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6,064건 검색되었습니다.
모나리자 미소의 비밀은 입
과학동아
l
200408
표정으로, 내린 사진은 슬픈 표정으로 인식된 것이다.연구를 이끈 크리스토퍼 타일러
박사
는 “우리는 눈을 통해 얼굴의 감정이 전달될 줄로 예상했는데 전혀 뜻밖의 결과를 얻었다”고 말했다 ... ...
열정과 끈기로 저온의 한계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408
들어도 한여름 무더위가 싹 달아난다. 하지만 정작 저온공학 연구실의 정상권 교수와 석
박사
과정 학생들은 여름을‘이열치열’로 이겨내고 있다.“저온공학 연구실에서는 열정을 가진 자만이 ‘얼지 않고’ 극저온 실험 연구를 할 수 있습니다.” 정 교수의 설명이다. 도대체 온도가 얼마나 낮아야 ... ...
바다, 끝없는 프론티어
과학동아
l
200408
디뎠을 때도 아마 같은 기분이었을 겁니다.” 한국인 최초로 해저 5천m에 다녀온 김웅서
박사
의 소감이다. 우리 기술로 개발한 심해 무인잠수정과 바다목장도 선보일 예정이다. 인류의 마지막 프론티어인 바다를 미래 삶의 터전으로 개발하기 위해 땀흘리고 있는 우리나라 과학자들이 제시한 한국 ... ...
03. 물고기 호텔, 바다목장이 양식 확 바꾼다
과학동아
l
200408
얻은 수산물의 브랜드를 만들어 체계적인 판매망을 구축할 계획도 세웠다. 김
박사
는 “일본에서는 바다목장산 고등어를 브랜드화시켜서 자연산보다 10배 정도 비싸게 판매하고 있다”며 “우리나라 바다목장산 수산물도 값은 양식산보다 비싸지만 맛이나 신선도 면에서 자연산과 다름없다면 ... ...
거미줄에 걸린 새 최초 공개
과학동아
l
200408
여주에서 찍은 것이다. 산왕거미는 산이나 민가 주변에 많이 서식하는 종류다. 이
박사
는 “동남아 지역에서는 거미줄이 강력해 새까지 잡는 새잡이거미가 알려져 있지만, 국내에서 새가 거미줄에 잡힌 모습이 발견된 것은 처음”이라고 밝혔다 ... ...
태양계 타임캡슐 토성에서 무엇을 발견했나
과학동아
l
200408
원시 지구에 대한 정보의 부족으로 가로막혀 있다. NASA 제트추진연구소의 데니스 맷슨
박사
는 “짙은 대기의 타이탄이 원시 지구에서 어떻게 생명체가 탄생하게 됐는지에 대한 실마리를 줄 것”이라고 말했다.하지만 타이탄은 오렌지색의 두텁고 뿌연 스모그 같은 대기에 의해 표면이 가려져 ... ...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러플린, KAIST 총장 취임
과학동아
l
200408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변화의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는 기대감을 나타냈다.러플린
박사
는 취임식을 시작으로 ‘짧은’ 기간 동안 총장 업무에 들어갔다. 7월 23일 다시 미국으로 돌아갔다가 8월 중순 귀국해 공식 업무를 시작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취임식에는 가족과 함께 왔지만 다시 한국에 올 ... ...
마침내 모습 드러낸 파란장미
과학동아
l
200408
갖는 유럽도 최근 플로리진의 카네이션 ‘문더스트’ 의 수입을 허가했다. 메이슨
박사
는 “외부 유전자를 도입하는 방법은 그렇게 위험한 것이 아니다”라며 “우리의 작업을 과학적으로 이해한다면 무턱대고 반대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소설의 영감이 된 ‘검은 튤립’ 화훼육종에서 ... ...
04. 남획 막아야 해양선진국 된다
과학동아
l
200408
했다.“앞으로는 지속가능한 어업이 생태계기반 관리 개념으로 발전할 것입니다.” 이
박사
는 미래에는 해양생태계 전반에 걸친 연구를 토대로 남획 관리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생태계기반 관리는 지금까지 특정 어종 한 종류에 국한시켜 남획 여부를 평가했던 것과는 달리 피식 및 포식 관계를 ... ...
당신의 주름살은 햇빛의 작품
과학동아
l
200408
산업계가 협력한 사례가 됐다. 이번 산학협력에 대해 태평양 소비자미용연구소의 김종일
박사
는 “불모지와 같은 우리나라 피부과학 연구에 기초를 쌓은 기회였다”고 평가했다. 지난 5월로 1단계 산학협동을 마무리한 두 공동연구팀은 앞으로 5년 동안 2단계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서울대 의대 ... ...
이전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