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직각"(으)로 총 446건 검색되었습니다.
- 달까지 거리는 얼마인가과학동아 l2000년 03호
- 알 수 있다. 그것을 바라보는 관측자가 지구에 있다는 것을 감안하면, 지구와 달, 태양이 직각 삼각형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생각이 여기까지 미치자 아리스타르코스는 피타고라스 정리를 동원해 거리를 계산할 수 있었다. 그는 지구의 그림자가 달을 가로지를 때 지구와 달의 상대적인 크기를 ... ...
- 산가지 계산법과학동아 l2000년 03호
- 종횡을 번갈아 놓는다. 5까지는 산목의 개수가 곧 숫자이지만 6 - 9까지는 하나의 산목을 직각으로 두어 5를 만들고 나머지를 놓는다.이들을 전체적으로 표시해 보면(그림1)과 같다.이제 이것을 이용하면 인도아라비아 숫자와 똑같은 방식으로 어떤 숫자든지 나타낼 수 있다. 0과 음수는 어떻게 ... ...
- 오리온과 함께하는 겨울의 대육각형과학동아 l1999년 12호
- 베텔규스와 함께 ‘겨울의 대삼각형’의 동쪽 모서리를 이루며, 베텔규스, 폴룩스와는 직각 이등변삼각형을 만든다. 프로키온의 동쪽은 봄의 밤하늘 세계가 펼쳐지기 때문에 겨울 밤하늘의 동쪽 변경을 지키고있는 별자리이기도 하다. 프로키온은 그리스어로 ‘개보다 앞선다’는 의미로 ... ...
-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 태양과학동아 l1999년 10호
- 아리스타르코스는 달이 정확히 반달일 때 태양과 지구, 달이 커다란 직각삼각형을 만든다는 사실에 착안해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 태양까지의 거리를 구했다. 그는 태양이 지구에서 달까지 거리보다 20배 먼 곳에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이로부터 약 2천년 후, 1671년 카시니는 태양까지의 거리를 ... ...
- 외줄 타는 사람은 왜 긴 막대를 가지고 있을까?과학동아 l1999년 09호
- 쉽지 않다는 말이다.사람의 몸은 3개의 회전축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회전축은 서로 직각을 이루고 각각의 축은 우리 몸의 대칭 선이다. 물론 몸의 회전 관성은 회전 축에 따라 다르다. 머리와 발을 잇는 축으로의 회전은 누구라도 가능하다. 서서 빙글빙글 돌기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이 말은 우리 ... ...
- 공룡 몸집이 커진 이유과학동아 l1999년 09호
- 같은 원시적인 파충류와 구별되는 공룡의 중요한 특징이다. 도마뱀과 거북은 몸 옆에서 직각으로 꺾인 다리로 엉금엉금 기어다닌다. 따라서 앞으로 전진하기 위해 몸통을 좌우로 틀어 다리를 움직여야 한다. 악어는 짧은 거리를 뛸 때 몸을 반쯤 들 수 있지만 역시 대부분의 시간을 기어다닌다.굽은 ... ...
- A4 용지는 어떻게 탄생했을까과학동아 l1999년 07호
- 그런데 피타고라스가 증명한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의해 직각을 낀 두 변의 길이가 1인 직각 삼각형의 빗변의 길이는 $\sqrt{2}$가 돼야 한다. 그러나 그는 $\sqrt{2}$가 자연수의 비로 표현되지 않는다는 충격적인 사실을 알게됐다. 자신의 철학에 반하는, 즉 자연수의 지배를 받지 않는 수학적 대상이 ... ...
- Ⅱ. 황금비가 구현된 무량수전과학동아 l1999년 05호
- 대개 엄정한 수적 비례를 가지고 있다. 고대의 사찰 가람에는 구고현(句股弦)법에 의한 직각삼각형의 비례가 적용됐고, 배흘림기둥으로 유명한 부석사 무량수전의 평면에는 1:1.618의 황금비가 적용됐다. 또 고구려의 장군총과 신라의 첨성대 등에는 모두 동서남북의 절대 방위가 숨어있다. 이와 같은 ... ...
- 오감을 뛰어넘는 초감각 지각 ESP과학동아 l1999년 02호
- 있지만 모든 사람이 ESP 능력을 갖고 태어난다고 주장한다. 단지 ESP의 가능성을 믿고 직각력이 뛰어난 사람들이, ESP의 존재에 회의적이고 분석적인 사람들보다 ESP능력이 더 우수할 따름이라는 것이다.ESP를 믿는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ESP 시험에서 적중률이 높은 현상을 일러 양·염소효과 ... ...
- ④ 각광받는 미래에너지 수소과학동아 l1999년 01호
- 유발하지 않는 새로운 개념의 발전기술이다. 연료전지는 (그림2)에서 보는 것처럼 통로가 직각으로 교차하는 접촉면에 전극판 물질을 만들어 수소와 산소를 통과시키면 이들의 화학반응으로 인해 전기가 발생되는 원리를 채용한 것이다.이 장치는 1839년 영국의 그로브(W.R.Grove)가 발명했으며, 1952년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