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튜링 모형 쓰는 별별 분야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비롯해 몸의 분화 역시 튜링 모형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암 치료약
개
발암 치료약을
개
발하는 데도 쓰입니다. 2018년 1월 치엔치엔 쟁 중국 둥화대 정보과학과 연구팀은 암 치료약이 효과가 있는지 판별하는 방법으로 튜링 모형을 써서 암 치료 신약의 효과를 알 수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어떤 ... ...
[수학뉴스] 우주에선 중력파로 통신?!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분석해 왜곡 없이 정보를 보낼 수 있는 이론적인 가능성을 확인했습니다. 중력파는 두
개
의 블랙홀이 하나로 합쳐지는 것처럼 우주에서 엄청난 중력 변화가 발생할 때 그 에너지가 마치 파도처럼 시공간의 진동으로 전파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아핀 공간은 유클리드 기하학의 몇 가지 특성을 ... ...
윌리 웡카의 초코초코 퀴즈 쇼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물체를 얇은 층으로 잘게 쪼
개
쌓아 올리는 방식으로 사물을 출력합니다. 물체를 잘게 쪼
개
서 다시 쌓아 보는 건 앞서 살펴 본 적분의 원리라고 할 수 있죠. 그런데 이런 3D 프린터에 초콜릿을 접목한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 박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과 교수팀은 출력 재료가 ... ...
공부 잘하는 약 ‘스마트 드럭’의 유혹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스마트 드럭 복용 통계 라리사 마이어 교수가 이끄는 국제연구팀이 미국, 독일 등 15
개
국 약 11만 명(2015년 7만9640명, 2017년 2만9758명)에게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ADHD 환자가 아닌데도 뇌기능 강화를 위해 ‘스마트 드럭’ 복용을 한 적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2015년 5%에서 2017년 14%로 크게 ... ...
[TECH]大화면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쏠리고 있다.이 본부장은 “내년 1월 국제가전전시박람회(CES)에서 폴더블폰이 처음 공
개
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폴더블폰 출시는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사용자 환경과 콘텐츠에서도 새로운 혁신의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도축은 이제 그만! 오늘 점심은 인공고기 햄버거?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목표다.대량생산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 포스트 교수가 패티 한 장을 만드는 데에는 수
개
월이 걸렸다. 그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근육세포를 더 작은 공간에서 더 크게 키우기 위한 방법으로 평면이 아닌 공 모양의 배지를 제안하기도 했다. 공 모양이 공간 대비 표면적이 다른 구조에 비해 넓기 ... ...
국제우주정거장(ISS) 아찔했던 사고 5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끄고 지구의 풍경을 바라보며 휴식을 취했다. 그리고 12월 마지막 날 지구와 통신을 재
개
했고, 지상과 타협(?)해 휴식 시간을 보장 받았다. 분 단위로 촘촘히 짜여 있던 우주비행사들의 일정표는 자율적인 시간 관리로 대체됐다. 자유시간을 보장 받은 우주비행사들은 이듬해 2월 임무가 끝날 때까지 ... ...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태아는 언제부터 사람으로 볼 수 있을까요?”대학에서 발달생물학을 가르치고 있다고 하면 으레 받는 질문입니다. 낙태 허용과 같이 공방이 벌어지는 사회 이슈에 ... 조지타운대 생물학부에서 유전학, 발생학 등을 가르치며 새로운 대학 과학교육 시스템을
개
발하고 있다. yc709@georgetown ... ...
[팩트체크] 리만 가설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큰 영향은 없다’입니다. 앞서 이야기했지만, 리만 가설은 가우스가 발견한 소수의
개
수를 대략적으로 알려주는 함수가 얼마나 정확한지 알려주는 거예요. RSA 암호의 핵심은 엄청 큰 수를 소인수분해하는 게 어렵다는 걸 이용한 것이므로 리만 가설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습니다. 천정희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둘레도 넓이도 같은 두 삼각형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더 어려운 방법으로 증명했습니다. ‘대수기하학’이라는 수학 분야에서 1980년대 이후에
개
발된 새로운 기법을 사용했지요. 물론 이런 현대 수학을 사용하지 않고 기초적인 수학만 가지고 풀어도 좋겠지만, 또 다르게 생각하면 현대 수학의 발전을 통해 이렇게 오래된 수학적 대상에 대해서도 ... ...
이전
36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