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0"(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 2023년 알림... 비밀번호 없는 세상이 온다과학동아 l2022년 07호
- 3개의 빅테크 기업이 비밀번호 없는 로그인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발표했거든요. FIDO 2.0이 되더라도 애플 기기에서 마이크로소프트 기기로 바꾸면 다시 생체 정보를 등록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번 세 기업의 발표는 여러 기기에서 암호를 동기화해 다시 생체 정보를 등록할 필요가 ... ...
- [시사기획] 소형 핵탄두 등장하나과학동아 l2022년 07호
- 만들어지는 부산물이다. 원자력발전소에서 우라늄이 반응하며 플루토늄-238, 239, 240이 만들어지는데, 습식재처리를 통해 플루토늄-239만을 분리할 수 있다. 농축우라늄의 경우 광산에서 캔 우라늄을 원심분리 등으로 농축해 만든다. 일반적으로 천연우라늄에는 동위원소인 우라늄-235, 238이 0.7대 99.3의 ... ...
- [SF소설] 나와의 다세계적 채팅방 해석과학동아 l2022년 07호
- 너무 강박적인데?]{너까지 그렇게 말하냐}[그러라고 보여준 거잖아. 이 정도로는 동접 100명만 돼도 터질걸.]{아니면 내 속이 불안증으로 터지던가. 아무튼 무슨 말인진 알았어. 네 소설 재미없어.}[그게 뭐여]우리는 잠시 자웅을 겨뤘다. 결국 또 다른 내가 내 소설의 어디가 어떻게 문젠지 열거했는데, ... ...
- [기획] 원자력과 LNG가 친환경? 논란의 택소노미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신중해야 한다는 거죠. 조은별 연구원은 “해외 싱크탱크 ETC 2018년 보고서에 따르면 ‘2050탄소중립’은 가장 배출량이 많은 ‘산업 부문’에서도 기술적으로 가능하다”며, “실제 달성을 위해선 사회적인 합의와 의지가 정말 관건”이라고 했어요. 마지막으론 “현재의 어린이들이 기후위기를 ... ...
- [과학뉴스] “너 지금 삐딱하게 앉았지?” 경고해주는 옷 개발과학동아 l2022년 07호
- 발전 기술을 적용해 착용자의 자세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조끼를 개발했다. doi: 10.1007/s12274-022-4409-0 연구팀의 ‘자가발전식 착석 자세 모니터링 조끼(SPMV)’는 전도성 섬유와 나일론을 엮은 실로 만들어졌다. 조끼는 신축성과 내구성이 뛰어나며, 매우 예민한 센서 역할을 ...
- [가상인터뷰] 세계에서 가장 작은 ‘로봇 게’를 만나다과학동아 l2022년 07호
- 형상기억합금 등을 통해 세상에서 가장 작은 로봇을 개발했다. doi: 10.1126/scirobotics.abn0602 개발 과정과 의의를 로봇 게와의 가상인터뷰 형식으로 재구성했다.Q. 어떻게 이렇게 몸집이 작아요?제 몸 곳곳에는 열을 받으면 수축하면서 모양이 바뀌는 재료가 있어요. 바로 ‘형상기억합금’이죠. 레이저 ...
- [특집] 테라·루나 왜 폭락했을까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이걸 부실 자산이라고 보고 자동으로 청산하게 돼요. 당시 오라클이 잘못되면서 460억 원 정도가 청산됐어요. 테라폼랩스에서 그만큼의 루나를 가져간 거죠. 비유하자면, 5억짜리 집을 담보로 맡기고 3억을 빌린 거예요. 근데 장부에 분명 담보의 가치가 시장가인 5억으로 기록돼 있어야 하는데, 어느 ... ...
- 어르신, 키오스크 왜 못 쓰세요?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속도가 느리고, 밀집된 정보를 해석하기 어렵다는 의미다. doi: 10.1038/s41598-017-08652-0키오스크를 이용할 때는 더 큰 비주얼 크라우딩이 나타난다. 화면의 크기는 작으면서도 많은 정보가 담겨있기 때문이다. 글자 크기는 작고 자간은 좁아 화면을 읽어내는 데 느끼는 어려움은 ...
- [인터뷰] 이산수학 난제 해결한 수학 교사 출신 수학자수학동아 l2022년 06호
- 그 구조와 성질이 급격히 변하는데 여기서 물에서 얼음으로의 변화가 ‘상전이’, 0℃가 ‘임곗값’이에요. “칸과 칼라이 교수님은 실제 임곗값과 비슷할 것으로 예상되는 ‘기대 임곗값’을 구하는 방법을 제시했어요. 그리고 이 기대 임곗값이 실제 임곗값과 가까우리라 추측했죠. 저는 이 ... ...
- [역설 나라의 앨리스] 제6장. 괴델 수와 모순수학동아 l2022년 06호
- 가장 작은 소수부터 차례대로 각 지수로 삼은 뒤 이를 모두 곱합니다. 그러면 2,152,227,000이라는 큰 수를 얻는데요, 이 수가 바로 1 + 1 = 2를 자연수로 변환한 결과입니다. 이것을 1 + 1 = 2의 괴델 수라고 불러요. 이 과정을 따르면 모든 수식은 고유한 괴델 수를 가지게 됩니다. 또한 괴델 수를 ... ...
이전3334353637383940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