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분야"(으)로 총 3,596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명硏을 바이오 정책-경제의 구심체로 만들겠다”동아사이언스 l2013.01.28
- 다른 기관에도 생기길 바랄 뿐입니다.” 오 원장은 생명연에서 세계 최고가 될 수 있는 분야로 암과 같은 난치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연구, 천연물 소재의 신약 발굴, 유전체 재설계와 합성 연구 등을 들었다. 특히 스마트센서나 칩으로 질병을 진단하는 기술은 국내 IT기업과 함께 제품을 생산하는 ... ...
- 신약, 유전체, 뇌과학 투자 늘어난다동아사이언스 l2013.01.13
- 발표가 끝나고 이어진 토론에서 토론자들은 ▲국민들에게 필요한 BT연구를 수행할 것 ▲BT분야 인력창출과 일자리 창출 ▲중앙중심 R&D 수행체제에서 지방정부로의 변화 ▲기존기술을 활용한 BT복지 등을 당부했다. 권영근 연세대 교수는 우리가 가진 위기를 BT연구를 통해 해결해야함으로서 BT개발의 ... ...
- 한의학硏, ‘R&D의 재구성’으로 천연물신약 쏟아낸다동아사이언스 l2012.12.31
- 년의 임상실험 경험 담은 한의학 자료 천연물신약 개발에 적극 활용해야 △한의학과 타 분야간의 원활한 소통 위해서는 한의학 교육의 확대 필요 이준혁 팀장은 2001년 경희대학교 한의학과 학사 2007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보건정책관리(경영) 석사 2009년~현재 KAIST 대학원 경영학 박사과정 2004년 1월~20 ... ...
- “생명과학 강국 만들기, 전담부처가 필요해”동아사이언스 l2012.12.25
- 연구개발 실적을 유지하려면 계속 돈을 투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추 전무는 “기초분야는 계속 투자를 해야 하지만, 사업화 부분은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데 집중하고, 돈이 되지 않는 사업은 깨끗이 포기하는 결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추 전무는 “이런 사업구조를 유지하려면 일관된 ... ...
- “기존 연구 반복해봐야 소용없어…새로운 것 찾아라”동아사이언스 l2012.11.26
- 것”이라고도 했다. “반대로 말하면 지금 세포 신호전달물질이나 역분화줄기세포 분야에서 아무리 뛰어난 성과를 낸다고 해도 노벨상은 주어지지 않습니다. 남들이 전혀 도전하지 않았던 학문에 새롭게 뛰어들어야 하는 겁니다.” 이런 문화를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네어 교수는 연구자들의 ... ...
- “기초 연구에 투자한 만큼 성과 나온다”동아사이언스 l2012.10.29
- 더 관심이 있었기에 생물학을 선택한 것이 노벨상까지 받게 됐습니다. 지금처럼 생물학 분야에 경쟁이 심했다면 불가능했을 거예요.” 존 거던 교수 친필 사인이날 거던 교수의 강연에는 국내외 줄기세포 전문가뿐만 아니라 인근 과학고 학생까지 500명이 넘게 참석해 뜨거운 열기가 느껴졌다. 그는 ... ...
- “범부처에 맞는 ‘옷’ 입혀주면 2020년에 글로벌 신약 나온다”동아사이언스 l2012.09.24
- 제약산업에 뛰어들어야 “제약산업은 우리가 틀림없이 세계 10위권 안에 들어갈 수 있는 분야입니다. 단, 의대와 약대로 몰려간 우수인력의 일부가 신약개발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겠죠.” 이동호 단장은 범부처사업을 위한 거버넌스가 갖춰지고, 애초 목표대로 사업이 추진된다면 2020년 안에 ... ...
- “환자를 우선한 연구가 상업화도 빠르게 만들어”동아사이언스 l2012.09.10
- 않는 현실이 안타깝습니다.” ●“바이오는 과학자와 의사의 융합이 가장 필요한 분야” 박 교수는 이르면 내년 말, 당뇨병 환자에게 다른 사람의 췌도를 이식하는 임상시험을 계획하고 있다. 지난해 ‘이종 장기이식’에 좋은 성과를 거뒀지만 아직 이종 이식이 법제화되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해 ... ...
- “교육 선진화도 못하면서 바이오선진화 꿈도 꾸지마라”동아사이언스 l2012.08.28
- 필요 △의사와 생명공학자 뿐 아니라 다양한 연구 분야 ‘융합’이 절실 △줄기세포 분야 연구 포기해서는 안돼 김광수 교수는 1977년 서울대학교 미생물학과 학사 1979년 KAIST 생물공학과 석사 1983년 KAIST 생물공학과 박사 1983~1989년 미국 MIT대 박사후연구원 1989~1994년 미국 코넬대 의대 조교수 1994~1998년 ... ...
- “암 정복보다 중요한 건 ‘행복한 삶’이죠”동아사이언스 l2012.08.13
- 게 가장 중요 △전통과 습관 깨고 ‘새로운 아이디어’에 도전해야 △신약 개발 등 새 분야 개척할 지도자 필요 김성호 교수는 1960년 서울대학교 화학과 학사 1962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물리화학 석사 1966년 미국 피츠버그대학교 물리화학 박사 1966~1972년 미국 MIT대 생물학과 연구원 1972~1973년 미국 ... ...
이전3453463473483493503513523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