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 화학-지구촌 구할 녹색 해결사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확대해 나가고 있다. [‘2011 세계 화학의 해’는 퀴리부인의 노벨화학상(1911년) 수상
100
주년을 기념해 선정됐다.] 한국도 1999년부터 책임보호운동 참여그러나 지난 세기 후반부터 화학에 대한 대중의 이미지는 악화일로를 밟아왔다. 특히 미군이 베트남전쟁(1960~ 1975년)에 사용한 화학무기와 ... ...
Part 2. 과학으로 다시 보는 후쿠시마 원전 사태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것 같지만 일률적으로 말할 수는 없다. 방사성 물질은 지름이 0.4~6μm(마이크로미터,
100
만분의 1m)인 물방울 모양의 알갱이다. 담배연기 속 알갱이보다는 크고 자동차 배기가스 속에 들어 있는 미세먼지보다 작아, 황사가 이동하듯 바람을 타고 멀리 이동할 수 있다. 유엔방사능영향과학위원회(UNSCEAR ... ...
Part 1. 방사능 논란, ‘저선량 방사선’이 문제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일으키려면 하루 2000mSv 정도의 방사선량은 돼야 가능하다”며 “태아도 전신에 최소
100
mSv 정도를 받아야 기형 같은 의학적인 문제가 생긴다”고 말했다.하지만 반대 의견도 있다. 방사선량이 낮다고 해서 마냥 안전하다고 말하기에는 불확실한 점이 많다는 의견이다. 먼저 인체에 대한 연구이기 ... ...
Part 1. 사람과 야생동물의 동거 생활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먼저 농업이다. 사람들은 소를 이용해 논밭을 갈았다. 사람이 농사지을 수 있는 땅은
100
m2에 불과했지만 소는 하루에 무려 4000~5000m2나 되는 밭을 갈 수 있다. 또 소는 쟁기를 끌어 땅의 지력을 높였다. 가축을이용함으로써 곡식을 재배할 수 있는 능력이 크게 향상된 것이다.이제 사람들은 한 곳에 ... ...
Part 1. 대한민국 영재들이 사는 법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비슷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건재 신소재공학과 교수는 학생들에게 “학업이
100
m 경주가 아닌 마라톤이라는 것을 생각하고, 어려운 일이 있을 땐 친구나 선배, 교수를 찾아가 상담하라”고 조언했다.학생들은 학교와 사회가 변화해야 할 방향도 얘기했다. 서지인 씨는 “실험을 한 뒤 데이터를 ... ...
일본대지진 백두산 분화 촉발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것은 지구의 속은 뜨겁다는 사실이다. 마그마는 암석이 녹아 액체로 된 물질이다. 지하
100
km 이상이면 암석이 녹기에 충분한 온도인 1300℃가 된다. 액체인 마그마는 암석보다 밀도가 낮기 때문에 부력에 의해 상승하려고 하는 성질이 있다. 마그마는 지각의 균열을 따라 상승하거나 암석을 직접 녹여 ... ...
맥스웰의 도깨비를 찾아서 “아는 것이 힘이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100
개가 양쪽에 50개씩 존재하는 경우의 수는
100
!/(50!50!)으로 대략 2
100
이므로 엔트로피는
100
kBln2(=kBln2
100
)이다. 모두 한 쪽에 있는 경우는 한 가지뿐이므로 엔트로피는 0이다. 엔트로피는 줄어들지 않으므로 공이 한 쪽으로 몰리는 일은 일어날 수 없다는 뜻이다.열 ...
“도전하는 학생들의 IT 창작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하고 도전하고 싶어 하는 학생들이 많이 들어왔으면 좋겠다. 최근에 동아일보에서 ‘
100
인의 리더’로 뽑힌 김가영 졸업생이 있다. 독창적이면서 진취적인 창업 마인드를 갖고 공부해 지금은 연매출 20억의 CEO가 됐다. 매년 학교에 찾아와 후배들에게 특강을 하고 있다. 그러한 리더를 더 많이 ... ...
Major eruption of Mt. Baekdu ‘possible’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관측하는 한 중국 연구소는, 인간이 느끼기에는 너무 미약한 작은 지진이 하루
100
회 이상 발생한다고 한다. 백두산이 분화할 가능성을 보여주는 또 다른 지표가 있다. 2002년 이후 백두산의 고도가 10cm 정도 높아졌다는 점이다.과학자들은 화산분화의 전제조건인 마그마가 부풀어 오르는 현상이 ... ...
눈먼 쥐의 일주리듬에 미치는 빛의 영향 확인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가설’은 주류학계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rd쥐에서 원뿔세포가
100
% 파괴된 건 아니었기 때문에 남아 있는 소수의 원뿔세포가 빛의 신호를 전달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는 이유도 있었다.1995년 영국(런던대)으로 돌아온 포스터 교수는 막대세포와 원뿔세포가 완전히 ... ...
이전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