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탄소 제로 도시' 뜬다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탄소 제로 도시 가운데 규모가 가장 크다. 도시 넓이는 약 7km2로 여의도(8.35km2)보다
조금
작다. 주민은 5만 명 가량 거주할 수 있다.마스다르 시티는 박막 태양전지를 지붕과 벽의 소재로 사용해 건물에 필요한 에너지를 태양에서 얻고, 자연 통풍이 잘되도록 건물과 길, 녹지를 배치할 계획이다. ... ...
어질어질 우주멀미도 실험열정 막지 못해!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별로 반갑지 않은 ‘우주멀미’가 시작된 것이다.ISS에 오는 이틀 동안은 어지러움만
조금
느꼈을 뿐 구토는 하지 않았다. 하지만 ISS에 도착하자 우주멀미 증상이 급격히 찾아왔다. 카메라를 향해 손을 흔들면서 환영식을 할 때까지만 해도 괜찮았는데, 어느 순간 아무것도 할 수 없을 정도로 ... ...
'명왕성'을 찾아 떠난 여행, 그 뒤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금속수산화물 등의 졸은 이에 속한다열역학적 평형상태에 있지 않고 전해질을
조금
가하면 쉽게 엉긴다 소아기에 발현하는 당뇨병 당뇨병은 인슐린 부족으로 일어나는 대사(代謝)의 이상상태(異常狀態)이며 소아당뇨병의 병형 가운데 가장 많은 형은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이다발병은 급격하며 ... ...
목성과 즐거운 화상 채팅?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실제로 관측 가능한 시간은 20분이 채 되지 않을 전망이다. ‘부분일식 맛보기’를
조금
더 오래 보기 원하는 사람은 시야가 트인 곳에서 관측하는 것이 좋다.8월 17일 부분월식지구 그림자가 달의 일부를 가리는 부분월식이 17일 새벽 펼쳐진다. 부분식은 새벽 4시 35분에 시작해 오전 7시 45분에 끝날 ... ...
INTRO 지상 최대 '입자 쇼' 개막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지하 100m 깊이에 ‘원형 터널’을 짓기로 결정했다.그로부터 14년. 이 ‘지하 터널’은
조금
씩 모양새를 갖췄고, 마침내 완공을 눈앞에 두고 있다. 스위스와 프랑스 국경에 걸친 터널 둘레만 약 27km. ‘신의 입자’를 사냥할 거대강입자가속기(LHC)가 그 주인공이다.LHC 대표 임무 5가지LHC(Large Hadron ... ...
2. 내 짝은 초대칭 입자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관찰자가 동일한 각도를 움직여도 결과는 같다.그런데 물리학자들은 이런 대칭과는
조금
다른 ‘초대칭’(supersymmetry)에 주목하고 있다. 거대강입자가속기(LHC) 실험에서 물리학자들이 학수고대하는 결과 중 하나도 초대칭 입자를 발견하는 일이다. 초대칭 입자가 뭘까.현재 입자물리학에는 ... ...
2. 세상에서 가장 비싼 '반물질'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거의 없으며 이에 관한 실험도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 그나마 암흑물질은 상황이
조금
나아 새로운 입자 몇 개가 암흑물질 후보로 거론되고 있고(초대칭입자도 그 중 하나다) 이를 찾는 실험도 세계 곳곳에서 이뤄지고 있다.문제는 우리가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우주의 4.6%마저도 제대로 모른다는 ... ...
벌레가 먹는 버섯이라고 식용은 아니다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비슷한 개나리광대버섯도 독우산광대버섯만큼 치명적이다. 다만 갓 표면이
조금
붉은빛을 띠는 누런색이나 황토색이며 대 표면이 엷은 누런색이란 점이 다르다.독버섯 중에는 모양이 식용 느타리와 비슷한 버섯도 있다. 어두운 밤에 주름살에서 청백색 인광을 내는 화경버섯이다. 대의 밑부분을 ... ...
전자의 '이상행동'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땐 전자의 입자성이 강해져 파동이 갖는 특성인 간섭무늬가 사라졌다. 그런데 전압을
조금
더 높였더니 파동성이 강해져 간섭무늬가 다시 나타났고 초기 전압의 3배로 높이자 간섭무늬가 다시 사라졌다. 이 현상은 파동-입자 이중성을 단순히 적용해서는 설명할 수 없다.심 교수는 “이번 발견이 ... ...
다윈도 깜짝 놀랄 부리의 진화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초기에 더 많이 만들어졌다. 한편 같은 집단에 속하는 3종 사이에도 BMP4의 발현 패턴이
조금
씩 달라 부리 형태의 미묘한 차이를 만들었다.결국 새로운 형태의 부리는 새로운 유전자가 생겨서 나타나는 게 아니라 기존 유전자의 발현 시기와 수준의 변화로 나타난 결과다. 환경에 맞춰 부리 모양이 ... ...
이전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