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자
구성원
극소량
티끌
미립자
분자농도
농도
뉴스
"
분자
"(으)로 총 3,377건 검색되었습니다.
100년간 교과서에 있던 '브레트의 법칙'에 금 갔다...신약 개발 쉬워질까
동아사이언스
l
2024.11.01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브레트의 법칙 때문에 과학자들이 상상할 수 있는 합성
분자
의 종류가 제한돼 신약 발견에 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막았다"며 "그동안 사람들은 할 수 없다고 생각해서 ABO를 연구하지 않았는데 규칙이 있으면 창의성이 파괴된다"고 밝혔다. - doi.org/10.1126 ... ...
정상세포→종양→암 과정 특성 밝힌다…초정밀 3D 종양맵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4.10.31
각 세포의 변화와 분열을 타임라인을 기록했다. 대장암 환자 418명의 대장 용종을
분자
시계를 사용해 분석한 결과 용종의 최대 30%는 단일 세포가 아닌 여러 세포 유형에서 유래한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용종 중 60%는 성장함에 따라 다른 세포보다 빠른 성장 속도를 보이면서 곧 종양으로 발전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로마테라피가 과학일까
2024.10.30
분자
가 흡수돼 혈관을 타고 뇌의 통증 지각 부위에 도달해 영향을 미친 것일까(이 경우
분자
가 진통제). 학술지 '셀리포츠' 10월 22일자에는 이 의문에 대한 답을 제시한 중국 연구진의 논문이 실렸다. 놀랍게도 결과는 위의 두 가능성 가운데 하나가 아니라 새로운 경로였다. 후각신경구로부터 ... ...
[의학바이오게시판] 강남세브란스병원, '모즈미세도식수술' 1000례 돌파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29
치료를 받은 환자군에서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임상과
분자
간염' 최신호에 게재됐다. ■ 인공지능(AI) 기반 디지털 병리 전문 기업 딥바이오는 내달 3일부터 5일까지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에서 열리는 '패솔로지 비전 2024'에 참가한다고 29일 밝혔다. 이 행사는 ... ...
당뇨병으로 인한 배뇨장애, 줄기세포로 치료길 열까
동아사이언스
l
2024.10.29
근육 전구세포(특정 세포의 전 단계 세포)의
분자
학적 특성이 관찰됐다. 연구팀은 저
분자
화합물 배양 기술을 통해 PFO-MSC를 개발했다. 유전자 조작 없이 단일 공정으로 중간엽 줄기세포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생착률과 항산화능을 높인 치료제다. 신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개발한 PFO-MSC는 ... ...
극저온에서 뭉치는 물
분자
움직임 최초 규명…냉동·에너지 분야 활용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4.10.29
있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플라즈모닉 나노칩 센서를 활용한 실시간 관찰 기술로 물
분자
고밀도 클러스터 형성 과정을 명확히 포착할 수 있었다"며 "연구결과가 동결 기술 및 물 에너지 효율성 증대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 doi.org/10.1002/smsc.20240042 ... ...
'아동 비만 조심해야 하는 이유 있었네'…BMI, 성인기 폐 건강 좌우
동아사이언스
l
2024.10.28
나타나는 특징과 유사하다. 연구팀은 “BMI, 히스티딘, 폐 발달 사이의 연관성을
분자
단위에서 확인하는 단계에는 아직 이르지 못했다”며 “하지만 적어도 상관관계가 있다는 점을 입증한 생물지표는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폐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아동의 체중 조절을 돕는 맞춤형 ... ...
항생제 내성 슈퍼박테리아 막는 전기 흐르는 패치
동아사이언스
l
2024.10.28
점에서 관심을 끈다. 귀롤 쉬엘 미국 샌디에이고캘리포니아대(UC샌디에이고)
분자
생물학과 교수 연구팀은 전류를 가해 미생물을 제어할 수 있는 피부 패치를 설계하고 연구결과를 25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셀 프레스 디바이스 저널'에 발표했다. 과학자들은 질병 치료에 전기를 사용해왔다. ... ...
'생존왕' 물곰, 방사선 노출 이겨내는 비결은?
동아사이언스
l
2024.10.25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공개했다. 과학자들은 물곰이 극한 조건을 견딜 수 있도록 하는
분자
메커니즘을 연구하면 유용한 기술 개발의 실마리가 될 것으로 기대하며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현재까지 약 1500종의 물곰이 발견됐지만 제대로 연구된 종은 극소수다. 연구팀은 중국 허난성 이끼 ... ...
[사이언스영상] 난자와 정자가 만나 배아가 만들어지려면
SEIZE
l
2024.10.25
정자가 달라붙도록 만드는데 이 과정을 연구하기가 어려웠던 탓이다. 오스트리아 빈
분자
병리학연구소 연구팀이 그 과정을 AI로 예측해 논문으로 발표했다. 연구팀이 주목한 건 세 가지 단백질이다. 정자가 갖고 있는 IZUMO1, SPACA6, TEME81이라는 단백질 3개가 모여서 난자에 붙을 수 있는 복합체를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