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전시
대전광역시
집대성
전집
충전
회전
큰싸움
뉴스
"
대전
"(으)로 총 4,012건 검색되었습니다.
심근세포 운명 좌지우지하는, 너는 누구냐
2014.12.25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국내 연구진이 심장 세포가 왜 죽고 왜 살아 남는지, 그 근본 이유를 규명해 냈다. 심부전, 심근경색 등 다양한 심장병의 근원적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조광현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석좌교수팀은 김도한 광주과학기술원(GIST) 교수팀과 공동으로 심장 ... ...
과학기술계에도 ‘유공자’ 생긴다
2014.12.24
마련됐다. 현재 사학연금의 82% 수준인 과기인 연금을 2017년까지 90%로 확대하고, 서울과
대전
등 주요 도시에 과학기술인의 교류를 지원하기 위한 ‘과학기술인 커뮤니티센터’를 설치하며 과기인 전문병원을 지정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심의회는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개발(R&D)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
2014.12.22
18살 때 동네 바위에서 발견한 상어 화석에 대한 논문을 발표한 화석 마니아였다. 2차 세계
대전
에 참전한 뒤(물론 독일군으로) 1945년 튀빙겐대에 들어가 고생물학을 공부했다. 대학원에서 쥐라기와 트라이아스기 화석을 연구하던 자일라허는 1951년 파키스탄의 염지대(Salt Range)를 탐사하다 초기 ... ...
1000분의 1초만에 안경 도수가 바뀐다고?
2014.12.19
렌즈의 모습. 전기가 흐르면 렌즈의 굴곡이 변한다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공 17일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한 연구실. 연구원이 전압을 바꾸자 지름 1cm도 안 되는 작고 둥근 투명 플라스틱 렌즈가 미세하게 부풀어 올랐다. 맨눈으로는 감지할 수 없는 수준의 아주 작은 변화였다. 그 ... ...
처음부터 끝까지 한결 같은 메탄올 연료전지
2014.12.17
국내 연구진이 에너지 문제와 환경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연료전지 기술을 한 단계 더 진보시키는데 성공했다. 성영은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연구단 그룹리더가 이끄는 연구진은 중금속 제거와 에너지 생산 효율을 동시에 높일 수 있는 하이브리드 연료전지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 ... ...
[기자의 눈] ‘체면’과 과학 발전을 맞바꾼 대한민국
2014.12.16
중요성을 주장해 왔다.
대전
시도 대덕특구와의 상생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
대전
시민과 대덕특구 간 상생발전을 위한 선포식’을 가진 것이 불과 지난 달의 일이다. 입으로 과학의 중요성을 말해 왔다면, 적어도 눈 앞까지 다가온 가까운 미래 만큼은 대비해야 정책결정자로서 올바른 판단이 ... ...
햇빛만 있으면 CO₂로 메탄올 얻는다
2014.12.15
식물은 햇빛을 받아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에너지를 내 놓는다. 이런 식물의 탄소동화작용을 인공적으로 흉내 낸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없앨 수 있을 뿐아니라 새로운 에너지원을 생산할 수도 있어 지구온난화에 대비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백진욱 한국 ... ...
우리 몸에 이로운 미생물이 있다고요?
동아사이언스
l
2014.12.10
‘금요일에 과학터치’ 강연을 12월 12일 오후 6시 30분부터 △서울 △부산 △
대전
△광주 △대구 등 5개 도시에서 연다. ‘금요일에 과학터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www.sciencetouch.net)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트위터 ‘금과터’(@sciencetouch)를 팔로우(follow)하면 매주 최신 강연소식을 ... ...
경쟁은 생명체의 숙명인가
2014.12.08
필자도 은혜를 아는 동물인지라 퇴사하고 16년이 지났음에도 모친상 소식에 혹한을 뚫고
대전
까지 내려간 것이다. 드라마 ‘미생’의 모습이 과연 전형적인 대기업의 상황인지는 지금도 갸웃하지만, 치열함의 차이는 있을지라도 사람 사는 곳에 경쟁이 없을 수는 없을 것이다. 물론 필자처럼 ‘참 ... ...
한국형 무인선박 기술, MIT 이어 세계대회 2위 등극
2014.12.07
MIT)가 차지했다. KAIST측은 10월 경기 종료 후 경기용 선박을 배편으로 국내로 수송해 4일
대전
갑천변에서 시연행사를 진행해 이 같은 사실을 공개했다. 이번 대회는 각 팀이 주최국으로부터 경기용 선박을 한 대씩 지급받은 뒤 제어 소프트웨어만 개발해 참여하는 방식이어서 공정한 경기가 ... ...
이전
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