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역
범위
방면
지역
영토
장사
기량
스페셜
"
분야
"(으)로 총 3,596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바이오 기업이 주목해야할 미국 바이오
분야
의 특징들
동아사이언스
l
2011.07.20
사들여 임상 2상까지 성공시키는 게 주요 임무다. 참석자들은 한국 바이오가 전자나 조선
분야
처럼 산업화되려면 한국에도 디벨로퍼가 생겨 활발하게 활동해야 한다고 여러 차례 강조했다. 미국 바이오산업계에서 경험이 풍부한 민현석 변호사는 “당장 한국 기업들이 우수한 해외 디벨로퍼를 ... ...
“연구자 홀로서기 지원하는 박사후연구원 정책 필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7.18
게 특징이다. 연구자는 그동안의 연구 실적과 향후 구체적인 계획, 연구결과가 타
분야
에 미칠 영향 등을 작성해 NIH에 신청한다. 심사가 통과되면 두 단계에 걸친 연구지원이 이뤄진다. 첫 단계에서는 PI의 지도 하에 2년간 연구비를 지원 받는다. 이 기간 동안 연구예산을 합리적으로 집행하는 방법, ... ...
“한국 바이오에는 ‘디벨롭먼트(Development)’가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7.17
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현병환 센터장=기업 규모는 한국 정부도 아주 관심을 기울이는
분야
다. 특히 보건복지부가 국내 제약기업 통폐합에 관심이 많다. 보건복지부의 의뢰를 받아 연 매출 3조~5조 원 규모의 제약사를 만들자는 정책을 기획한 적이 있다. 물론 M&A는 정부 주도가 아니라 시장에 ... ...
“연구성과 따른 장려금제도 등 재미과학자도 정부지원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1.07.15
PNAS)’에 잇따라 게재했다. 학술발표에 나선 계 박사도 지난해 12월 줄기세포
분야
권위지 ‘셀 스템 셀’에 줄기세포에서의 마이크로RNA 발현을 주제로 논문을 게재해 연구 성과를 인정받았다. 박 회장은 “한국 생명과학 석학 중 NEBS 출신이 다수 있다”며 “유명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 ...
세계 최대 바이오박람회 키워드는 ‘바이오시밀러’
동아사이언스
l
2011.07.12
참석한 현병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장은 “정부 주도로 20년간 성장했던 생명과학
분야
연구성과가 이제 빛을 보면서 국내 바이오가 산업화 단계로 진입한다는 사실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고 평했다. 이어 그는 “지난해 임상 수행 건수로 한국은 세계 2위다. 전 세계에서 신약을 만들면 ... ...
“선택과 집중의 수월성 경쟁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1.07.05
’ △가능성 있는
분야
에 집중 투자하는 ‘수월성 경쟁’이 이뤄져야 한다. △생명과학
분야
에 스타 과학자를 키워야 한다. △정부는 장기적 안목으로 기초 연구에 지원해야 한다. 김동욱 단장은 -1989년~1991년 고려대 대학원 유전공학 석사 -1993년~1996년 일본 동경대 생명공학과 박사(일본 국비 ... ...
삼성, 글로벌 바이오 전시회에 단독 부스로 참가
동아사이언스
l
2011.06.29
코스닥 시가총액 1위 기업인 셀트리온 관계자도 “훗날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분야
복제약)에서 경합할 수 있는 경쟁자이지만 큰 그림에서 봤을 때 삼성의 대규모 투자는 국내 바이오산업에 긍정적인 현상”이라고 말했다. 현재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인천 송도에 2013년부터 본격 가동될 공장을 ... ...
정혁 생명硏 새 원장의 포부… “연구를 취미생활처럼”
동아사이언스
l
2011.06.21
이론의 핵심이다. 정혁 원장의 ‘이것만은 꼭!’ △기초연구, 인프라 구축, 실용화 연구
분야
를 나눈 다양한 평가 방식이 필요하다 △안정된 연구비 지원으로 창의적이고 연속적인 연구기반을 제공해야 한다 △과학자가 연구에 애정을 갖고 즐겁게 연구할 수 있어야 한다 정혁 원장은 - 1974년~1978년 ... ...
“이제 ‘블록버스터’ 시대는 갔다…하지만 정부는…”
동아사이언스
l
2011.06.08
비해 약값을 후하게 쳐주고 있다. 전자, 조선, 반도체, 휴대전화 등 해외로 진출해 성장한
분야
를 보면 품질을 올리고 가격을 내리는 가격경쟁력으로 살아남았다. 그동안 제약업계는 정부의 보험약가 유지 정책이라는 과보호 밑에서 연구개발보다는 마케팅에 집중해 매출 올리기에 급급했다. ... ...
“생명공학 발전 위해 부처간 조정이 필수적입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6.06
수 있습니다. 윤리를 담보로 한 자유가 필요합니다.” 생명공학은 윤리가 특히 강조되는
분야
다. 이 단장은 “연구자들은 스스로 신뢰를 줄 수 있는 문화를 만들고 정부와 기관에서는 이들이 자유롭게 연구할 수 있게 만들어줘야 한다”고 말했다. 윤리 문제가 있을 때 완전히 퇴출되는 외국과 달리 ... ...
이전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