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6,064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물도 눈치로 단어 배운다
과학동아
l
200407
7번을 맞췄다. 즉 처음 듣는 단어가 낯선 물체의 이름일거라고 추측하고 물어온 것.피셔
박사
는 “단어습득력은 인간의 고유한 언어학습능력이 아니라 동물도 갖고 있는 일반적인 인지능력임을 입증했다”고 말했다. 즉 사물이 이름을 가질 수 있음을 동물도 깨달아 임의의 음향 패턴, 즉 발음된 ... ...
대한해협 터널구상
과학동아
l
200407
한일터널 건설에 기술적인 문제가 전혀 없다면 해저 생태계 파괴의 문제는 어떨까. 신
박사
는 한일터널은 해저 바닥을 파헤치는 방식이 아니라 해저 지하에서 굴착하는 방식을 사용할 가능성이 가장 높기 때문에 해저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극히 미미하다고 밝혔다.또 굴착기계를 사용하지 않고 ... ...
08. 미래형 족집게 진단장비 생체자기센서
과학동아
l
200407
측정장비가 연세의료원 심장혈관병원에 설치돼 실제로 임상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이
박사
는 “2년 정도 지나면 생체자기장 진단기술이 fMRI나 PET처럼 상용화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며 “어떤 자기장 분포가 어떤 질환에 해당되는지 정확하게 구분하기 위해 질환별로 표준화된 자기장 분포 ... ...
숲에서 배우는 느림과 비움의 삶
과학동아
l
200407
역설하는 것만이 아니다. 우리 숲의 아름다움을 알리는 좋은 책의 저자이기도 한, ‘숲
박사
’ 국민대 전영우 교수의 일상은 만만치 않은 일들로 가득 차 있다.숲은 문화의 터전1992년부터 숲과문화연구회에서 추진하고 있는 아름다운 숲 찾아가기 행사를 비롯해 숲문화체험학교처럼 숲을 주제로 한 ... ...
맹목적 사랑은 뇌의 변화 때문
과학동아
l
200407
빠진 연인들의 뇌를 촬영한 과거 연구결과와도 비슷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바르텔스
박사
는 “로맨틱한 사랑과 모성애가 모두 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종의 보존이라는 생물학적 측면 때문일 것”이라며 “애정은 비판적 평가나 부정적 감정에 관여하는 신경망을 억제해 개인간의 ... ...
영화 '투모로우' 속 빙하기 과연 올 것인가?
과학동아
l
200407
순식간에 바닥까지 얼어붙는다. 다행히도 샘은 불이 있어 살아남는다. 아들을 구출한 할
박사
는 구조에 나선 헬기를 타고 멕시코의 미 난민촌으로 남하한다. 헬기에서 바라본 뉴욕은 그야말로 얼음의 도시다. 국제우주정거장에서 내려다본 지구 북반구는 온통 얼음으로 뒤덮여 있다.최근에 일어난 ... ...
테라급나노소자개발사업단장 이조원
과학동아
l
200407
거듭 태어나게 될 것입니다.”현재 사업단에 참여하고 있는 5백여명의 연구자 중
박사
급만도 1백50여명이다. 이 단장은 프로젝트가 끝나는 2010년에는 10여명의 세계적인 과학자를 배출하는게 목표라고 귀띔한다. 우수한 인재를 알아보고 그들이 재능을 펼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주는 것도 자신의 ... ...
한반도에서 몸길이 6cm 아열대 곤충 발견
과학동아
l
200407
뜻밖의 발견에 놀란 이 교수는 사슴하늘소 전문가인 라트비아의 드미트리 텔노프
박사
에게 연락, 진짜 사슴하늘소임을 확인받았다. 두 사람은 이번 발견에 대해 공동논문을 작성, 현재 영국의 저명한 곤충학 학술지인 ‘엔터말러지스츠 먼슬리 매거진’ (Entomologist's Monthly Magazine)에 투고한 상태다.이 ... ...
공동실험 연구의 새 패러다임 원격실험시스템
과학동아
l
200407
인터넷을 통해 실험이 가능한 이유다.스크린에 대전 본원의 실험 운영자 이철현
박사
의 얼굴이 나타나자 헤드셋을 착용한 학생이 시료를 바꿔 달라, 위치를 조정해 달라며 여러가지 주문을 했고, 제주-대전간 사이버 공동 실험이 진행됐다. 실시간 화상으로 얼굴을 보며 문자 통신까지 가능하기 ... ...
페름기 대멸종 일으킨 충돌분화구 호주서 발견
과학동아
l
200406
배치되는 것이다. 미 스미소니언 자연사박물관의 고생물학자인 더클러스 어왼
박사
는 “이번 발견은 대멸종과 충돌이 관련 있음을 시사하지만 강력한 증거는 아닌 것 같다”고 평가했다 ... ...
이전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