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표면"(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새벽 동쪽 하늘의 수성 관측 최적기과학동아 l1994년 03호
- 이 거대 행성의 4대 위성을 관측할 수 있고, 80mm 이상의 굴절망원경이라면 표면 줄무늬와 남적도대에 위치하는 대적반을 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이달 3일과 30일에는 각각 월령 20.5와 17.8의 달이 2도 30분 정도의 거리를 두고 지나가게 된다.■ 오리온자리 카이(Chi)성의 상식상현달보다 조금 큰 월령 8. ... ...
- 3. 1996년 2단 중형 로켓발사의 디딤돌과학동아 l1994년 03호
- 2백55, 2백90, 3백10, 4백50nm(10-9m) 파장대의 자외선 복사흡수량을 측정한다. 태양센서는 로켓표면에 나 있는 가는 슬릿을 통해 들어오는 빛의 각도를 측정해, 로켓이 얼마나 기울어져 있는가에 따른 오존측정값의 차이를 보정해준다.측정된 신호는 5V 이내의 값들로 S밴드를 이용해 1백60kbps의 전송속도로 ... ...
- 4. 극저온·초고온에 견디는 신소재를 찾아라과학동아 l1994년 03호
- 그러나 탄소·탄소는 6백℃ 이상의 산소분위기에서 내산화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재료의 표면을 내산화성이 강한 실리콘 카바이드로 코팅해 사용하기도 한다.앞으로 각종 로켓의 발전은 경량성 고온재료의 요구가 증대될 것이다 ... ...
- 안개에서 물뽑아 생활용수로 이용한다과학동아 l1994년 03호
- 망 하나의 면적이 48㎠이고 이런 망이 78장 있으므로 단순계산으로 13만1천L에 이른다.지구표면의 약 30%는 구름에 싸여 있는데, 구름속 수분은 작은 적운 하나로도 10만-1백만L에 이른다. 이 공기속의 수자원을 이용하는 방법은 지구에 어떠한 오염도 끼칠 염려가 없다. 게다가 한번 설치로 6년은 쓸 수 ... ...
- 화학- 고대 4원소설에서 원자설 태어나기까지과학동아 l1994년 03호
- 속에서 물질을 불 공기 물 흙의 4원소로 나누는 것이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깨달았다. 표면적으로 관찰하면 에너지를 대표하는 불과 물질의 세 가지 상태인 기체 액체 고체를 대표하는 공기 물 흙으로 물질을 분류하는 것은 실제 물질을 변화시켜서 물질의 화학적인 성질을 알게 된 이들에게는 ... ...
- '공기 비타민' 음이온과학동아 l1994년 03호
- 양이온 ${M}^{+}$는 음극인 방전극에 충돌 흡수된다. 이때 충돌에너지에 의해 방전극 표면에서 새로운 전자가 튀어나와 양이온에 의한 방전극면에서의 γ작용의 2차 전자 방출로 방전이 계속 되는데, 음이온 생성메커니즘은 방전침 부근의 전리역 내에서 αγ작용의 전자사태로 발생한, 운동에너지가 큰 ... ...
- PART.1 게임을 제대로 즐기려면과학동아 l1994년 03호
- 미리 겁을 먹고 아이가 해달라는 대로 해주기 십상이지만 대부분의 게임은 패키지 표면에 쓰여있는 문구나 화면 사진을 보면 그 게임의 성격을 알 수가 있다.게임 가운데는 '에코퀘스트 : 고래왕 세터스를 찾아서(EcoQuest:Search for The Cetus)'나 '잃어버린 숲속의 비밀을 찾아서(Lost Secret of the Rain For ...
- 지구과학- 흑점수는 11.2년 주기로 증감과학동아 l1994년 03호
- 플레어 홍염(사진3) 등이 자주 나타나며 코로나(사진4)의 크기가 커진다. 태양 표면에서 일어나는 자기장 폭발은 태양의 중력에 잡혀 있는 이온화된 가스를 일시에 우주 공간으로 방출하는데, 이때 방출하는 에너지는 수소폭탄 1천만 개에 해당하는 엄청난 에너지다. 방출된 입자들이 수시간 또는 ... ...
- 4. 사람에게만 서식하는 종류는 퇴치가능과학동아 l1994년 02호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호흡기 점막세포에서 주로 증식하기 때문에 호흡기 점막 표면에 항체가 있으면 쉽게 퇴치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사람뿐 아니라 돼지 말 닭 등 다른 동물 세포에서도 증식하면서 쉽게 항원성이 변하는 것이 특징이라 이에 대응하는 백신개발이 ... ...
- 빛의 밀도비 f수에 따른 망원경 선택과학동아 l1994년 02호
- 낮으므로 밝게 볼 수 있는 망원경(f수가 작은 것)이 필요하고, 행성이나 이중성의 경우는 표면 밝기는 높은 반면 시직경이 작으므로 밝게 볼 수 있는 망원경보다는 많은 확대를 할 수 있도록 초점 길이가 긴 망원경(f수가 크다)이 필요하다.즉 먼하늘 물체의 관측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상을 얼마나 ... ...
이전3523533543553563573583593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