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뉴스
"
조금
"(으)로 총 3,889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를 듣는다 1] “낙후된 중소기업과 교육 살려야”
2015.03.22
조순 전 경제부총리는 20일 서울 관악구 행운동 자택에서 본보와 만나 “1980년대 이후
조금
씩 쌓여온 문제들이 이제 부메랑이 돼 한국 경제를 강타하고 있다”면서 “저성장의 위기에서 벗어나려면 수출과 성장 지상주의의 관점을 버리고 사람을 중심으로 하는 인본주의적 시각으로 교육과 기업 ... ...
치아 건강에 해로운 습관 8가지...과식도 치아에 해가 될수 있다?
동아닷컴
l
2015.03.18
감염 위험을 높인다. 치아 건강에 해로운 습관 마지막은 바로 이갈기다. 이를 갈게 되면
조금
씩 이가 마모되기 마련인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마우스 가드를 끼고 자는 것도 한 방법이다. 치아 건강에 해로운 습관. 사진=동아닷컴DB 동아닷컴 디지털뉴스팀 기사제보 dnews@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 ...
6억 년 전 해면 동물 화석 발견
2015.03.16
뒤 1872년 6판이 나올 때까지 다윈의 고민은 본질적으로 해결이 되지 않았지만 다윈은
조금
이라도 도움이 되는 발견이라고 생각되면 새로 판을 짤 때 반영했다. 그러다보니 6판에 캐나다에서 발견된 ‘에오조온 카나덴세’의 화석 소식을 듣고 “에오조온은 모든 동물 중에서 가장 하등한 강(綱)에 ... ...
지긋지긋 꽃가루 알레르기… 약으로 치료하면 나쁘잖아? 아니래!! !
동아일보
l
2015.03.16
알레르기 질환의 근본 치료법으로 일부에서는 면역 치료를 시행하기도 한다. 알레르겐을
조금
씩 체내에 투여해 면역력을 키우는 방법이다. 그러나 면역 치료의 경우 시간이 오래 걸리고, 모든 환자에게 적용하기는 힘들다는 게 단점이다. 이세형 기자 turtle@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 ...
LHC 이번엔 암흑물질 찾는다
과학동아
l
2015.03.04
했다. 그러나 2010년과 2011년에는 절반인 7조eV에서 충돌을 일으켰고, 2012년에는
조금
더 에너지를 올려서 8조eV에서 충돌실험을 했다. 지난 2년간의 휴지기는 LHC가 최대성능인 14조eV를 낼 수 있도록 준비하는 시간이었다.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전 소장 롤프-호이어는 “오랜 휴식 끝에 LHC가 ... ...
열렸다 닫혔다 마법의 ‘나노 통로’
2015.03.04
당겼다가 놓으면 수축하는 정도에서 차이가 생기면서 주름이 생긴다. 여기에서
조금
더 변형시키면 만들어진 주름의 윗부분이 맞닿아 접힌 상태가 된다. 이때 주름이 앞뒤로 길게 뻗어 있기 때문에 마치 고속도로 터널처럼 위쪽은 막혀 있고 끝부분은 열린 통로 형태가 된다. 접힌 상태에서 다시 ... ...
사우디아라비아 수출하는 원자로 ‘스마트’
2015.03.04
가장 큰 장점은 안전성이다. 대형 원전처럼 분리형 원전의 경우 기기를 연결하는 배관이
조금
이라도 깨지면 고온고압의 방사능 오염물질이 새어나올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스마트처럼 일체형 원전은 모든 장비가 압력용기 안에 들어 있어 지진 등으로 사고가 나더라도 방사성 물질이 외부로 유출될 ... ...
[출동! 명예기자] 민자연사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3.03
볼 수 있을 거예요. 아마 세계에서 가장 멋진 광물 박물관이 되지 않을까요? 그때까지
조금
만 기다려 주세요. ※ 더 많은 과학기사를 2015년 3월 1일자 어린이과학동아에서 만나보세요. ... ...
[요즘대세 공대가 좋아 Part3] 터치스크린 발표에 농담도 영어로
과학동아
l
2015.03.03
어플. 10년 전만 해도 공대생이라면 누구나 공학용계산기를 갖고 다녔다. 손바닥보다
조금
더 큰 검은색 계산기는 시험 볼 때 ‘커닝페이퍼’를 숨기는 데도 유용했다. 요즘은 한 반 40명 중에 공학용계산기를 쓰는 학생이 5명도 채 되지 않는다고 한다. 그것도 갓 전역한 복학생. 요즘 이공계 ... ...
[3D 프린터, 혁명을 출력하다 Part1] 3D 프린터, 날개를 달다
과학동아
l
2015.03.02
딱딱히 굳은 층을 1mm 아래로 내린 뒤, 또 다시 액체를 채우고 레이저를 쐈다. 이번엔
조금
더 큰 원형으로 굳혔다. 이 과정을 수십 번 반복한 끝에 그는 작은 푸른색 컵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3D 프린터로 만든 세계 최초의 물건이었다. 1983년, 이렇게 스테레오리소그라피(SLA) 방식의 3D 프린터가 ... ...
이전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3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