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0"(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 네, 그래서 이과가 순간이동기술을 만들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운동에너지와 같습니다. 모기 한 마리의 질량은 양성자 한 개보다 약 358740000000000000000배 무겁다는 걸 잘 생각해보세요. 2런 방법도 있습니다 I 축지법을 현실로 만들자문제를 해결하는 데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우선 정공법으로 문제를 푸는 겁니다. 순간이동을 ‘빨리 움직여서’ 이루려 ... ...
- 세계적인 수학자! 김민형 교수와 수다 떨자! 동대문 수학 클럽수학동아 l2022년 09호
- 김민형 교수님과 온갖 수학 이야기를 나누는 모임이랍니다. 2021년 여름, 김 교수님과 10대 학생 2명, 출판사 ‘인플루엔셜’ 이보람 편집자가 모여 첫 모임을 시작했어요. 총 7번 모임을 진행했고, 그 이야기를 담은 책 가 8월 25일(목) 출간됐어요. 김 교수님은 “201 ... ...
- [취미코딩] 게임하는 인간을 이해하는 곳, e스포츠 연구실을 가다!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이한별 학생은 뷰 스위칭, 컨트롤 대담성, 근면성, 무질서도 등 데이터에서 뽑아낸 10개의 특성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뷰 스위칭’은 게임을 하는 동안 자신의 챔피언이 있는 곳 말고 다른 곳을 얼마나 더 자주, 빨리 보고 돌아오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인데, 프로 선수들이 일반인들보다 3 ... ...
- 양성자 없는 기묘한 원자핵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중력은 내부에서 중성자가 양성자로 변하지 않고 뭉쳐있게 한다. 중이온 가속기에서 '10의-22제곱' 초간 존재한 중성자 핵중성자만으로 이뤄진 핵이 존재할 수 있을지 여부는 핵물리학계의 오랜 궁금증 중 하나였다. 최근 이 질문의 답을 찾을 수 있는 증거가 발견됐다. 독일 다름슈타트 공대와 일본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수학을 재밌게 공부하자! 퀴즈 러닝 게임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코드시작’ 버튼을 누르고 ‘Alt+Tab’을 눌러 마인크래프트로 돌아가 채팅명령어 ‘0’을 실행하세요. 빨간 길이 만들어지고 에이전트는 출발점으로 이동해요. 채팅명령어 ‘1’를 실행하면 문제가 나와요. 문제를 확인하고 채팅창에 ‘a ’를 친 뒤 답을 입력하세요. 정답이라면 에이전트가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의미해요. 그래서 pH6인 용액은 pH7인 용액에 비해 수소 이온의 수가 10배 많고, pH8은 10배 적습니다. pH는 온도에 따라서도 변할 수 있기 때문에, 25℃를 기준 온도로 삼아 값으로 나타낸답니다 ... ...
- [수콤달콤 연구소 그림으로 보는 수학] 촉촉하고 달콤해~ 예각, 둔각 쿠키 만들기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예각의 예(銳)는 한자어로 ‘날카롭다’, ‘예민하다’는 의미예요.직각보다 크고 180보다는 작은 각을 둔각이라고 해요. 둔(鈍)은 한자어로 ‘둔하다, 무디다’라는 의미이지요. 달콤은 둔각과 예각이 하나씩 포함된 쿠키 틀을 각각 반죽에 찍었네요 ... ...
- [수학자와 함께 마인크래프트] # 네더월드 정복하기 2. 보스 몬스터 잡고 보스 몬스터 잡고 신호기 만들자! 신호기 만들자!수학동아 l2022년 08호
- nCk(0.025)k(0.975)n - k이에요. 3개 이상의 해골을 얻을 확률은 전체 확률 1에서 해골을 0개, 1개, 2개 얻을 확률을 빼면 돼요. 각각 계산하면 약 0.048, 0.147, 0.225이지요. 때문에 3개의 해골을 얻지 못할 확률은 약 4 ...
- [킹앤카] 소수의 아름다움을 연구한다 테렌스 타오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등차수열’로 표현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해요. 등차수열이란 2, 4, 6, 8, 10 혹은 1, 4, 7, 10처럼 첫 번째 숫자에 일정한 숫자를 점점 더해 나감으로써 만들 수 있는 숫자의 나열이에요. 타오 교수는 소수만으로 이뤄진 등차수열을 만드는 것에 관심을 가졌어요. 예를 들어 3, 11, 19는 항이 3개인 ... ...
- [특집] 황금책의 인상착의는?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8호
- A0 전지를 절반으로 자른 종이가 A1이고, A1을 다시 절반으로 자른 종이가 A2이지요. B0 전지를 잘라서 만드는 B1, B2도 마찬가지예요. 소설책처럼 글이 많은 책은 A5 판형을 많이 써요.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책 크기이지요. 와 같은 잡지는 그보다 큰 B5 판형을 많이 써요. 사진과 그림이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