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뉴스
"
표면
"(으)로 총 4,020건 검색되었습니다.
배터리 충전속도 3배 높이는 나노막 개발
2015.07.27
사용해 분리막을 개발했다. 고분자 재료의
표면
특성을 바꿀 수 있는 ‘
표면
에너지 개질제’를 사용해 일부분을 녹여내 벌집 구조의 나노막을 제작하는데 성공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나노막은 전체의 70%가 규칙적인 구멍으로 이뤄진 구조다. 이 막을 배터리용 분리막으로 사용해본 결과 배터리 ... ...
삼성이 원하는, 이런 게 진짜 도전 연구 ‘셋’
2015.07.24
바르면 반사율이 5%까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 교수는 “빛을 모조리 흡수하는
표면
을 만들고 빛에너지를 손실 없이 내부로 전달할 수 있다면 태양전지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양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이사장은 “지금까지 노벨 과학상은 경쟁이 치열한 ... ...
[포토 뉴스] ‘뉴호라이즌’이 보낸 두 번째 사진
2015.07.23
뉴호라이즌이 14일 촬영한 명왕성의 위성 닉스와 히드라, 그리고 명왕성
표면
(왼쪽부터 순서대로). -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공 NASA는 21일(현지시간) 명왕성 탐사선 ‘뉴호라이즌’이 보내온 사진 두 장을 공개했다. 위 사진은 명왕성에서 새로 발견한 산맥 지형을 담고 있다. 높이가 미국 애팔래치아 ... ...
놀이동산 같은 체험활동… 재능 - 끼 활짝
동아일보
l
2015.07.17
한 여학생의 손등에 볼펜처럼 생긴 디지털 현미경을 갖다 대자 옆에 있는 모니터에 피부
표면
이 800배 확대된 모습이 나타났다. 눈으로 볼 땐 매끈하던 피부가 모니터에서는 그물 같은 모습으로 뜨자 주변 학생들이 탄성을 질렀다. 김 교사는 “우리 학교는 평소 디지털 실체 현미경, 자외선 센서 등 ... ...
[명왕성 첫 탐사] 인류, 9년 6개월 만에 드디어 명왕성과 만났다
2015.07.15
지름이 알려진 것보다 80㎞가량 더 긴 2370㎞ 안팎이라고 밝혔다. 지금까지 명왕성의
표면
적은 러시아보다 조금 좁은 것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새로 밝혀진 지름을 토대로 계산하면 러시아보다 면적이 조금 넓다. 뉴호라이즌은 무게 478㎏으로 피아노만 하다. 적외선과 자외선 분광계, 고해상도 ... ...
도라지와 관중 성분, 혈전증 위험 낮춘다
2015.07.14
않았던 쥐에 비해 혈액 응집능력이 약 92% 억제됐다. 머리에서 혈액을 공급하는 경동맥
표면
에 직접 상처를 내고 살펴본 결과 E20을 투여하지 않은 경우 19분 후 혈전이 생성되던 것에 비해 약 2.2배 늦어진 39분 만에 혈전이 생성됨을 확인했다. 또 관중이라는 한약재 추출물인 W197-C1의 경우 혈소판 ... ...
에이즈 백신 개발을 향해
2015.07.12
다가가고 있다고 평가했다. 사이언스가 주목한 4가지 연구는 모두 에이즈 바이러스
표면
에 있는 당단백질 복합체에 관한 연구다. 당단백질은 에이즈 바이러스가 숙주세포에 들어가게 해 주는 역할을 하는 만큼 최근 에이즈 바이러스 백신 개발의 열쇠로 주목받고 있다. 이 단백질은 똑같은 ... ...
전기 잘 통하는 ‘나노시트’ 얼음으로 만들었다
2015.07.07
방법을 설명하는 모식도. - 포스텍 제공 연구진은 폴리아닐린을 얼음 위에 뿌려주면 얼음
표면
에 육각형 모양으로 균일하게 형성된 수산화이온과 결합하면서 얇은 2차원 막을 형성한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실험 결과 폴리아닐린과 수산화이온의 반응 시간을 조절하는 방법을 통해 원하는 두께를 ... ...
“저는 빛만 있으면 암세포를 부숴 버립니다”
2015.06.30
나건 가톨릭대 생명공학과 교수(사진)팀이 유전자 항암치료의 효율을 6배 이상 높이는 나노 전달체를 개발하고 국제학술지 ‘어드밴스트 펑셔널 머티리얼스’ 17일자에 발표했다. 최근 암치료에서 부작용과 환자가 겪는 고통이 큰 화학 항암제 대신 특정 유전자를 몸에 넣어 암을 치료하는 ‘ ... ...
세월호 인양 7가지 질문
과학동아
l
2015.06.30
바닥에서 3m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바닥에 가까울수록 마찰력으로 유속이 느리고,
표면
에 가까울수록 유속이 빠르다. 살짝 들어 이동 / 세월호는 침몰지점에서 3m만 들어올린 뒤 조류가 잠잠한 동거차도 남단쪽으로 이동해서 인양할 가능성이 높다. ● 크레인을 쓰지 않는 방법은 없나 크레인은 ... ...
이전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