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Career] DGIST 에너지공학전공 - 수소연료전지차의 마지막 퍼즐 최고의 촉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출력을 지금의 내연기관 자동차 수준으로 높이기 위해서는 리튬이온배터리를 수천
개
는 달아야 한다”며 “고밀도 배터리는 폭발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을 뿐만 아니라 방전 시 충전하는 데 수 시간이 걸린다”고 설명했다. 때문에 현재 배터리는 하이브리드카에서 내연기관을 보조하는 용도로 ... ...
[과학뉴스] 외계행성 도는 ‘달’ 최초 발견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0시간 동안 관측했다. 그 결과 이 행성에 위성이 존재한다는 두 가지 단서를 발견했다. 대
개
행성이 중심별을 통과할 때에는 별이 어두워진다. 그런데 케플러-1652b가 별을 통과하고 3시간 30분 뒤 별빛이 한 번 더 어두워졌다. 또한 케플러-1652b는 예측보다 1시간 15분 정도 일찍 중심별을 통과했다. 이는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둘레도 넓이도 같은 두 삼각형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더 어려운 방법으로 증명했습니다. ‘대수기하학’이라는 수학 분야에서 1980년대 이후에
개
발된 새로운 기법을 사용했지요. 물론 이런 현대 수학을 사용하지 않고 기초적인 수학만 가지고 풀어도 좋겠지만, 또 다르게 생각하면 현대 수학의 발전을 통해 이렇게 오래된 수학적 대상에 대해서도 ... ...
Part 3. 구름, 파도 같은 구름을 발견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보이면 대기가 불안정할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인터뷰]
개
빈 프레터피니(영국 구름 감상 협회 설립자)구름이 정말 좋아서 구름 감상 협회를 만들었어요!” 구름은 너무 익숙해서 우리가 종종 놓치는 풍경 중 하나예요. 하지만 구름은 자연이 보여 주는 가장 매력적이고 ... ...
[가상인터뷰] 장내미생물이 정신에도 영향을 미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더 많은 사람에게 세균을 전염시킬 수 있겠지. 실제로
개
미에게 감염되는 어떤 균류는
개
미가 나무의 높은 곳으로 올라가도록 행동을 조종한다고 해. 그 곳에서 성장한 다음 포자를 뿌릴 속셈인 거지. 일리 : 그럼 너희는 정말 사람을 조종해?장내미생물 : 최근 영국 옥스퍼드대학교의 케빈 포스터 ... ...
[실전! 반려동물] 토끼가 사료를 안 먹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정상인가요?토끼는 커다란 앞니 두
개
와 그 뒤에 짧은 이 두
개
, 아랫니 두
개
등 총 28
개
의 이빨을 가지고 있어요. 어느 정도 자라면 성장을 멈추는 다른 동물과 달리 토끼의 이빨은 평생 자라요. 그래서 적당한 이빨 길이를 유지하기 위해선 먹이에 특별히 신경 써줘야 해요. 먹이를 씹으며 이빨을 ... ...
[과학뉴스]실험실에서 키운 망막 오가노이드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배양했다. 그 결과 줄기세포는 20~60
개
의 작은 세포 덩어리로 자랐다. 연구팀은 이를 다시 9
개
월 동안 키워 망막으로 만들었다. 이 망막 오가노이드는 빛에 반응하며, 공을 반으로 자른 모양으로 지름은 약 2mm다. 연구팀은 이 망막 오가이드가 망막을 형성하면서 색상을 감지하는 원추세포를 형성하는 ... ...
[프리미엄 리포트] 메트로폴리탄은 지금 '태양의 도시'로 변신 중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모두가 함께 지켜봐야 할 것이다. 각양각색 태양전지 총정리태양전지의 종류는 현재
개
발 중인 것까지 포함해 수십 가지가 넘는다. 각각은 ‘변환효율’ ‘투명성’ ‘유연성’ ‘제조원가’ 등 서로 다른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도시에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특징을 잘 알아야 한다. ... ...
물리학상 - 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광집게'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96세인 지금까지도 연구를 계속해왔다. 최근에는 태양열 에너지와 관련된 특허도 두
개
출원했다. 그래도 이번에 광집게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노벨상을 받았으니, 과거의 억울함은 조금 풀어지지 않았을까. 세계 최고령의 나이로 노벨상을 수상한 애슈킨 연구원. 역시 ‘끝날 때까지 끝난 게 ... ...
곡식의 왕 '밀' 유전자 지도 완성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만들어주는 유전자를 찾아낼 수 있는 것이다. 실제로 IWGSC 연구팀은 이번 논문에서 밀의
개
화시기와 관련된 ‘PPD1’ ‘FT’ 등의 유전자들이 어떤 염색체에 어떻게 그룹지어 있는지를 상세하게 다뤘다. 서 교수팀도 성숙기간이 서로 다른 금강밀과 영광밀의 유전자를 분석해 수확시기를 결정하는 ... ...
이전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3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