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다름
차이
d라이브러리
"
상이
"(으)로 총 472건 검색되었습니다.
망원경 조립·조정 요령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ε별쪽으로 북극성을 기울인다(극축조절장치를 이용해서). 단 파인더의 시계는 도립
상이
므로 보기에는 큰곰자리의 η성쪽으로 기울어진 느낌이 든다.보다 정밀하고 완벽한 극축의 수정은 시간을 두고 지속적인 관측을 하면서 행하도록 한다. 조정이 잘 됐는지에 대해서는 고배율 십자선 아이피스를 ... ...
컴퓨터 명령을 간편하게 처리하려면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sys 파일의 제일 윗부분에 해두는 것이 좋다.smartdrv.sys : 위에서 설명한 버퍼와 방식은
상이
하지만 컴퓨터의 실행속도를 개선하는데 사용되는 캐시파일이다. 직전에 읽었던 하드디스크의 내용을 메모리의 일정영역에 보관하였다가 하드디스크를 재차 읽어들일 때 하드디스크를 다시 읽을 필요없이 ... ...
국내배출 '천문학 박사 1호' 박홍서 천문대장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것은···."20년이면 성년인데 독립하지도 못하고 있다는 것이 안타깝습니다. 전혀 업무가
상이
한 표준과학연구원에 얹혀 있는 더부살이를 빨리 벗어나야겠지요. 외국과 교류할 때도 천문대의 위상 때문에 곤란한 점이 한두가지가 아닙니다. 20주년을 맞아서 알찬 국제학술대회를 하나 계획하려 ... ...
"해양연구의 중요성 실감"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대한 탐사라 해서 서점에서 자료를 찾아봤더니 생물분야에서는 플랑크톤이 주대
상이
더군요. 이번에 해파리 규조류 등 교과서에 안나오는 내용을 많이 공부했습니다. 해양탐사가 어떻게 이뤄지는지 어떤 장비들이 사용되는지 확실히 이해하게 됐습니다. 작년에 교사들끼리 해양탐사계획을 세운 ... ...
좋은 천체망원경을 고르려면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흔들거림은 없는가?가볍게 두드린후 1~2초 이내에 진동이 멈추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상이
떨릴 가능성이 크다. 상하좌우로 흔들어 보았을 때 끄덕거림이 적어야 한다.□ 기동성과 조립, 분해도는?혼자 쉽게 운반할 수 있는지, 자신의 차에 들어갈 수 있는지, 운반용 상자가 있는지도 확인해야 ... ...
맨눈과 망원경의 차이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것인가 반사굴절식으로 할 것인가가 결정돼야 한다.천체망원경을 통해 물체를 보았을 때
상이
뒤바뀌어 보이는 이유는 태양과 달을 제외하고는 극히 미약한 광선을 취급하므로 광학계를 가능한 간단히 하고, 그 표면의 반사나 흡수에 의한 광의 손실을 극도로 제한했기 때문이다.천체망원경의 ... ...
2 유로네트워크로 「하나의 유럽」 완성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반발과 흡인을 이용하는
상이
한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자기를 얻는 방법도
상이
하여 독일의 경우는 상전도 방식이라 하여 일반온도에서, 일본의 경우는 초전도방식이라하여 초저온에서 자기를 얻는 방식을 각각 사용하고 있다.프랑스 영국 벨기에 잇는 해저터널자기의 강도도 방식별로 ... ...
가까이 하기엔 너무나 먼 도스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만드는 사람마다 조금씩 편차가 있게 마련이고 사용자는 각 프로그램을 쓸때마다
상이
한 운영방식에 적응하느라 무척 애를 먹을 것이다. 이 때문에 운영체제라는 것이 등장했다.IBM은 자사 PC용 운영체제로 마이크로스프트(MS)사의 MS-DOS를 선택했고 이것은 PC 업계의 표준으로 군림했다. 그래서 어떤 ... ...
카나리아군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지역의 용암은 점성이 강하면서 입자가 가는 세립질이기 때문에 냉각고결될 때 수축현
상이
일어났다. 따라서 현무암의 주상절리들이 잘 발달되어 있다. 경사가 완만한 지역에 가 보면 용암이 덮여 평탄하게 된 용암 대지가 형성되어 있다.일반적으로 화산폭발의 마지막 단계에서는 가장 가벼운 ... ...
광공해 피해 선명한 밤하늘 보려면 도심 별관측 어떻게 하나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것이 아니므로 정원 베란다 옥상 등 가능한 지역을 몇군데 정해 관측해보면 별의
상이
안정된 곳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관측시기의 선택도 중요하다. 비가 온 후나 바람이 몰아치다 잔잔해지는 시기는 대기층의 먼지를 감쇠시키므로 좋은 기회다. 일기도에서 등합선이 좋은 구역은 대기의 흐름이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