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노"(으)로 총 1,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암세포 끌어당기는 ‘자석 철사’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이후 자석 철사를 가는 관을 통해 혈관 속에 삽입해, 철사 주변으로 종양세포에 달라붙은 나노 자석입자가 모이게 했다.연구팀은 돼지에게 이 기술을 시험했다. 그 결과 혈관 속 종양세포를 고립시켜 모으는 현재의 암 검출법보다 10~80배 더 많은 종양 세포를 끌어당기는 것으로 확인됐다.스탠터드대 ... ...
- [Culture] 영화 속 그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8호
- 교수팀은 유리와 비교해 99% 투명하면서 전기전도도도 높은 전극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나노 레터스’ 5월 21일자에 발표한 바 있다. 미션 임파서블: 로그네이션(2015년) CCTV에서 몽타주로 범인 찾기 ‘미션 임파서블: 로그네이션’은 헌트가 이륙하는 비행기에 아슬아슬하게 매달리며 펼치는 극적인 ... ...
- [Origin] 물리학의 환상이자 난제, 고온 초전도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마치 파동처럼 주기적으로 정렬돼 있는 상태. 최근에는 차세대 소자 재료로 각광받는 나노미터(nm-1nm는 10억 분의 1m) 두께의 2차원 물질에서 초전도 현상이 발견돼 초전도 연구를 새로운 방향으로 이끌고 있습니다. 필자가 몸 담았던 김근수 연세대물리학과 교수팀은 2차원 반도체를 넓은 폭으로 ... ...
- [Future] 랍스터 하나 주문이요~ 음식도 3D 프린팅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가루 잉크를 인쇄하려면 접착제 역할을 하는 먹을 수 있는 액체가 필요하다. 식품나노공학연구실이 운용하는 3D 푸드 프린터도 가루에 물을 뿌려 굳히는 방식으로 인쇄한다. 프린터 노즐 두 개 중 하나에는 하얀 덱스트린 가루가, 다른 하나에는 일반 프린터와 똑같이 생긴 잉크 카트리지에 물이 담겨 ... ...
- [과학뉴스] 딱정벌레가 가르쳐 준 하얀색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구조색의 일종이지요. 우선 연구팀은 식물 세포벽의 주 구성물질인 셀룰로스를 이용해 나노미터 단위의 미세한 섬유를 만들었어요. 이후 각기 다른 크기의 섬유를 불규칙하게 쌓아서 딱정벌레의 껍데기 구조를 재현했지요. 이렇게 만들어진 흰색은 연구팀이 비교 대상으로 선정한 보통의 종이보다 ... ...
- [Future] 줄었다 늘었다 자유자재, 이런 컵 슬리브는 처음이야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만들어 생체 조직으로 활용하거나, 몸 안에 들어가 혈관을 복구하고 암세포를 죽이는 나노로봇으로 응용할 수 있다. 문 센터장은 “핵심은 ‘변한다’는 4D 프린팅의 특징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아이디어와 설계”라며 “현재는 이런 설계를 구현할 수 있는 스마트 소재 발굴에 집중하고 ... ...
- [과학동아 X KRISS] 아보가드로 상수로 더 명확해진 몰(Mol)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덮여 있다. 단결정의 불완전성 측정, 극미량 불순물 원소 각각의 정량 분석, 수백 나노미터 두께의 산화막에 대한 표면 분석 등을 10-9 수준의 불확도로 수행해야만 한다. 이 책임연구원은 “하나의 표준기관에서는 할 수 없는 일”이라며 “여러 나라,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이 컨소시엄을 이뤄 ... ...
- [Origin] 미래를 비추는 빛, LED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김종명서울대 화합물반도체 에피성장 연구실에서 박사과정 연구원으로 있다. 사파이어 나노멤브레인을 설계해, 고효율 편광 LED와 마이크로 LED를 개발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 ...
- 내가 제일 잘 나가, ‘과일의 제왕’ 딸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빛을 쪼여 반사돼 나오는 빛의 파장을 재는 방식으로 당분을 확인한다. 과당은 700~250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사이의 근적외선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다. 그래서 과일에 빛을 쪼인 뒤 반사돼 나온 빛에 포함된 근적외선이 줄어든 만큼 과일 안에 당이 들어있다는 뜻이다. 딸기의 경우 다른 ... ...
- Intro. 노벨상 향한 대장정 스타트, 중이온가속기 라온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실험시설이자, 산업계에는 새로운 기술 개발의 터전이다. 머리카락 한 올 두께보다 작은 나노미터(nm·1nm는 10억 분의 1m)와, 이보다 100만 배 더 작은 펨토미터(fm·1fm는 1000조 분의 1m)의 세계를 보여주는 최첨단 ‘현미경’이기도 하다. 한국형 중이온가속기 ‘라온(RAON)’이 2021년 완공을 목표로 구축에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