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다름
차이
d라이브러리
"
상이
"(으)로 총 472건 검색되었습니다.
'양치식물의 천국' 제주도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있다. 화산구의 안쪽 경사면은 32-37도의 급경사인데, 민간인 통제 지역이라 다양한 식물군
상이
보존돼 있다.빽빽한 나무와 수풀들 사이로 많은 종류의 양치식물이 자라고 있었다. 사전에 독사가 출몰한다는 주의를 들었는데, 실제로 탐사진은 오전 탐사 동안 독사 두마리와 만나기도 했다. 이곳에서 ... ...
밤하늘의 길잡이 쌍안경 선택법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즉 시야의 중심과 주변의 초점이 일치하지 않는 것이다. 광시야 쌍안경에서 이런 현
상이
생길 확률이 많다. 쌍안경 시야의 상은 초점을 맞추었을 때 전체가 선명하게 맞아야 한다. 그러나 초점이 틀린 정도가 심한 것이 아니라면 무시하고 사용해도 된다. 왜냐하면 초점이 완벽하게 일치하는 ... ...
밤하늘의 길잡이 쌍안경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까다롭고 정밀한 조립이 요구되므로 일반적으로 가격이 비싸지만 포로프리즘식보다 별
상이
좀 더 선명한 편이다.3. 쌍안경 선택시 고려해야 할 성능과 기능들● 구경:구경이 클수록 상은 밝아지고 보이는 시야도 장대해지므로 좋지만 가격이 문제다.● 사출동공:사출동공의 개념은 망원경의 경우와 ... ...
PART.1 두눈 시각차 이용, 환상의 3차원 영상 만든다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프로젝션 시스템'이란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다는 점과 편광으로 인해 광도가 줄어들어 영
상이
희미하게 보인다는 단점이 있다.마지막으로 LCD셔터 안경에 쓰이는 기술은 편광효과와 유사하다. LCD 셔터방식의 안경은 비용면에서 비싸지만 질과 편리성에서 다른 방식보다도 가장 우선한다. 또한 ... ...
미래를 여는 복잡성 과학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이론이 새로운 궁금증을 갖게 했다. 사람과 같은 고등동물의 게놈은 약 10만개 이상의
상이
한 단백질을 합성하는 유전정보를 갖고 있다. 이처럼 복잡하고 거대한 게놈의 조절체계에서 유전자의 활동이 제어되는 과정에 대해 의문을 갖게 된 것이다. 이 의문을 풀기 위해서 카우프만은 게놈의 ... ...
생물 - 마이크로 세계 신비에 도전, 전자현미경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만큼 상세하게 밝혀낼 수 있다. 최근에는 주사 전자 현미경이 개발되었는데 물체의
상이
3차원 입체로 보이게 된다.1950년부터 크게 발달하기 시작한 전자 현미경은 그때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세포의 미세 구조를 속속 밝혀내어 생명과학의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하게 되었다.전자 현미경의 가장 큰 ... ...
윈도즈용 워드프로세서 '윈워드'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편집 기능 강화에 초점을 맞춰 개발됐다. 종횡 동시 편집 및 인쇄 기능으로 페이지마다
상이
한 방향의 편집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프린터에 대한 별도의 작업 없이 페이지에 지정된 방향대로 인쇄할 수 있다.윈도즈용 워드프로세서가 가진 속도 문제를 개선한 이 제품은 국가 행망용 워드프로세서인 ... ...
3. 염색체의 DNA에 투과, 인위적 돌연변이 유발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결과에 의하면 피폭자의 자녀가 1백만명이 있을 때 그중 20명(0.02%)에서만 유전적 이
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확률계산이 보고돼 있다(유엔 방사선효과 연구위원회 보고, 1988). 방사선과 관계 없는 인체의 자연적 돌연변이에 의한 선천성 기형의 발생률이 1백만명당 약 6만내지 10만명(6-10%) 정도이므로 ... ...
4. 사람에게만 서식하는 종류는 퇴치가능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대부분 인체에 질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에서는 방어항체의 생성을 유도하는 항원의 성
상이
확실하지 않기 때문에 재조합 백신을 개발하기가 쉽지 않다앞서 언급한 박시니아백신, 홍역백신, 폴리오백신 등은 살아있는 바이러스를 약화시킨 생(生)백신이다. 반면 뇌염백신이나 B형 간염백신은 ... ...
빛의 밀도비 f수에 따른 망원경 선택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중요한 것은 상을 얼마나 밝게 해주느냐이고 행성이나 이중성 관측에서 중요한 것은
상이
일그러지지 않게 얼마나 많은 확대를 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보통 망원경 제작에 있어서 같은 구경일 때 f수가 큰 것일수록 만들기 쉽고 렌즈의 정밀도도 크게 만들 수 있으므로 f수에 따라 가격 차이도 많이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