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직각"(으)로 총 446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반도 강타한 공포의 토네이도 용오름과학동아 l2001년 10호
- 5월에 가장 많고 1월에 가장 적다.토네이도가 발생했을 때는 토네이도의 진행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달아나야 한다. 시간이 없을 때는 가까운 도랑이나 좁은 계곡에 몸을 숨긴다. 빌딩 내부에서는 가장 아래층에 숨는 것이 좋다.토네이도는 미국에서만 피해를 주는 것이 아니다. 중국, 일본, 동남아, ... ...
- 에너지를 내손으로 만들자과학동아 l2001년 08호
- 방향은 오른손을 이용하면 쉽게 알 수 있다.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을 다른 네 손가락과 직각이 되도록 편다. 이때 엄지손가락은 전류의 방향, 다른 네 손가락은 자기장의 방향을 가리키도록 하면, 손바닥에서 수직 위쪽으로 나가는 방향이 도선이 받는 힘의 방향이 된다.전자기력을 이용해 계속 ... ...
- 김대건 신부 생전 얼굴 복원과학동아 l2001년 07호
- 최종적으로 청동으로 작업해 흉상으로 제작했다.복원된 김 신부의 얼굴은 이마가 직각에 가깝게 서있고 아래턱의 발달로 전체적으로 갸름한 얼굴이었으며 광대뼈가 옆으로 발달됐지만 앞으로 튀어나오지 않아 전체적으로 볼 때 서구적 모습이었다. 복원상에는 당시의 복식양식을 참조해 상투를 ... ...
- 3. 복잡성 속 숨은 질서 찾는 확률과 통계 우주선 예비부품 몇개가 필요할까과학동아 l2001년 07호
- 12개인 끈고리로 세변의 길이비를 3:4:5로 맞추면 직각삼각형이 된다는 사실을 알아내 직각을 만들어낸 것이다.이처럼 인류는 아득히 먼 옛날부터 수학적 원리를 생활에 직·간접적으로 이용해서 문명을 발전시켜 왔다. 하지만 수학으로 세상을 표현하는 일은 결코 쉽지 않다.여기서 잠시 ... ...
- 수원화성(華城) - 2백년 역사의 성벽에 숨은 지혜3가지과학동아 l2001년 05호
- 무너지는 상황에서는 뒤에 있는 돌들이 노출돼 쉽게 무너지고 만다. 하지만 돌을 성벽과 직각으로 깊숙하게 박히도록 쌓으면, 성벽 앞부분이 무너진다고 해도, 뒤 부분은 여전히 다른 돌과 맞물려 있다.이것이 바로 화성 성벽의 돌 쌓는 방법이다. 뒤 부분의 돌들이 더욱 잘 맞물리게 하기 위해서 ... ...
- 우리민족 산학의 뿌리 '구장산술'과학동아 l2001년 01호
- 바라보고 아주 깊은 것을 측량해서 그 거리를 알아내려면, 반드시 중차를 이용해야 한다. 직각삼각형은 반드시 중차를 비율로 삼아야만 하므로, 중차라고 하는 것이다. 낙양성에 막대 두개를 세워 높이는 8자가 되게 하고, 남북 양쪽 평지 끝에 두어 같은 날 해가 남중할 때(남쪽에 가장 높이 떠오를 ... ...
- 7. 사막에 세워진 대피라미드과학동아 l2000년 12호
- 5m)이고 높이는 √5가 된다. 이 15쿠데(7.5m)의 대각선은 긴 밑변과 긴 변 대각선이 3:4:5인 ‘직각삼각형’이 된다.현실의 위치가 밑변의 절반이 되는 곳에 있는 것도 이집트인들의 높은 기하학 수준을 보여준다.어느 정도 측량 기술을 갖고 있는 사람들은 주어진 정사각형의 대각선이,면적이 두배인 ... ...
- 파도와의 절묘한 만남, 서핑과학동아 l2000년 07호
- 받는 힘은 중력과 부력 두 가지이다. 중력은 지구 중심방향으로 향하고 부력은 수면에 직각 방향으로 향한다. 이 두 힘의 합력은 결국 서퍼를 파도언덕 아래쪽으로 미끄러지게 한다. 마치 스키 타는 사람이 언덕에서 미끄러지는 경우와 마찬가지다. 따라서 파도타기는 파도에 ‘밀려서 움직이는 ... ...
- 3. 평면나라에서 공간나라로과학동아 l2000년 03호
- 물론 승이는 레이제에게 돌아갔다.지금도 공작물이 반원으로 돼 있는지를 검사하기 위해 직각자를 반원에 넣어 본다.대단하지도 않은 이야기 같지만 수학이 잘 알려지지 않았던 중세에는 있을 법한 우스운 이야기다.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많은 간단한 수학 공식들은 수학자들이 자연의 규칙성을 ... ...
- 3월 하늘의 북두칠성 시계과학동아 l2000년 03호
- 뚜렷한 형태를 보여준다. 커다란 물음표처럼 생긴 앞부분은 사자의 머리와 목, 앞발을, 직각삼각형을 이루는 세별은 사자의 엉덩이와 뒷자리이다. ‘?’ 모양은 옛소련의 국기에 그려져 있던 서양 낫과 닮았는데, 이 때문에 서양에서는 옛날부터 이 별무리를 ‘사자의 큰 낫’으로 불러왔다.제일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