따온 것이다.구글의 지원을 받는 IMO는 전세계 고등학생이 수학 실력을 겨루는 대회로 해마다 열린다. 지난해 카자흐스탄에서 열린 대회에는 97개국 517명이 참가했다. ... ...
차세대 우주왕복선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하늘로 올라간답니다. 그런 다음 약 15.24㎞의 공중에서 우주로 날아오르지요. 관광객들은
100
㎞ 높이까지 올라가 우주를 경험하게 돼요. 어때요? 멋지지 않나요? 드래곤 우주선비행 경험 2010년에 시험 발사 성공. 주요 임무 국제우주정거장에 화물 운반. 특징 오리온 우주선처럼 재사용 가능. 짐 ... ...
π데이 즐기는 10가지 방법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값에서 의미 있는 수 찾기인터넷(gutenberg.org/ebooks/50)을 이용하면 π 값을 1만 자리부터
100
만 자리까지 구할 수 있다. 이 값을 크게 인쇄해 벽이나 창문 등에 붙여 놓고 학년·반·번호나 전화번호, 생년월일 같이 각자에게 의미 있는 수를 찾는 행사를 연다. 가장 많은 의미를 찾거나 가장 긴 숫자에 ... ...
생명의 밥상 vs 재앙의 밥상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부를 때까지 피를 빨아 먹는다. 다행히(?) 이 주둥이는 가장 가느다란 주사 바늘보다
100
배는 가늘어서 하루에 서너번씩 찔러대도 아무 느낌이 없다. 이 조그맣고 귀찮은 흡혈귀는 바로 빈대(Cimex lectularius)다.이 책은 우리와 한 집(또는 한 몸)에 사는 귀찮은 가족에 대한 은밀한 에세이다. 빈대와 ... ...
굿 바이! 킬로그램의 어머니!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탄소원자 무게가 된다.하지만 아보가드로 상수 그 자체도 어마어마한데 여기에 약
100
배나 되는 원자의 수를 어떻게 하나하나 셀 수 있을까. 처음에는 아보가드로 상수를 이용한 1kg의 정의가 현실적이지 않아 보였다. 그런데 반도체 기술을 활용하면 불가능한 일도 아니다.아보가드로 프로젝트는 ... ...
파리는 어떻게 벽에 달라붙나?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이 액체의 비밀을 밝히는 연구들을 진행해 왔다.[➊ 아시아바느질개미는 몸무게(5mg)의
100
배나 되는 짐을 물고도 천장에 달라붙어 있을 수 있다.][➋ 바느질개미 발바닥의 전자현미경 사진. 발끝에 쿠션처럼 생긴 욕반(금색)과 여기서 분비된 액체(파란색)가 보인다.]진짜 비밀, 두 종류의 액체 ... ...
구강 박테리아 다양성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예를 들어 대장에 살고 있는 대략
100
조 마리의 박테리아군집에는 인간유전자의
100
배가 넘는 유전자가 존재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 게놈연구소(IGR) 스티븐 길 박사팀과 스탠퍼드대 렐먼 교수팀 등 공동 연구자들은 첫 번째 메타유전체학 연구 결과를 2006년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연구자들은 ... ...
Intro. 안녕! 네안데르탈인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안녕! 네안데르탈인Part1. 당신은 호모 사피엔스
100
%인가Part2. 다시 쓰는 인류의 진화Part3. 2만4000년 전, 네안데르탈인 최후의 날진행 : 윤신영 기자디자인 : 김인규 imagemob@donga ... ...
Part1. 당신은 호모 사피엔스
100
%인가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안녕! 네안데르탈인Part1. 당신은 호모 사피엔스
100
%인가Part2. 다시 쓰는 인류의 진화Part3. 2만4000년 전, 네안데르탈인 최후의 ... ...
지질자원연, 국제 CO2 저장 프로젝트 참여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교환하고 2015년까지 이산화탄소 지중저장기술의 실용화를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CO2CRC는
100
명 이상의 연구원이 CO2 포집 및 저장분야 기술을 7개국 33개 기관과 공동으로 연구하고 있다. CO2 지중저장은 석탄화력발전소 등 대량의 CO2가 발생하는 곳에서 모은 CO2를 깊은 지하의 유전이나 가스전, 대수층 ... ...
이전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