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전시
대전광역시
집대성
전집
충전
회전
큰싸움
뉴스
"
대전
"(으)로 총 4,012건 검색되었습니다.
[청년드림]“3D프린팅, 수요 세분화 시대에 딱…청년층에 새 일자리 가져다줄 것”
동아일보
l
2015.01.14
국민 1000만 명에게 3D 프린터 활용기술을 가르치겠다는 계획이다. 특히 올해 의정부와
대전
, 전북 전주, 경북 포항 등 4곳에 ‘3D프린팅종합지원센터’를 개설하기 위해 정부가 예산 20억 원을 책정했지만 국회 논의 과정에서 70억 원으로 증액하기도 했다.” ―해외에선 더 적극적이지 않나. “물론 ... ...
박물관서 스마트폰만 켜면 ‘도슨트’가 내 손안에
2015.01.12
ETRI 관계자가 백악기 공룡시대에 자신의 아바타를 등장시키는 가상 체험 서비스를 시연해 보이고 있다.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공 박물관이나 전시관에 방문하면 전문적인 지식을 갖고 관람을 도와주는 ’도슨트’를 첨단 IT기술을 통해 구현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2년간의 개발을 거 ... ...
나치가 원자폭탄을 먼저 개발했다면…
2015.01.11
물리학 (배리 파커 著, 북로드 刊) ‘히틀러가 먼저 원자탄을 개발했다면?’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과 독일은 동시에 원자탄 개발 경쟁을 벌였다. 만약 이 시기 독일의 히틀러가 먼저 원자탄 개발에 성공했다면 인류 역사는 어떻게 바뀌었을까? 이처럼 국가와 군을 이끄는 지도자들은 예나 ... ...
100km 떨어진 바다에서 문자메시지 ‘OK’
2015.01.09
ETRI 연구진이 바다에서도 통신이 가능한 해상 디지털통신 시스템을 실제 해상에서 시연해 보고 있다.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공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육지에서 100km나 떨어진 먼 바다로 나간 선박에서도 해상관제센터와 쉽게 문자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기술을 새롭게 개발하고 최근 목 ... ...
남한 곳곳에 北 땅굴 있다고? 그건 ‘거짓말’
2015.01.09
존재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때 사용하는 전파는 40~100메가헤르츠(MHz) 대역으로 휴
대전
화와 FM 라디오의 중간 정도다. 핵심은 전파의 속도다. 송신기와 수신기를 땅 위에서 바닥까지 20cm 간격으로 움직이면서 여러 차례 전파를 주고받는데, 이 사이에 땅굴처럼 빈 공간이 있는 경우 이 ... ...
미래형 초정밀 반도체 개발위한 이론적 기틀 닦았다
2015.01.05
현재보다 더 정밀하고 촘촘한 반도체 회로를 구성할 수 있는 과학적 원리를 국내 연구진이 처음으로 규명해냈다. 이미 한계에 도달한 반도체 집적도를 한층 더 끌어올릴 수 있는 원리로 국내 반도체 업계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슈퍼컴퓨팅본부 류훈 선임 ... ...
이통 3社도 “새로운 판을 짜라” IoT 본격 경쟁
동아일보
l
2015.01.05
뜻이다. SK텔레콤은 이미 지난해 음향기기 전문 업체 아이리버를 인수하는 등 ‘IoT
대전
(大戰)’을 치를 준비를 차근차근 해왔다. IoT 가치 사슬의 핵심으로 꼽히는 플랫폼을 중심으로 사업을 강화, 확대한다는 방침도 세웠다. SK텔레콤은 2012년 자체 IoT 플랫폼을 상용화한 데 이어 정부의 개방형 IoT ... ...
[일반상대성이론 100주년] 3쪽자리 논문에서 시작된 100년의 혁명
2015.01.02
1915년 11월 25일, 제1차 세계
대전
의 포화 속에 학술지 ‘프로이센 과학 아카데미’에 3쪽짜리 짧은 논문이 실렸다. 당시 36세의 젊은 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일반상대성이론을 세상에 처음 공개한 순간이었다. 올해로 발표 100주년을 맞이하는 일반상대성이론은 물리학뿐 아니라 ... ...
스마트폰 6대만 있으면 고성능 홈시어터 안부러워
2014.12.30
KAIST 연구진이 스마트폰을 이용해 구현한 5.1채널 스피커를 야외에서 체험하고 있다. - KAIST 제공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 개인용 정보단말기 여러 대를 모아 영화감상용 고성능 스피커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송준화·신인식 KAIST 전산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은 여러 대 ... ...
뇌경색 미리 알 수 있는 ‘위험 지도’ 나왔다
2014.12.30
국내 연구진이 뇌혈관이 막혀 뇌 조직이 괴사되는 질병, 즉 뇌경색의 위험 정도를 객관적으로 알아볼 수 있는 ‘표준 자료’를 완성했다. 뇌경색은 흔히 중풍이라고도 불리는 ‘뇌졸중’의 주된 원인이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국가참조표준센터는 동국대 ‘한국인 뇌MR영상 데이터센터’를 포함한 ... ...
이전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