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뉴스
"
조금
"(으)로 총 3,851건 검색되었습니다.
성적 줄세우기 그만… 내신-수능 절대평가로 바꾸자
동아일보
l
2015.02.12
당부했다. 정광필 전 이우학교 교장도 “최근 10년 사이에 단위학교에서 스스로
조금
씩 변화를 만들어가는 것에서 희망을 찾을 수 있다”면서 “특히 공익을 위해 소셜펀딩을 하는 이들이 늘어나면서 파급력도 커지고 있는데 이런 활동을 어떻게 지원할지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정우탁 ... ...
막대기를 움직인 건 수맥인가 내 마음인가?
과학동아
l
2015.02.10
발견된 땅굴은 전부 휴전선 근처에서 발견됐는데, 어느새 서울까지 왔다니요. 하지만
조금
만 생각해보면 고개를 갸웃하게 됩니다. 충정로에서 가장 가까운 휴전선까지 거리를 재 봤습니다. 직선으로만 40km가 넘더군요. 실제로 땅굴을 팠다면 이보다 더 길겠지요. 제가 땅굴 전문가는 아니지만, ... ...
지구 내핵에 또 다른 내핵 있다
2015.02.10
맨틀이 있고 그 아래엔 외핵과 내핵이 존재한다. 지금까지 내핵은 반지름이 달(1700km)보다
조금
작은 1300km 정도이며 고체 상태의 철 덩어리로 존재한다고 알려졌다. 이번에 연구진은 내핵이 상부 내핵과 하부 내핵으로 다시 한번 나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앞서 다른 연구진이 제기한 주장에 대해 ... ...
양자역학에 나비효과는 없다
2015.02.08
있는 것도 수학적으로는 두 경로의 선형중첩으로 기술되기 때문이다. 만약 양자역학에
조금
이라도 비선형성이 있다면, 중첩상태에서 하나의 상태로 귀결되는 일이 저절로 일어날 수 있다. 그렇다면 측정을 통해서만 상태가 결정되는 기괴한 가정(양자측정문제)이 필요 없을 수도 있다. 노벨물리학상 ... ...
테크노마트 진동과 인간의 본능
2015.02.08
흔들리게 만드는 진동수와 일치하게 됐다면 ‘어쩌다 그렇게 됐다’는 설명보다는
조금
더 과학적으로 설득력 있게 느껴진다. 테크노마트 진동도 어쩌면 ‘인간의 에너지 절약 본능’ 때문이었을지도 모른다. ... ...
우유 마시는 사람은 '어른아이'
2015.02.04
lactose intolerance)’이라고 합니다. 안타깝게도 이 증세는 고칠 수가 없습니다.우유를 매일
조금
씩 마신다고 내성이 길러지지 않습니다. 다만 증세만 나아지게 할 수 있습니다. 락타아제가 들어있는 알약을 먹어서 외부에서 효소를 공급해 주면 됩니다. 과학동아 제공 ● 이상한 건 우유 마시는 ... ...
양자역학 없는 세상
2015.02.01
차면 부도체가 되고, 다 채우지 못하면 도체가 된다. 전자가 자유롭게 움직이려면 밴드에
조금
이라도 빈 공간이 있어야한다. 결국 자유전자는 물질 속 원자들의 중첩상태와 밴드의 빈 부분을 통해 돌아다니는 것이다. 그래서 자연 상태의 물질은 모두 도체이거나 부도체, 둘 중의 하나다. 그런데 ... ...
간편요리 허니버터칩, 직접 만들어보니...
2015.01.30
블로그, 온라인 뉴스 같은 SNS에서 허니버터칩의 언급량은 하루 100건에도 미치지 못했다.
조금
씩 꾸준히 늘어나던 허니버터칩 언급량은 어느 순간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이런 현상은 ‘상전이 현상’과 닮았다. 상전이란 온도나 압력에 따라 물질의 상태가 완전히 달라지는 현상을 의미한다. 마치 ... ...
[인터뷰] “나는 곧 나의 ‘커넥톰(Connectome)’” 서배스천 승 美 프린스턴대 교수
2015.01.30
단면으로 나눠 보면서 연결된 조각을 찾아 마우스로 색칠하며 쥐의 시신경 커넥톰을
조금
씩 완성해가고 있다. 게이머들이 승 교수의 든든한 조력자이자 연구원인 셈이다. 승 교수는 지난해 5월 이를 토대로 망막이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하는 이유가 시신경에 전달되는 신호의 시차 때문이라는 연구 ... ...
[기고/남승일]세계가 북극으로 몰려드는 까닭은
동아일보
l
2015.01.29
못했다. 날씨가
조금
나아졌을 때 헬기를 띄워 해빙 상태를 관찰한 후 항로를 변경하면서
조금
씩 앞으로 나가는 일뿐이었다. 그렇게 하기를 일주일, 필사의 고투(苦鬪)를 벌인 끝에 우리는 8월 26일 드디어 북극점에 도달했다. 1993년 독일 유학 시절 폴라르스테른에 올라 첫 북극탐사를 시작한 뒤 열 ... ...
이전
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