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때
시각
타임
시점
세월
시
타이밍
d라이브러리
"
시간
"(으)로 총 14,019건 검색되었습니다.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잠에 대한 모든 것!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3호
친구와 남산도 처음 가 보고, ‘쎈토이 뮤지엄’과 남산타워 전망대에서도 즐거운
시간
을 보냈어요. 폴란드 친구는 한국 방문 중 헬로키티 생일에 참가한 것이 가장 재미있었다고 해요. 생일파티에 초대해 준 헬로키티에게 고마움을 전하고 싶어요. “헬로키티야, 생일파티에 초대해 줘서 정말 ... ...
[과학뉴스] 경북 포항에 규모 5.4 지진 발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3호
지진은 주파수가 낮은 중저주파 지진이었어요. 주파수가 낮을수록 흔들림이 지속되는
시간
이 길어져 더 큰 피해를 입는답니다. 이번 지진에서는 우리나라 기상 관측 이래 처음으로 ‘액상화’ 현상도 나타났어요. 액상화는 지진으로 인해 땅에 있던 물이 지표면 위로 쏠리면서 지반이 물렁해지는 ... ...
Part 3. [활약2] 지구를 넘어 화성까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2호
고출력 추력기보다 연료를 적게 써요. 그래서 과학자들은 저출력 추력기를 사용하면
시간
은 오래 걸리지만 훨씬 먼 우주까지 갈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음료수 캔이 인공위성이 된다?! 큐브샛Part 1. 작지만 강한 큐브샛Part 2. [활약1] 뭉치면 강하다!Part ... ...
[가상인터뷰] 겨울에 작아졌다가 봄에 다시 자라는 동물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2호
매우 활발히 움직이기 때문에 에너지를 보충하기 위해 쉴 새 없이 먹이를 찾아요. 두세
시간
만 먹이를 먹지 못해도 굶어 죽을 정도랍니다. 알리: 그럼 춥고 먹이를 찾기 어려운 겨울엔 어떡해?첨서: 너구리나 곰, 오소리 등의 동물들은 겨울이 되면 겨울잠을 자요. 하지만 첨서는 크기가 매우 작아서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2호
하드보드지를 이용해 VR 헤드셋을 만들어보기도 했어요. 다양한 체험 코너를 둘러보느라
시간
가는 줄 몰랐답니다.사이언스 페스티벌은 매년 열려요. 내년 사이언스 페스티벌에서 더 재미있는 과학기술과 함께 만나요~ ... ...
Part 2. [활약1] 뭉치면 강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2호
수 있어요. 그래서 넓은 지역을 관측하기 위해선 지구를 여러 번 지나야 하기 때문에
시간
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지요. 반면 큐브샛은 여러 대가 줄을 맞춰 움직이는 ‘군집비행’을 하면 훨씬 넓은 지역을 동시에 관측할 수 있어요. 또 다목적 위성 한 대를 만들어 운영할 때보다 비용도 적게 ... ...
Part 5. 별처럼 반짝반짝~ 캔, 인공위성이 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2호
지난 1998년 교육용으로 개발했어요. 상공 수백 미터까지 올라갔다가 다시 내려오는 짧은
시간
동안 위성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만들었지요. 캔을 날리는 방법은 여러 가지예요. 발사체를 대신해 기구를 캔에 달아 띄우거나, 작은 로켓으로 하늘에 올릴 수 있어요. 최근에는 드론에 캔위성을 매달아 ... ...
[과학뉴스] 개의 표정은 인간 때문?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2호
결론을 내렸어요. 연구를 이끈 줄리언 카민스키 연구원은 “개가 짓는 표정은 사람과 오랜
시간
살고 길들여지면서 진화된 결과일 수 있다”고 말했어요 ... ...
Part 4. [활약3] 우주쓰레기를 줄여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2호
머물 수 있는
시간
이 달라요. 궤도가 낮을수록 중력을 크게 받기 때문에 머물 수 있는
시간
도 줄어들어요. 그럼 자연스레 지구로 떨어지면서 대기 중에 불에 타 소멸되고 말지요. 예를 들어 한국과학기술원의 LINK는 400km 궤도에 있기 때문에 1년 정도 지나면 지구로 떨어질 예정이지요. 반면 2013년 ... ...
[현장취재] 지구에서 떠나는 화성 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2호
흔적이 남아 있어요. 물에 떠다니던 남세균이 모래에 엉겨 붙은 다음, 이 모래가 오랜
시간
동안 쌓여 화석이 되었어요. 당시 바다에 있던 이 미생물이 광합성을 하면서 지구에 산소가 생겨나기 시작했답니다. 이처럼 미생물과 모래가 섞여 만들어진 화석을 ‘스트로마톨라이트’라고 불러요. 층층이 ... ...
이전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