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대전 EXPO에 등장한 첨단 영상기법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영화관이다. 관람석은 전혀 움직이지 않지만 화면이 움직이면서 관람객 스스로가 화성
표면
에 착륙하는 기분을 느낄 수 있다. 돔화면만이 연출할 수 있는 독특한 기법이다.입체영화가 고도로 발전한 형태가 바로 아이맥스 솔리도. 돔화면에다 입체영상(두대의 카메라)을 영사하고 영사기에서 ... ...
지층·생성기원 따라 물에도 나이가 있다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지하수라고 부른다. 그럼 지하의 상태부터 알아보기로 하자.우리들이 생활하고 있는
표면
은 대부분 부드러운 흙(다공질매체)으로 돼 있으며 지하로 내려갈수록 여러 층과 더불어 돌멩이 썩은 층 그리고 돌멩이(암석)층으로 돼 있다. 이런 상태로 된 지층에 지표수가 서서히 땅속으로 스며들어 물을 ... ...
세갈래로 갈라진 보름달만한 삼렬성운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토성고리의 윤곽정도를 확인할 수 있고, 2백배율 이상의 4인치급 굴절 망원경이라면 토성
표면
의 줄무늬와 화려한 고리의 모습을 자세히 확인 할 수 있을 것이다.그리고 1백50배율 정도에서 매일매일 토성 주위의 별들을 자세히 스케치해 보라. 움직이는 별들이 있을 것이다. 이것이 바로 토성의 ... ...
금세기 최대의 유성우 페르세우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충돌하게 된다면 이 충돌열에 의하여 지구는 불바다가 되고 멸망하게 된다. 달과 수성
표면
을 생각해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달의 크레이터들은 대부분 운석의 충돌에 의해 생긴 것인데, 우리가 망원경으로 볼 때 작아 보이지만 실제는 지름이 몇십km나 되는 엄청나게 큰 것이다.지구가 ... ...
침강된 지각 용암형태로 재분출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플룸으로부터 분출된 화산암의 유리질 성분 속 산소를 분석해보면 한때는 그것들이 지구
표면
에 있었던 구성성분을 포함하고 있다는 결론을 피할 수 없다고 한다.독일의 연구선인 '소네'가 피카인섬에서 떨어진 해산(海山)에서 채취한 유리질 성분은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독일인으로 구성된 ... ...
태양
표면
의 흑점수를 세어보자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것이다. 대부분의 빛과 열을 방출장치를 통해 프리즘 밖으로 빠져 나가게 하면서 프리즘
표면
에서 반사하는 미약한 빛만이 아이피스에 닿도록 고안되어져 있는 기구다. 물론 이 때에도 접안경에는 그 밝기에 맞는 선글라스는 필요하다.직시법 이외에 '태양 투영판'이라고 하는 판 위에 백색의 도화지 ... ...
생물- 신경세포 3백억개 모인 거대한 정보처리용 컴퓨터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대뇌는 뇌의 75%를 차지하며
표면
은 대뇌 피질이라는 주름으로 돼 있다. 이 주름을 펼치면
표면
적이 신문지 한면 크기나 된다.인간의 뇌는 원래 무수 신경(수초가 없는 신경)을 주역으로 하는 아날로그형 컴퓨터이고 그 일부가 유수 신경(신경 섬유가 수초로 싸여있는 신경)으로 진화되어서 디지털형 ... ...
재료공학계의 새바람 폴리머 시트 탄생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10년간 하버드대 등에서 2차원 분자구조체가 만들어 졌으나, 그것들은 금시트나 액체의
표면
에 의해 지지(支持)되는 것이었다. 이들의 공통적인 문제는 구조체가 불안정하다는 점. 지금까지는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지지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는 폴리머 시트 제조에 성공한 것은 스터프 팀 뿐이다 ... ...
우주의 나이 어떻게 재나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구조를 변화시키며 결과적으로 별의 바깥부분은 급격히 팽창하게 된다. 따라서 별의
표면
온도는 감소하게 되는데, 천문학자들은 이러한 상태를 적색거성 단계라고 부른다.현재의 태양이 앞으로 약50억년후 적색거성으로 진화하면 그 반지름은 지구궤도를 넘어갈 것으로 예측돼, 그때까지 지구상에 ... ...
자외선 오존층 뚫고 지구 위협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경우에는 UV-B를 오랫동안 쪼이면 자외선을 잘 흡수하는 새로운 물질들이 생성되어 잎의
표면
에 축적됨으로써 자외선에 의한 악영향으로부터의 자체 보호기능을 나타낸다. 이렇게 생성되는 자외선 차단 물질들은 독성을 띠어 식물의 병충해 예방에도 일조하고 있다.한편 자외선은 질병치료의 한 ... ...
이전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3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