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3) 1초에 30번 회전, 서울시만한 크기에 태양과 같은 무게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높이만 약간 다르게 매달은 것이다. '중력에 의한 적색편이 현상'에 의해 단색신호등은 지
표면
운전자에겐 자동적으로 초록색 노란색 그리고 붉은 삼색 신호등으로 보이게 된다 ... ...
PART 1. 문답으로 알아보는 그래픽 상식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질감을 준다. 렌더링은 선으로 물체의 윤곽을 작성하는 모델링이 끝난 후 여기에 조명과
표면
질감을 정해주고 이것을 어떤 각도의 카메라 시점에서 보는가를 지정해줌으로써 처리된다. CAD나 애니메이션 분야 등에서 주로 사용된다. 그래픽에도 폰트처럼 비트맵 방식과 벡터방식이 있다는데비트맵 ... ...
우주발전 현실로 다가온다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우주태양발전의 기준모델을 나타내고 있다. 정지궤도상에 5㎞×10㎞ 두께 0.5㎞의 구조물
표면
에 태양전지 시트를 깔고 태양에너지를 직류 전력으로 변환한 다음, 클라이스트론(속도변절관)을 이용해 직류를 마이크로파로 변환시키며 이것을 직경 1㎞의 안테나에서 지상 수신 안테나인 약 10㎞×13㎞의 ... ...
성운·성단·은하 관측의 첫걸음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향하고 있는 모습은
표면
밝기가 낮아 보기가 어렵고, 반대로 완전히 측면인 경우가
표면
밝기가 높은 경우라 할 수 있다. 특히 M104 솜브렐로 은하는 은하를 가로지르는 암흑대가 인상적이다.불규칙은하는 말 그대로 일정한 형태를 갖추지 않은 은하인데 M82가 대표적이며 특히 이 은하는 가운데의 ... ...
화학- 기름·물 모두 친한 알칼리대명사 비누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넣었다. 여기에 백금전극 대신 구리로 된 전극을 연결했다. 플루오르는 구리와 반응,
표면
에 플루오르화물의 얇은 막을 형성해 더 이상의 산화를 방지해준다. 음극에서는 수소가 생성됐고 양극에서는 플루오르가 생성됐다(그림2). 할로겐 화합물의 두 얼굴할로겐은 반응성이 커서 다양한 화합물을 ... ...
(2) '블랙홀은 검지 않다'-은하 밝기 맞먹는 거대한 에너지 방출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이름은 벌레구멍이란 뜻으로 벌레가 사과의 한
표면
으로부터 구멍을 통하여 반대편
표면
으로 가면 지름길이 된다는 것에서 유래되었다.그러나 실제로 웜홀여행이 가능하다고 믿는 천문학자들은 거의 없다. 무엇보다도 웜홀의 한쪽 끝 블랙홀에 로켓을 타고 접근하면 조종사가 강한 중력 때문에 ... ...
태양에 검은 반점 남기는 수성의 일면통과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부분을 가리는 대신 태양에 작고 검은 반점이 나타나는 것으로 관측될 것이다. 즉 목성
표면
에서 일어나는 영 현상과 같은 모습이다.그러면 이 수성의 일면통과 현상에 대한 자세한 자료와 관측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그림)에서와 같이 이번 수성의 일면 통과는 태양의 남쪽 하단부에서 일어난다. 이 ... ...
사용하긴 쉬워도 이해하긴 어려운 멀티태스킹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비해 최우선권을 부여받지 않은 나머지 모든 작업은 이면작업(Background Task)이라 불린다.
표면
작업은 진행되는 상황을 화면에서 볼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화면에 나타나지 않는다고 그 작업이 중단되는 것은 아니므로 시분할을 이용한 멀티태스킹을 할 때는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백그라운드와 ... ...
(1) 초기 우주때 태어난 1세대별 사라지고 5세대별 등장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알 수 있다.이 때 빛의 양은 별의 내부가 어떤 상태에 있는가를 가리키고, 색깔은 별의
표면
이 어떤 상태에 있는가를 보인다. 광도와 색지수로 나타내는 그림을 H-R도라 한다(그림3). 별들이 늙어가는 진화경로는 질량에 따라 달라짐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여윈 사람과 뚱뚱한 사람이 늙어가는 모습이 ... ...
강 여행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어떤 것은 림노리아속(屬)의 바닷니(虱)와 같이 아주 조그맣다. 이 동물은 나무의
표면
을 조금씩 갉아먹는다. 배좀벌레 조개류의 좀조개라 불리는 이 2피트 길이의 연체 동물은 구멍을 파서 나무의 내부로 들어간다. 플라스틱으로 나무 말뚝을 감싸는 식으로 구멍벌레를 몰아내거나 이미 손상된 ... ...
이전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