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오일러 프로젝트] 1만
개
의 숫자에서 ‘우애수’를 찾아라!
수학동아
l
2018년 12호
내가 우애수를 연구한 지 250년이 훌쩍 지났지만 아직도 우애수가 몇
개
인지 다 밝혀지지 않았다니 놀랍군. 아차! 우애수가 뭔지 모르는 ... 오일러 프로젝트의 21번 문제로 돌아가 보자. 벌써 세 쌍의 우애수들을 스포일러로 소
개
했다. 1만 이하의 다른 우애수들은 어떻게 구할지 도전해 보자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2] 지구 에너지의 근원, 태양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은 계속 돼야 한다. 또 이런 노력은 국가 차원뿐만 아니라
개
인 차원에서도 진행돼야 한다. 미래를 위해 에너지 문제 해결을 향한 노력은 이제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 ...
초코볼, 적분을 부탁해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정확하게 구하고 싶으면 훨씬 더 큰 숫자를 쓰면 되겠죠. 여기서는 초콜릿이 부족해서 300
개
까지만 해볼게요. 여러분은 더 큰 숫자로도 실험해보세요! 사각형 수를 무한대에 가까운 수로 키우면 근삿값은 점점 진짜 면적에 가까워집니다. 이것이 바로 적분의 기본 원리입니다. 어때요, 초콜릿으로 ... ...
윌리 웡카의 초코초코 퀴즈 쇼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물체를 얇은 층으로 잘게 쪼
개
쌓아 올리는 방식으로 사물을 출력합니다. 물체를 잘게 쪼
개
서 다시 쌓아 보는 건 앞서 살펴 본 적분의 원리라고 할 수 있죠. 그런데 이런 3D 프린터에 초콜릿을 접목한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 박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과 교수팀은 출력 재료가 ... ...
[과학뉴스]실험실에서 키운 망막 오가노이드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배양했다. 그 결과 줄기세포는 20~60
개
의 작은 세포 덩어리로 자랐다. 연구팀은 이를 다시 9
개
월 동안 키워 망막으로 만들었다. 이 망막 오가노이드는 빛에 반응하며, 공을 반으로 자른 모양으로 지름은 약 2mm다. 연구팀은 이 망막 오가이드가 망막을 형성하면서 색상을 감지하는 원추세포를 형성하는 ... ...
[화보]양자역학과 예술의 만남, 나노 조각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메우는 ‘레진’이 대표적인 광경화수지다. 광경화수지에 고에너지 레이저를 쪼이면 2
개
의 광자가 흡수되며 물질이 딱딱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이 현상은 나노미터 크기의 ‘복셀(voxel.부피(volume)와 픽셀(pixel)의 합성어로 3D 공간에서 격자 단위 값을 나타낸다)’ 단위에서만 일어난다. 재료의 한 ... ...
[프리미엄 리포트] 메트로폴리탄은 지금 '태양의 도시'로 변신 중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모두가 함께 지켜봐야 할 것이다. 각양각색 태양전지 총정리태양전지의 종류는 현재
개
발 중인 것까지 포함해 수십 가지가 넘는다. 각각은 ‘변환효율’ ‘투명성’ ‘유연성’ ‘제조원가’ 등 서로 다른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도시에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특징을 잘 알아야 한다. ... ...
[TECH]무선충전 기술이 돌아왔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공동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무선 충전이 가능한 ‘스마트 보청기’를
개
발해 음향제품 전문기업에 기술을 이전했다. 그는 “체내 삽입 의료기기는 수mW 수준의 아주 적은 전력으로 충분히 충전할 수 있다”며 “무선 충전 기술이 의료 등 다양한 분야와 만나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을 ... ...
물리학상 - 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광집게'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96세인 지금까지도 연구를 계속해왔다. 최근에는 태양열 에너지와 관련된 특허도 두
개
출원했다. 그래도 이번에 광집게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노벨상을 받았으니, 과거의 억울함은 조금 풀어지지 않았을까. 세계 최고령의 나이로 노벨상을 수상한 애슈킨 연구원. 역시 ‘끝날 때까지 끝난 게 ... ...
NASA 60주년, 달부터 화성까지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장치를 조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2020년대에는 화성으로 60세가 된 NASA의 현재 우주
개
발 목표는 화성을 중심으로 한 심우주(deep space) 탐사다. 화성 탐사에 대한 NASA의 욕망은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1964년 ‘마리너 4호’를 통해 처음 화성을 관찰했으며, 1976년 7월 ‘바이킹 1호’가 화성에 착륙해 ... ...
이전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