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신경교세포
100
년 만에 입을 열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그저 뉴런에게 영양분을 공급하고 쓰레기를 치워주는 일을 한다고 천대받은 세월이
100
년이다. 이제 신경교세포가 뇌질환 치료의 새 장을 열고 있다. 앞으로 신경교세포가 보여줄 신세계를 마음껏 상상해보자 ... ...
화산 신이 남겨놓은 돌기둥 병풍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듣고 한걸음에 달려갔다. 도착하자마다 눈앞에 펼쳐져 있는 광경은 높이 약 20m, 너비 약
100
m인 거대 면발이었다. 어린 시절 집안에서 큰 혼사를 치르기 전에 손님을 대접하기 위해 몇 달 전부터 만들어 앞마당에 널어놓았던 국수발이 떠올랐다. 필자와 동료들은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누군가 ... ...
융합이 빚어낸 작지만 큰 세계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는 이런 상상 속의 이야기를 현실로 만든다. ME MS 기술은 수 μm(마이크로미터, 1μm는
100
만분의 1m)에서 수 mm 크기의 초소형 정밀기계 제작 기술을 말한다. 작고 정교한 기계를 만드는 것이 핵심이다. 서울대 공대 전기공학부 ‘마이크로시스템 및 나노 기술 연구실’은 바로 이 MEMS를 연구하고 있다 ... ...
화학-우주에서의 물질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세상에 존재하는 수만 가지 물질은
100
여 종의 원소가 화학 결합한 산물이다. 그렇다면 우리가 많이 사용하는
100
여 종의 원소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이번 호에서는 원소가 탄생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우주에 존재하는 원소의 종류를 알아내는 방법과 성간의 분자들이 만들어지는 원리를 알아본다. ...
Part3. 2만4000년 전, 네안데르탈인 최후의 날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발표되기도 했죠. 우리의 출산률이 낮다는 연구가 2007년에, 호모 사피엔스에 비해 하루
100
~350kcal 에너지를 더 많이 소모한다는 연구 결과와 이 시기 우리의 숫자가 수천 명에 불과해 더 이상 인구가 늘 여력이 없었다는 연구 결과가 2009년 각각 나왔어요. 모두 우리가 호모 사피엔스에 비해 생존능력이 ... ...
레이저 광선 흡수하는 ‘안티레이저’ 개발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만일 빛을 흡수하는 물질을 이용하면 빛이 사라질 거라는 아이디어다.연구팀은 1μm(
100
만분의 1m) 두께의 실리콘 웨이퍼에 빛을 담아둘 수 있는 작은 구멍을 만들었다. 그리고 이 웨이퍼에 같은 파장의 레이저 빔 두 개를 비췄다. 하나는 왼쪽에서, 다른 하나는 반대방향에서 오도록 했다. 두 개의 빔은 ... ...
우리 집 家 도 혹시 병든 집?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자세의 각도 등을 좌표로 인식하는 원리다. 특히 뎁스는 팔다리를 올리고 내리는 자세를
100
% 인식할 수 있는 수준까지 개발된 상태다.건강한 집은 설계에서부터 시공, 사용과 보수에 이르기까지 늘 사람의 건강을 고려해야 한다. 전문가들은 그 안에 사는 사람도 집을 항상 깨끗이 청소하고 적절한 ... ...
스마트 라이프 만드는 차세대 이동통신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무선전신기를 만들었다. 무선통신의 시작이었다. 그로부터
100
여 년이 지난 오늘날 스마트폰을 들고 다니며 인터넷에 접속하고 내려받은 영상을 감상하는 일은 흔한 광경이 됐다. 그런데 현재의 이동통신 기술은 조만간 여기서 한 단계 더 도약할 전망이다. 4세대 이동통신 ... ...
국제동물농부협회 참관기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수 없어서입니다. 참고로 이곳은 전원드라마 ‘산너머 남촌에서’의 촬영지라네요.지난
100
년 동안 사람들은 석유를 펑펑 써대더니 그 대가로 기상이변을 초래해 지구촌 곳곳이 홍수와 가뭄으로 시달리고 있습니다. 또 한국은 올겨울 구제역으로 300만 마리가 넘는 가축을 매몰하는 최악의 사태를 ... ...
10억분의 1m 여행으로 꿈을 심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블로그에 글을 쓴 것은 지난해 10월. 현재 2만 개가 넘는 콩이 모였다. 콩 1개는
100
원의 가치가 있으니 4개월 사이에 200만 원이 넘는 기부금이 모인 셈이다. 김 교수는 “과학의 기쁨을 나눠줄 수 있는 블로그 운영과 나노원정대 모집을 앞으로 계속해서 진행할 것”이라고 뜻을 밝혔다 ... ...
이전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