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6,064건 검색되었습니다.
낙천적인 엄마가 아들 낳는다
과학동아
l
200409
임신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설명했다.한편 영국 로열 산부인과대 피터 보웬-심프킨스
박사
는 “1차 세계대전에서 남자가 엄청나게 죽은 뒤 남아가 많이 태어났다”며 아이의 성별은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 ...
'23번째 門' 박테리아 발견
과학동아
l
200409
발견한 적은 있지만 문에 해당하는 큰 계통학적 가지를 발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조
박사
는 2003년 태평양 연안 오리건주 뉴포트 앞바다에서 새로운 미생물을 발견해 ‘점액성 물질을 분비하는 둥근 모양의 세균’ 이란 뜻의 ‘렌티스페라 아라네오사’ (Lentisphaera araneosa)라는 학명을 붙였다. ... ...
더울 때는 열 막는 똑똑한 유리
과학동아
l
200409
5℃까지 내릴 수 있다고 한다. 그렇다면 연구자들이 29℃를 선택한 이유는 무엇일까.메닝
박사
는 “유리는 쉽게 가열되므로 맑은 날 유리가 29℃일 때 실내 온도는 25℃ 내외”라며 “이 때부터 적외선이 차단되므로 여름철 실내난방을 줄이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그러나 스마트 유리가 ... ...
고구려는 독자적 천문학 지닌 한민족 국가
과학동아
l
200409
고구려인들이 우주와 얼마나 친근한 삶을 살았는지를 우리에게 보여준다. 김
박사
는 8월 중순 중국의 지안시를 다녀왔다. 그때 그곳에서 별이 쏟아져 내리는 밤하늘을 보면서, 문득 자신이 고구려로 시간여행을 간 듯했다고 한다.고분벽화 속 하늘세계와의 만남으로 멀게만 느껴지던 고구려인과 ... ...
블랙홀 둘러싼 거장과 신인의 싸움
과학동아
l
200409
붕괴된 물체’ 라는 이름은 너무 길어요.” 1967년 미국 프린스턴대의 물리학자 존 휠러
박사
는 뉴욕 암스테르담가의 우주물리학연구소에서 이렇게 제안했다.당시 블랙홀은 ‘얼어붙은 별’ (frozen star) 또는 ‘붕괴된 물체’ (collapsed object) 등으로 불리고 있었다. 정확한 명칭이 없었던 만큼 그 ... ...
더러운 파리가 오래 산다
과학동아
l
200409
4일 이내에 박테리아에 노출돼야만 정상적인 수명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브룸멜
박사
는 “예상과는 달리 초파리의 수명은 박테리아가 있을 때 오히려 더 길다”며 “현재 박테리아와 상호작용해 수명을 늘리는 역할을 하는 유전자를 찾고 있다”고 말했다.이번 연구결과에 대해 미 조지아대 ... ...
3. 인터넷 또다른 나를 만들다
과학동아
l
200409
하지만 근대적 사고방식에 젖어있는 대다수의 사람들은 이런 가능성을 보고 ‘지킬
박사
와 하이드’ 와 같은 정신분열을 떠올린다. 두렵고 불안한 심리 상황으로 보이는 것이다. 이런 심리 반응은 우리가 사이버 공간에서 만드는 또다른 마음의 실체를 인정하지 못하게 방해한다.하지만 사이버 ... ...
기계가 정말 반란을 일으킬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409
것이라는 보장은 없습니다.” 인간기능 생활지원 지능로봇 기술개발사업단장 김문상
박사
의 말이다. 그는 분명 기계가 인간의 능력을 뛰어넘을 수 있다는 점은 인정한다. 방대한 양의 지식을 저장하거나 한 순간에 수식 계산을 끝내버리는 것, 또 서로 정보를 공유하는 능력 등에서는 분명 인간이 ... ...
달에 얽힌 10가지 진실
과학동아
l
200409
것이다. 이에 대해 미 우주탐사 프로그램의 대통령 자문위원인 폴 스푸디스
박사
는 “달로 되돌아간다는 것은 우주탐사 기반을 창출하는데 달을 사용한다는 의미”라고 밝혔다. 특히 지난 10년간 달 극지의 어두운 지역에는 얼음이 축적돼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기 때문에 달 개발은 더욱 현실성 ... ...
'꿈의 차세대 원자로' 가 온다
과학동아
l
200409
대한 테러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원자력연구소 장종화
박사
는 “가스로는 출력이 경수로보다 훨씬 작아 문제가 일어나도 방사능이 누출되는 대형 사고가 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고속으로 달리던 오토바이는 조금만 부딪혀도 운전자가 크게 다치는 반면 자전거는 ... ...
이전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