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술 같은 맛 그려내는 식품첨가물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신맛이 적절하게 조화가 돼야 ‘맛있다’고 느껴지는데 이게 쉽지 않아요. 그런데 MSG를
조금
넣으면 마술처럼 근사한 맛이 나오죠.”10여 년 전까지만 해도 식품업계는 물론 식당과 가정에서도 MSG는 약방의 감초 이상으로 없어서는 안 될 첨가물이었다. 심지어는 소주에도 MSG가 들어갔다. 당시는 ... ...
닭들이 조류독감에 걸렸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1호
것 같아요~!”이 때 냥냥이 닥터고글에게 종이 한 장을 내민다.“역시 그렇군요.
조금
전 닭의 혈액을 뽑아 분석기에 넣었는데, 정성만 씨의 닭들은 조류독감에 걸리지 않았다고 나왔어요. 그렇다면 누군가 거짓말을 했다는 소린데…?”닥터고글의 시선을 따라가던 정성만 씨의 눈에 이기심 씨가 ... ...
‘텔미’ 춤추는 로봇에서 온기를 느끼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장기 상대가 될 수도 있다. 한편 마루 같은 이족 로봇은 워낙 복잡한 시스템이기 때문에
조금
더 먼 미래에나 상용화될 전망이다. 2025년쯤 되면 저녁 식사 뒤 로봇과 나란히 산책하며 담소를 나누는 모습을 여기저기서 볼 수 있지 않을까.뭐든지 따라할 수 있다니까요“마루-M이 내 동작을 따라하는 ... ...
대칭성 깨뜨려 노벨상 움켜쥐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일리가 있는 얘기지만, 10여 년 동안 일본에서 연구를 하고 있는 일선 연구자 입장에서
조금
더 구체적인 분석을 해보고자 한다.위대한 스승 니시나 요시오필자가 몸담고 있는 이화학연구소(리켄)는 1917년 일본 최초로 설립된 기초과학 분야의 국가연구기관이다. 2005년에 간행된 ‘리켄정신 8 ... ...
식중독균, 꼼짝 마!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붙여야 해. 그만큼 손이 깨끗하지 않다는 뜻이거든. 검사 결과 내 손에도 3,000마리가
조금
넘는 미생물이사는 것으로 나왔어. 어서 손을 씻어야겠어!이번에는 연구관님이 우리 명예기자들을 위해 특별히 준비해 오신‘손 미생물 배양기’검사를 받을 차례! 빨간색 배양기에 손을 대고 10초 정도 누른 ... ...
합성첨가물 안 쓰는 식품개발 꿈꾼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하고 잘 모르겠다.“후후. 콩나물 추출액입니다. 너무 농축돼서 잘 모르겠지만 물에
조금
타면 콩나물국 냄새가 나죠.”“신기한데요.” 이처럼 원재료에서 얻은 농축액을 기본으로 해 양념을 만들면 MSG를 첨가했을 때보다 더 많이 넣어야하므로 원가가 높아진다. 그럼에도 맛은 오히려 부족한 ... ...
초파리로 파킨슨병 치료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포함해 약 10개 정도. 일반적으로 원인 유전자가 다르면 병의 증상이나 행동양식도
조금
씩 다르다.연구팀은 두 유전자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두 유전자가 동일한 신호체계에 있으며 핑크1이 파킨의 상위에서 미토콘드리아의 작용을 조절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연구 결과는 2006년 5월 세계 ... ...
자연 속 하이테크놀러지 새 둥지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우리 조상들이 제비의 건축기술을 모방해서 황토집을 지었을 지도 모를 일이다.제비보다
조금
크고 턱 아래에 호랑무늬가 있는 귀제비의 둥지는 더 특이하다. 제비보다 지푸라기를 덜 사용하는 대신 둥지 입구에 길이가 15cm쯤 되는 긴 터널을 만든다. 물론 천적으로부터 알과 새끼를 보호하기 ... ...
양자에 ‘순간이동’ 이름 붙인 주인공 찰스 베넷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음식이 인상적”이라며 “나물이 정말 맛있다”고 말했다. 그는 채식주의자다. 김치도
조금
맵지만 입맛에 아주 잘 맞는다고. 스위스로 돌아가기 전 경기도 이천에 들러 도자기와 논을 구경한 뒤 한정식 식당에서 찐 호박잎에 맛있게 쌈을 싸 먹었다고 한다. 빠듯한 일정 탓에 서울 구석구석을 ... ...
전기장으로 잠자는 유전자를 깨운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이 교수는 6개월 뒤 강단에 복귀했다. 몸은 휠체어에 의지하고 있지만 그의 삶은
조금
도 좁아지지 않았다.1그램 아니 0.1그램도 안 될 것 같은 희망에 모든 것을 걸었다는 이 교수는 오스트리아의 한 업체에서 만든 특수 마우스를 입에 물고 ‘연구’를 재개했다. “나를 살린 건 줄기세포가 아니라 ... ...
이전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
3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