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다름
차이
d라이브러리
"
상이
"(으)로 총 472건 검색되었습니다.
4. 한국체육과학 연구원을 찾아서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이 선수들 사이에 확산되면서 '내가 왜 그 기계의 실험대
상이
되느냐"는 경계심이 현저히 사라지고 있다고 한다.서울올림픽에서 그랬던 것처럼 한달후 벌어질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도 선수들의 치열한 기록경쟁 이면에는 스포츠과학자들의 '눈에 보이지 않는' 또다른 ... ...
유전학적 증거 갖고 두학파 맞서 네안데르탈인은 인류의 직계 조상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더구나 현생인류의 진화과정은 스트링거 박사의 주장보다 훨씬 더 복잡해 여러가지
상이
한 경로를 따라 이뤄졌고, 고대세계의 다른 지역과 얽혀 있다는 것이다. 그들은 이스라엘에서 현생인류와 네안데르탈인이 5만년동안 공존하고 있었으며, 두 종족은 지능수준이나 문화수준이 동일했다고 ... ...
(4) 남녀 성결정의 마지막 열쇠 XY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젠더는 일치한다. 그러나 흔히 반음양(半陰陽)이라고 일컫는 중성은 섹스와 젠더가
상이
한 경우가 대부분이다.외부생식기가 남성인지 여성인지 애매모호한 중성은 여성반음양 남성반음양 진성반음양으로 분류된다.여성반음양은 염색체검사상으로는 정상여성인데 외부생식기가 남성화한 경우를 ... ...
'과학'도 거짓말 할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감정목적물과 대조자료간의 유사비율이 70% 이
상이
면 동일필적으로 판정하고 45%이면
상이
필적으로 본다"고 밝힌 바 있다.바로 이러한 난점 때문에 재판부는 감정자료가 유일한 증거가 아닐 경우 여타의 증거와 정황을 종합해 범의(犯意)를 밝혀내는 것이 통례다. 그러나 감정자료가 유일한 증거일 ... ...
살아있는 지질학 교과서 그랜드 캐년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60여종에 이르고, 파충류는 25종을 헤아린다. 흥미롭게도 남북측의 고원에 나타나는 생물
상이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예컨대 남쪽의 다람쥐는 회색 꼬리를 갖고 있는 반면에 북쪽의 카이밥고원에는 흰꼬리 다람쥐가 서식한다. 과학자들은 협곡으로 인해 오랜동안 격리된 것이 그 원인일 것으로 ... ...
곰곰 궁리한 뒤 체스말을 옮기는 로봇 등장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조절하고 말하고 듣는데, 각각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했다"고 밝혔다.이 네가지
상이
한 모듈은 다시 '사이키'(Psyche)라고 불리는 운영체제(OS)에 의해 통합돼 서로 의사를 전달하고 정보를 공유하게 된다. 마시는 현재 자신이 만든 체스로봇을 약간 변형시켜 핵폐기물공장이나 대양의 바닥에서 ... ...
(1) 2차원 평면에 살아움직이는 실물이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상쇄간섭 무늬를 정착과정을 통해서 필름에 담는 것이다. 이 무늬판에 다시 빛을 비추면
상이
입체적으로 재생된다.(그림 2)를 통해서 간섭무늬가 사진건판위에 기록되어지는 원리를 이해할 수 있다. 간섭무늬가 정확히 사진건판 위에 기록될 수 있게 하려면 사용되는 광파가 규칙적이고 일정한 빛을 ... ...
(2) 영화도 가능한 스테레오 홀로그램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끝난 후 필름을 원통상으로 말고 그 중앙의 아랫부분에 백색광원을 비추게 되면 입체
상이
원통의 중심부에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원통형 홀로그램을 적당한 속도로 돌리면 중앙에 위치한 입체상의 3백60° 장면을 모두 볼 수 있다.제작방법에 따라 90° 1백20° 1백80° 등 다양한 형태의 스테레오 ... ...
노벨의 권위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기리고 일반에게 알려 표창함으로써 널리 인류의 발전에 도움이 될 목적'으로 주는
상이
다. 특히 이 상은 기초 과학쪽에 관심을 보이는 노벨상과는 달리 응용기술의 업적을 주요대상으로 한다. 상금은 건당 일화 5천만엔(약 37만5천달러, 약 2억8천만원)으로, 2개 분야에 주어진다. 그런데 일명 '일본판 ... ...
시공(時空)의 모서리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알 수 있는 것은 다른 은하계가 우리로부터 멀어져 가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현
상이
도플러이동(shift)이다. 허블은 적색이동이 은하계가 우주로부터 더 멀어질수록 크다는 놀랄만한 사실을 관측했다.허블의 발견으로 우주는 정지해 있지 않고 확장하고 있음을 알게됐다. 확장의 율은 대단히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