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간"(으)로 총 14,01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지구를 지나친 역대급 소행성, 3122 플로렌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번밖에 없었던 희귀한 현상이랍니다. 두 위성은 크기가 100~300m 정도이고, 각각 8시간과 27시간을 주기로 3122 플로렌스 주위를 공전하고 있었지요. 3122 플로렌스가 위성을 갖고 있는 건 커다란 덩치 덕분이에요. 소행성이 위성을 잡고 있는 힘은 중력인데, 일반적으로 크고 무거운 소행성일수록 ... ...
- [가상인터뷰] 카시니 호, 토성에서 최후를 맞이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온도, 오로라, 그리고 북극의 소용돌이 연구에 도움이 될 거예요. 이제는 정말 가야 할 시간이에요. 밤하늘에서 토성을 보게 되면 저를 한 번씩 떠올려 주세요. 안녕~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시간의 기준이 되는 곳이기도 해요. 지구는 하루에 한 바퀴씩 자전해서 경도 15°마다 1시간씩 차이가 생겨요. 이때 그리니치 천문대의 본초자오선을 기준으로 태양의 움직임을 계산한 시각을 ‘세계시’라고 한답니다 ... ...
- [과학뉴스] 수심 8178m에 사는 물고기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촬영하는데 성공했답니다. 미끼로 고등어를 단 관측 장치를 8178m까지 내려보내 17시간을 기다린 끝에 심해어 한 마리를 촬영할 수 있었지요. 이 심해어는 ‘심해꼼치’로 불리는 물고기예요. 몸길이 20cm 정도에 전체적으로 희고 반투명한 색깔, 그리고 가늘고 긴 꼬리지느러미가 특징이랍니다. 사실 ... ...
- Part 4. 개기일식, 영화가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사진들을 ‘이클립스 메가무비2017’ 앱에 올리면 개기일식이 미국 대륙을 통과한 경로와 시간 순서에 따라 순서대로 이어붙이게 돼요. 90분 간 관측된 개기일식의 여정이 고스란히 한 편의 영화로 탄생하는 거지요. 물론 영화 제작이 이 프로젝트의 목적은 아니에요. 일단 전체 개기일식의 경로를 ... ...
- Part 1. 기구 타고 날씨와 우주를 관측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9시)에 ‘라디오존데’라는 관측 기기를 기구에 매달아 띄우고 있어요. 관측자료는 실시간으로 전송돼 일기예보를 만드는 데 쓰인답니다. 이때 과학자들은 헬륨처럼 공기보다 가벼운 기체를 넣는 ‘가스 기구’를 써요. 가볍기 때문에 18~37km 높이까지 올라갈 수 있거든요. 우주 입자와 방사선을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어둠 속에 남겨진 쪽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물체나 먹이에 부딪힌 뒤 반사되어 다시 박쥐에게 돌아오지요. 이때 초음파가 돌아온 시간과 범위 등을 이용해 장애물을 피하거나 먹이를 사냥할 수 있답니다. 박쥐가 동굴에 거꾸로 매달려서 생활할 수 있는 이유는 독특한 발 모양 덕분이에요. 박쥐의 손과 발은 갈고리 모양으로 생겼어요. ... ...
- Part 1. 축제 같았던 2017 개기일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약 90분! 그 속도는 약 시속 3400km로 측정됐지요. 한 지점에서 개기일식을 볼 수 있는 시간은 불과 2분 30초 정도예요. 하지만 개기일식을 본 사람들은 한결같이 짧지만 아주 강렬한 경험이었다고 말했어요. 아이다호주 머스탱공원에서 개기일식을 관찰한 이한울 학생(광명 광덕초5)은 “달이 태양을 ... ...
- Part 5. 개기일식을 만들어라! 인공 개기일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동안 인공 개기일식을 관측할 수 있다고 밝혔어요. 지구에서보다 개기일식을 관측하는 시간이 훨씬 길 뿐만 아니라, 우주에서는 대기의 산란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관측 정확도도 높지요. 한편,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우주항행학과 시모네 다미코 교수는 오리가미 방식의 접는 우주선으로 인공 ... ...
- Part 3. 미래엔 기구에서 산다?! 기구의 무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11월 18일에는 미국 뉴멕시코주의 화이트 샌즈 사막에서 7명의 사람들이 에어로센을 타고 2시간 15분 동안 비행하는 데 성공했어요. 화석 연료나 태양 전지판, 헬륨, 배터리 없이 오직 공기만을 이용해 가장 오랫동안 비행한 기록이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하늘 위로 과학 ... ...
이전3543553563573583593603613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