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뉴스
"
표면
"(으)로 총 4,020건 검색되었습니다.
‘소용돌이’ 생기는 수수께끼 풀었다
2015.09.06
규명했다고 6일 밝혔다. 연구진은 초고속 엑스(X)선 현미경을 이용해 물방울이 액체
표면
에 떨어지는 순간의 모습을 100만 분의 1초 단위로 쪼개 분석했다. 그 결과 떨어진 물방울 벽면을 타고 액체가 올라가는 과정에서 탄성파 에너지가 퍼져나가면서 둘 사이에 소용돌이가 만들어지는 것으로 ... ...
‘인공 세포핵’ 유전 질환 치료길 연다
2015.09.04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생체 고분자 물질에 DNA를 연결한 방식으로
표면
이 지질막으로 코팅돼 있어 세포 속에 쉽게 넣을 수 있다. 또 유전정보를 전달하는 전령RNA(mRNA)를 생산할 수 있고 단백질을 만들도록 유도하는 등 일반 세포핵의 기능을 그대로 수행한다. 실제로 이 시스템에 ... ...
PART 0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과학동아
l
2015.08.27
내놓는다는 설 등이 있다. ○ TIP : 공식 기념품은 다이아몬드? 해왕성과 천왕성의
표면
은 액체 다이아몬드로 가득 찬 다이아몬드 바다일 가능성이 높다. 미 국립 로렌스 리버모어 연구소가 ‘네이처 피직스’ 2010년 1월 발표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다이아몬드가 고체에서 액체로 녹는 순간의 ... ...
필터 하나로 여러 색 한번에, 디스플레이용 컬러필터 개발
2015.08.25
연구진은 빛이 금속과 유리 같은 유전체(誘電體·전기가 통하지는 않지만 전기장 안에서
표면
에 전하를 띠는 물체) 사이의 경계면에서 파장별로 투과율이 달라진다는 점에 착안해 색 조절이 가능한 컬러필터를 개발했다. 유리 기판 위에 알루미늄 나노선을 배열하고 그 위에 다시 유리 기판을 올린 ... ...
“다 잡아 먹겠다” 가시광 흡수율 높인 초박막 광소재
2015.08.18
조절하는 방법으로 가시광선을 집중적으로 흡수하는 광소재를 만들었다. 먼저 기판
표면
위에 원자를 층층이 쌓을 수 있는 ‘원자층 증착법’을 이용해 원자 단위로 박막을 성장시켜 두께를 조절했다. 그 다음 텅스텐과 몰리브덴을 배합해 두 원자의 비율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앞서 말한 밴드갭을 ... ...
잃어버린 효모의 기원을 찾아서
2015.08.17
마치 꽃이 향기와 화밀을 내 꿀벌을 끌어들여 꽃가루를 몸에 묻혀 수분을 하듯이 과일
표면
에 있는 효모가 향기성분을 만들어 과일을 더 향기롭게 함으로써 찾아온 초파리 몸에 묻어 새로운 서식처를 찾아가는 것이다. 실제로 과일을 찾은 초파리를 잡아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면 다리나 더듬이에 ... ...
그래핀 따윈 버려! ‘포스포린 반도체’ 나왔다
2015.08.14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처음 확인했다. 인(P)에 고온 고압을 가하면 흑린이 되고, 흑린
표면
에서 몇 층을 떼어 내면 머리카락 굵기의 10만 분의 1 수준인 0.5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정도의 ‘포스포린’이 된다. 김근수 포스텍 교수(왼쪽)와 논문 1저자인 김지민 포스텍 연구원. - 포스텍 제공 ... ...
방학도 잊은 채 과학실험-토론… 과학고? 아니, 일반고!
동아일보
l
2015.08.13
있어요. 양치질을 하고 입을 제대로 헹구지 않으면 계면활성제가 몸속에 들어가 장기
표면
을 녹여요. 이때 발생하는 가스가 입으로 나오면 입냄새가 나요. 이제 돼지 지방을 계면활성제에 담가 이 과정을 실험할 거예요.” 지난달 30일 오후 서울 은평구 동명여고에서는 여름방학임에도 과학실험반 ... ...
원하는 모양대로 만들 수 있는 신개념 리튬전지 개발
2015.08.11
“일상생활에서 입는 옷이나 사용하는 자재들의 큰 모양 변화 없이도 배터리를
표면
에 자연스럽게 부착해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큰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나노분야 학술지인 ‘나노레터스’ 12일자에 실렸다. ... ...
전기요금 10분의 1로 낮춘 신개념 3D TV 나온다
2015.08.09
조절함에 따라 두 가지 다른 상태가 공존할 수 있는 액정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표면
이 매끈하고 균일한 네마틱 상태와 거칠고 다공성인 등방성 상태가 섞여있기 때문에 영역별로 빛이 굴절하는 방향이 달라져야 하는 3D용 디스플레이에 바로 적용할 수 있을 걸로 보인다. 송 교수는 “기존 ... ...
이전
354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