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노"(으)로 총 1,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한 개에 달린 발 두 개, 물건을 집을 수 있는 손 두 개를 가진 이 로봇의 보폭은 고작 6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다. 외부의 조작이나 별도의 에너지 없이 DNA 두 가닥이 서로 결합하는 원리를 적용해 혼자 걸어 다닐 수 있다. 비록실험실 수준이지만, 원하는 물질을 찾아 들어 올려 목표한 지점에 ... ...
- [Origin] 빛으로 뉴런 조절하는 ‘광유전학’의 태동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원하는 뇌 부위에 넣어, 뉴런의 세포막에 채널 로돕신-2를 발현시켰습니다. 여기에 473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의 파장을 갖는 푸른 빛을 쪼여주면 채널의 구조가 변하면서 뉴런 내부에 양이온이 쏟아져 들어옵니다. 세포가 활성화되는 것이죠. 이후 뇌의 활성을 유도하는 채널 로돕신과 ... ...
- [과학뉴스] 조명처럼 잎살에루시페린빛이 반짝!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입자는 식물 내부에서 각각 정해진 자리를 찾아갔어요. 루시페린과 보조 효소가 담긴 나노 입자는 ●잎살에 자리를 잡았고, 루시페라아제는 앞으로 잎살로 만들어질 세포에 들어 갔지요. 그 결과 루시페린과 루시페라아제가 잎살에서 만나 빛이 나기 시작했어요. 반대로 루시페라아제 저해제를 ... ...
- [과학뉴스] 세상에서 가장 작은 ‘DNA 모나리자’과학동아 l2018년 01호
- 2017년 12월 6일자에 발표했다. 인체의 유전정보를 지닌 DNA를 이용하면 분자기계처럼 나노 크기의 구조물을 만들 수 있다. 연구진은 이 특성을 이용해 크기와 모양이 서로 다른 DNA를 조합해 캔버스를 만들었다. 물론 이 작품을 맨눈으로 관찰할 수는 없다. 연구진은 이 기술을 향후 신체 내에서 병을 ... ...
- [시사기획] 폴더블폰, 그분이 오신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터치스크린 패널 센서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두께를 약 3분의 1로 줄였다. 여기에는 은나노선과 인듐주석산화물(ITO) 등이 쓰였다. 60도와 습도 93% 조건에서 10일 동안 수분 침투 방지와 열 차단 효과를 확인했고, 온도를 영하 40도에서 85도까지 변화시키는 실험을 20차례 반복해도 이상이 없었다. 3 ... ...
- [Origin] 유럽의 ‘빛 공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강한 전자기파를 낸다. 이를 방사광이라고 한다. 이때 발생하는 방사광은 파장이 수 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수준으로 매우 짧다. E-XFEL의 경우 0.05nm 수준이다. 이 빛이 세포와 같은 아주 작은 물체를 통과하면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단백질 구조와 특성 등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일종의 ... ...
- 이공계 직업 정보 [화학&신소재]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수도 있다. 나노 구조 안에 수소를 가둬 새로운 친환경에너지를 개발하거나, 전자 부품을 나노 수준으로 줄여 초소형, 초경량으로 설계할 수 있다. 활용 범위가 넓은 만큼 물리학, 화학공학, 신소재공학, 기계공학, 전기전자공학 등 전공 선택의 폭도 크다. 3. 차세대배터리 연구자최근 전자제품의 ... ...
- Part 5. 미래 우주여행은 엘리베이터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가볍답니다. 이론적으로는 10만km를 늘어뜨릴 수도 있지요. 하지만 아직까진 탄소 나노 튜브를 크게 만들 수 없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답니다. 이외에도 긴 케이블이 공기 저항에 흔들림 없이 유지돼야 해요. 또 엘리베이터 카가 대기권을 지날 때 열에 견뎌야 하는 등 아직 ... ...
- Intro. 꽁꽁 얼려서 미래에 녹인다! 냉동인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안녕~, 난 냉동 기술을 연구하는 당나귀 과학자 동키! 최근 난 최초의 냉동 당나귀가 되어 미래에 깨어나기로 결심했어! 2050년에 깨어나도록 설정해 놓고 내가 가장 좋아하는 먹이인 당근과 함께 냉동 캡슐에 들어갔는데…, 아뿔싸! 캡슐 밖으로 당근이 삐져나가고 말았네?! 어떻게 하면 완벽한 냉동 ... ...
- Part 2. [도전 ➊] 세포를 냉동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물의 결정화를 막아라!몸을 차갑게 얼렸을 때 가장 큰 문제는 세포에서 일어나는 ‘수분의 결정화’예요. 우리 몸은 수십조 개의 세포들이 모여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역할을 해요. 하지만 온도가 점점 내려가면 세포를 구성하고 있던 수분이 얼면서 뾰족한 결정 모양으로 바뀌어요. 그럼 마 ... ...
이전343536373839404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