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대전"(으)로 총 4,012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용카드보다 얇은 배터리 나왔다2015.03.17
- 약물 전달 패치와 하나로 합쳐 만든 초박형 배터리. -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신용카드보다 얇고 자유롭게 구부릴 수도 있는 초박형 배터리를 개발했다. 무선 충전도 가능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을 비롯한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의 성능개선에 큰 도움을 줄 원천 기술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
- 기초연구 보고 ‘중이온 빔’ 국내 발생 첫 성공2015.03.12
- 가속기 연구의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기초지원연 측은 이 기술을 현재 대전에 구축 중인 한국형 중이온가속기 사업과 연계할 예정이다. 중이온 빔을 활용한 다양한 첨단 분석과학장비 개발 및 국산화로 연결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원미숙 부산센터 소장은 “이번 성과를 ... ...
- [초대석] “세계 10大대학의 꿈, 8년 만에 달성 가능한 목표가 됐죠”2015.03.09
- 된다.” 과학기술원은 정부가 과학기술 인재양성을 위해 설립한 연구중심대학으로 현재 대전의 KAIST, 광주의 GIST, 대구의 DGIST 등 3곳이 있다. - 전환이 쉽지만은 않았을 듯하다. “18대 국회에서도 법이 상정됐지만 무산됐다. 이번에도 마지막까지 조마조마했다. 3일 국회 법사위에 올라온 법안 중 ... ...
- “빅뱅 후 3분 우주에 무슨 일 있었나 확인”2015.03.06
- RAON)’은 빅뱅 이후 3분 정도 지난 시점의 우주를 재현하는 게 목표입니다.” 3일 오전 대전 기초과학연구원(IBS)에서 만난 정순찬 중이온가속기건설구축사업단장은 “가속기 분야에서는 후발주자인 우리가 세계 물리학계와 제대로 ‘한판’ 붙어볼 수 있는 최첨단 장비가 바로 라온”이라고 ... ...
- ‘아이 콘택트’하며 화상통화 가능해졌다2015.03.04
- 연구진이 눈맞춤이 가능한 영상회의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제공 상대방과 표정이나 눈짓을 주고받으며 현실감 있는 영상통화를 할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기존보다 한결 실감나는 화상회의시스템 개발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김도영 한 ... ...
- 휴대용 초음파 검사기 가능해진다2015.03.02
- 무전원 신호 증폭이 가능한 음향 증폭 구조물의 모습. - 한국기계연구원 제공 전기가 없이도 소리를 최대 10배까지 크게 증폭시킬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초음파 같은 의료기기, 산업현장 비파괴검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기계연구원 나노자 ... ...
- 스마트폰으로 오존, 자동차 매연 측정 척척2015.02.24
- 스마트폰만 있으면 오존이나 자동차 배기가스, 가스누출 사고 등 각종 공기오염 물질을 언제어디서나 측정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KAIST 기계공학과 박인규 교수(사진)팀은 ‘초소형·초절전 공기오염 측정 센서 원천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24일 밝혔다. 공기오염측정센서는 이미 개발돼 ... ...
- [신나는 공부]창의토론수학으로 뭉친 한·중 수학 영재들동아일보 l2015.02.24
- 주어지는 대회 최고상인 금상은 손지훈(서울보광초 3), 양성빈(대전둔천초 4), 한기훈(대전삼천초 5), 취샤오춘 군(13·중국 닝샤)이 차지했다. 한 군은 “개인전도 열심히 했지만 단체전에서 팀원들과 내놓은 결과물이 높은 점수를 받은 것 같다”며 “다음 WMO 대회에서도 좋은 성적을 내기 위해 ... ...
- 2㎛ 몸 속에 2mm 염색체, 어떻게 들어있을까2015.02.23
- 고분자사슬(보라색)과 단백질(붉은색)을 하나의 독립된 단위체로 확인해 염색체의 응축현상을 설명한 그래픽. KISTI 연구팀은 염색체가 세포 속에서 스스로 형태를 접어가며 다른 물질들의 공간을 확보한다는 사실을 찾아냈다.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제공 우리나라 연구진을 포함한 국제 공 ... ...
- 광우병 소고기, 가짜 건강식품 한 번에 찾아낸다2015.02.22
- 대사체 분석연구 전문지원장비인 ‘초고자장(800MHz) NMR’ 장치의 모습. 자동 시료 교환 장치가 장착되어 대량의 시료 분석 가능하 다.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제공 식품의 원산지를 한층 더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분석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광우병이 여전히 여러 국가에서 발병하 ... ...
이전3473483493503513523533543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