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6,064건 검색되었습니다.
밑밥 뿌려 먹이 부른다
과학동아
l
200410
경우 없을 때에 비해 올빼미가 쇠똥구리를 10배나 더 먹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레비
박사
는 “올빼미는 굴 옆에서 많은 시간을 보낸다”며 “마치 물가의 낚시꾼처럼 먹이가 다가오기를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이번 연구결과는 ‘네이처’ 9월 2일자에 실렸다 ... ...
“보라호, 말 탄 것처럼 흔들렸다”
과학동아
l
200410
앞으로 보라호는 어떻게 될까. 성봉주
박사
는 “보라호 개발을 맡았던 이종원
박사
는 심리적으로 피폐해진 상태”라며 “당장은 사고원인이 규명될때까지 중단되고 추후 상부에서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빠른 시일 내에 사고 경위가 명확히 밝혀지는 것이야말로 고인들에게 드릴 수 있는 마지막 ... ...
단백질 입체구조 밝혀 신약개발 앞당긴다
과학동아
l
200410
구조를 밝혀낸 이스라엘 와이즈만연구소 아다 요나드
박사
와 미 예일대 톰 스타이츠
박사
연구팀도 향후 노벨상을 기대할 만하다고 학계는 평가하고 있다. 단백질 구조를 밝히는 일은 그만큼 어렵고도 중요하다.연구실을 이끄는 이지오 교수는 “약 자체의 구조는알지만 약이 몸안의 단백질과 어떤 ... ...
03. 수소 경제가 뜬다
과학동아
l
200410
엄청난 이권이 오가는 상황이 전개될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에너지연구원 배기광
박사
는 “앞으로 수소경제 사회에는 미국과 일본, 유럽의 3자 구도에서 한국이 얼마만큼 비중을 차지할 수 있느냐가 과제”라고 말한다. 독자 기술을 서둘러 확보해야 한다는 얘기다. 그는 “이를 위해 분야별로 ... ...
혈관 다스려 난치병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410
부작용이 생길 위험도 있다.1996년 미 바이오벤처회사 리제네론의 조지 얀코풀로스
박사
연구팀은 ‘안지오포이에틴’ 이라는 단백질을 찾아냈다. 안지오포이에틴은 혈액이 새지 않는 튼튼한 혈관을 만든다. 혈관성장인자보다 더 나은 혈관 생성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나 아쉽게도 물에 잘 ... ...
몸은 어떻게 통증을 느낄까
과학동아
l
200410
밝혀지지 않았지만, 지금까지는 1965년 캐나다 로널드 멜자크
박사
와 영국 패트릭 D. 월
박사
가 발표한 ‘문 조절 이론’(gate control theory)으로 설명되고 있다. 이 이론의 핵심은 굵은 촉각신경이 가느다란 통각신경을 억제한다는 것이다. 즉 촉각과 통각정보 모두 뇌로 향하는데, 자극을 먼저 감지한 ... ...
재미 과학자, 자연계 메탄 분해과정 규명
과학동아
l
200410
분해해 온난화 속도가 다소 늦춰지고 있지만 그 메커니즘은 그동안 밝혀지지 않았다.김
박사
는 “미생물이 몸밖으로 분비하는 메타노박틴이라는 물질이 구리와 결합하고 그 결합물을 미생물이 흡수한다”고 설명했다. 구리는 미생물에 들어 있는 효소와 결합해 기체 상태의 메탄을 액체 상태인 ... ...
01. 10년내 진짜 석유대란 온다
과학동아
l
200410
미국과 일본은 2010년경부터 이 물질을 상업적으로 이용할 계획이다.지질자원연 류병재
박사
는 “2000년부터 울릉 분지에서 가스 하이드레이트를 탐사해 유망한 지역을 조사했다”며 “내년부터 정밀 탐사와 시추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같은 연구소 허대기 부장도 “울릉 분지에 매장된 ... ...
국내연구진, 광결정 레이저 개발
과학동아
l
200410
하는 레이저가 국내에서 개발됐다.한국과학기술원(KAIST) 물리학과 이용희 교수와 박홍규
박사
팀은 7일 “세계에서 가장 작은 지름 1백만분의 1m 크기의 레이저를 개발했다”고 미국 과학저널 ‘사이언스’ 9월 3일자에 발표했다. 특히 이 레이저는 도청을 막을 수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이 교수는 ... ...
다윈의 핀치 부리 다양성은 단백질 때문
과학동아
l
200410
따라 결정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 하버드대 의대의 발달생물학자 클리포드 타빈
박사
팀은 씨앗을 깨먹는데 적합한 둥근 부리를 갖는 핀치 3종과 과즙을 먹는데 알맞은 뾰족한 부리를 갖는 핀치 3종의 발생과정을 비교했다. 그 결과 두 집단 사이에 뼈형태형성단백질4(BMP4)의 발현 패턴이 ... ...
이전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