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0"(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네 계획은 실패다, 좁은마음!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7호
- ”딱지가 다가오는 로봇들에게 큰소리로 외쳤습니다. “넓은마음님을 찬양하라! 3을 0으로 나누면….”그 순간 로봇들이 모두 움직임을 멈췄습니다. 딱지는 기회를 놓치지 않고 넓은마음 앞에 있는 컴퓨터를 향해 전기마비총을 마구 쏘았습니다. 컴퓨터에서 불꽃이 일더니, 펑 하는 소리와 함께 ... ...
- [그래프뉴스] 찬물에 사는 명태는 줄고 따듯한 물에 사는 오징어는 늘고수학동아 l2022년 07호
- 어획량은 1981년 각각 18만 4351t, 4만 6715t이었는데, 2010년에는 각각 24만 9636t과 15만 9130t으로 각각 135.4%, 340.6% 늘었답니다. 김 교수는 “현재 추세로 수온 상승이 계속되면 우리나라 가까운 해역에서 한류성 어종은 점차 감소하고, 난류성 및 아열대 어종의 비중 ...
- [수학체험실] 구의 반지름을 구해줘~! 구면계수학동아 l2022년 07호
- 다리에 눈금자가 부착돼 있다. 구면계의 다리 4개 끝이 같은 평면 위에 있을 때 눈금을 0으로 설정한다. 구면계를 측정하려고 하는 구 위에 놓고, 중심 다리를 위아래로 움직여 4개의 다리 끝이 모두 구면에 접했을 때의 눈금(h)을 읽는다. 이 눈금과 삼각대를 이루는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a)를 ... ...
- [에디터 노트] 독자들과 코인을 캐는 상상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웹3.0 등도 깊이 있게 들여다볼 수 있겠지요. 이런 경험은 앞으로 5년 뒤, 10년 뒤, 20년 뒤에도 삶에 유용한 경험이 될 겁니다. 지금 당장은 어렵지만, 독자 여러분이 함께 해주신다면 가능할 것도 같습니다. 과학동아가 한 뼘 더 성장할 수 있게 도와주실래요? ... ...
- [가상인터뷰] 세계에서 가장 작은 ‘로봇 게’를 만나다과학동아 l2022년 07호
- 형상기억합금 등을 통해 세상에서 가장 작은 로봇을 개발했다. doi: 10.1126/scirobotics.abn0602 개발 과정과 의의를 로봇 게와의 가상인터뷰 형식으로 재구성했다.Q. 어떻게 이렇게 몸집이 작아요?제 몸 곳곳에는 열을 받으면 수축하면서 모양이 바뀌는 재료가 있어요. 바로 ‘형상기억합금’이죠. 레이저 ...
- 호기심의 끝은 파멸... 청소년 마약중독과학동아 l2022년 07호
- 끊는 게 아니라 평생 참는 것”이라며 당시의 시간을 회상했다. 마약을 끊은 지 20여 년이 지난 지금도 가끔 마약이 하고 싶은 갈망이 올라온다는 것이다. 그는 “마약중독자가 된 뒤 당뇨 등 신체적인 문제와 정신적인 고통이 함께 찾아왔다”며 “마약을 끊기까지 정신병원에 11번 입원할 정도로 ... ...
- [시사기획] 소형 핵탄두 등장하나과학동아 l2022년 07호
- 만들어지는 부산물이다. 원자력발전소에서 우라늄이 반응하며 플루토늄-238, 239, 240이 만들어지는데, 습식재처리를 통해 플루토늄-239만을 분리할 수 있다. 농축우라늄의 경우 광산에서 캔 우라늄을 원심분리 등으로 농축해 만든다. 일반적으로 천연우라늄에는 동위원소인 우라늄-235, 238이 0.7대 99.3의 ... ...
- [SF소설] 나와의 다세계적 채팅방 해석과학동아 l2022년 07호
- 너무 강박적인데?]{너까지 그렇게 말하냐}[그러라고 보여준 거잖아. 이 정도로는 동접 100명만 돼도 터질걸.]{아니면 내 속이 불안증으로 터지던가. 아무튼 무슨 말인진 알았어. 네 소설 재미없어.}[그게 뭐여]우리는 잠시 자웅을 겨뤘다. 결국 또 다른 내가 내 소설의 어디가 어떻게 문젠지 열거했는데, ... ...
- [기획] 지구를 살릴 친환경 에너지?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에너지의 60~80%를 재생에너지로 만들도록 권고해요. 우리도 2050년까지 탄소 순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탄소중립 목표를 이루려면 하루 빨리 친환경 에너지로 발전 방식을 바꿔야 한다는 의미죠.에너지 전환에 적극적인 유럽연합(EU)은 친환경 경제활동에 녹색 라벨 표시를 해 주는 ‘EU 택소노 ...
- [가상 인터뷰] 꿀벌도 홀짝 구별한다!수학동아 l2022년 07호
- 이루지 못한 것을 구분한 거라는 추측이 나오고는 있어요. 인간의 뉴런(신경세포)은 860억 개나 돼요. 제 뉴런의 수는 96만 개 정도밖에 안 되죠. 그런데도 사람처럼 이토록 깊은 수학적 사고를 할 수 있다니 놀랍지 않나요 ... ...
이전3233343536373839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