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때
시각
타임
시점
세월
시
타이밍
d라이브러리
"
시간
"(으)로 총 14,019건 검색되었습니다.
[현장취재②] 지구사랑탐사대 5기 심화교육 곤충 표본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8호
빼내고 그 안을 솜으로 채운 뒤 약품 처리를 한다”고 설명했어요. 하지만 이 과정은
시간
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심화교육에서는 형태를 고정하는 방법만 배웠지요. “표본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곤충의 몸 중앙에 해당하는 가슴부분, 또는 머리와 가슴이 만나는 곳의 부드러운 살에 표본용 핀을 ... ...
Part 2. 100일 동안 하늘을 둥둥~ 초고압 기구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8호
기구를 100일 이상 띄우는 거예요. 지금까지 가장 오래 뜬 초고압 기구의 기록은 46일 20
시간
19분이랍니다. 인터뷰 “ 직접 만든 우주선을 하늘에 띄워 지구를 관측해요!”레베카&킴벌리 영 (미국 시애틀 컨트리 데이 스쿨) 미국 시애틀의 초등학생인 레베카와 킴벌리는 직접 만든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8호
몸은 주변 환경이 바뀌면 그에 알맞게 변해요. 해외로 나가서 시차가 바뀌면 잠드는
시간
을 바꾸는 것처럼 말이죠. 이를 ‘적응’이라고 한답니다. ‘적응(適應)’은 ‘맞을 적(適)’과 ‘응할 응(應)’이 합쳐진 한자예요. 이 중 ‘맞을 적’은 의미 요소인 ‘갈 착(辶)’과 발음 요소인 ‘밑동 적(啇 ... ...
[과학뉴스] 패션도 내게 맡겨! 움직이는 액세서리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7호
벨벳과 같은 특정한 소재에서는 옷 표면에 자국을 남기면서 그림을 그릴 수도 있어요.
시간
이 흐르면 자국은 사라지기 때문에 일회용 즉석 패션이 된답니다. 이뿐만 아니라 키노는 통화 기능이 있어서 전화가 오면 목 근처로 움직여요. 또 로봇에 장착된 온도 센서가 온도 변화를 탐지해 스카프를 ... ...
Part 3. 인공지능으로 똑똑하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7호
내려받아 볼 수도 있어요. 티센크루프에서는 홀로렌즈를 도입한 후 엘리베이터 수리
시간
이 4분의 1로 줄었다고 밝혔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초고층 빌딩을 넘어 우주로! 슈퍼 엘리베이터Part 1. 초고층 빌딩을 만든 슈퍼 엘리베이터Part 2. 초고속 엘리베이터로 꼭대기까지 ... ...
[지사탐 여름캠프] 국립생태원에서 펼쳐진 생물 탐사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6호
숲에 사는 곤충을 만나다!올해 지구사랑탐사대 5기 여름캠프는 충남 서천에 위치한 국립생태원에서 ‘생물 탐사 대작전’이라는 주제로 열렸어요. 이번 캠프에는 지구사 ... 있었던 지사탐 여름캠프! 무더위 속에서도 지사탐 가족들의 뜨거운 탐사 열정을 느낄 수 있는
시간
이었답니다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민물고기에 대한 모든 것! 중앙내수면연구소 탐방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6호
조종천 탐사 현장마지막으로 대원들은 조종천으로 향했어요. 목적은 민물고기 탐사! 1
시간
동안 무려 26종의 민물고기를 220마리 넘게 채집했어요. 이 가운데는 고유종인 참종개, 새코미꾸리, 줄납자루 등이 포함돼 있었어요. 몸이 투명한 줄새우와 초록색을 띤 새뱅이 등 민물에서 사는 새우들도 볼 ... ...
Part 5. 냉동인간, 우주로 향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6호
얼린다는 점에서 매우 비슷해요. 또 두 기술 모두 몸의 활동을 최소로 했다가 원하는
시간
에 다시 깨어나 정상 생활을 하는 걸 목표로 한답니다. 실제로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인공 동면 기술 ‘콜드 슬립’을 연구하고 있어요. 2030년쯤 화성에 우주인을 보내는 유인탐사에 사용할 계획이지요. ... ...
Part 3. [고리 1호기] 해체까지 남은 숙제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6호
지나 세기가 줄어들기를 기다려야 하지요. 그래서 원자력 발전소를 해체하는 데 오랜
시간
이 걸리고, 많은 기술이 필요한 거랍니다. 한국원자력연구원 해체기술연구부 서범경 부장은 “최대한 빠르고 안전하게 원자력 발전소를 해체할 수 있도록 가장 중요한 원자로 내부의 제염 기술과 원격 절단 ... ...
Intro. 과학으로 안전하게 해체한다! 굿바이~, 고리 1호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6호
작업에 들어갈 예정이에요. 그런데 원자력 발전소를 해체하는 데는 15년 이상이라는 긴
시간
이 필요하다고 해요. 대체 왜 이렇게 오래 걸리는 걸까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과학으로 안전하게 해체한다! 굿바이~, 고리 1호기Part 1. [고리 1호기] 시작과 끝Part 2. [고리 1호기] 어떻게 ... ...
이전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