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역
범위
방면
지역
영토
장사
기량
d라이브러리
"
분야
"(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종장기 연구용 돼지 지노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면역억제제를 투여한 결과 약 180일간 정상 혈당을 유지했다는 연구결과가 2006년 의학
분야
의 국제학술지 ‘네이처 메디슨’에 발표되기도 했다.국내에서는 보건복지가족부 바이오이종장기개발사업단을 중심으로 미니돼지의 췌도와 심장, 각막을 영장류에 이식하는 동물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 ...
21세기 녹색성장 이끄는 생태공학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상호이익을 위해 생태계를 디자인하는 학문’이다.토목공사에 따르는 조경이라는
분야
가 어느 정도 이런 역할을 하지만 주변 생물의 삶의 질보다는 사람 눈에 보기 좋은 경관을 꾸미는 게 주목적이다. 그러나 생태공학은 인류와 공존하는 생물들의 특징을 잘 파악해 이들이 건강하게 살 수 있는 ... ...
의학 및 경영학에 관심을 갖고 있는 학생이라면?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보고 있는 만큼 의료산업의 미래는 밝다.또 앞으로는 의사가 아닌 다양한
분야
에서 의료산업으로 진출할 수 있는 기회가 열리고 있다. 현재 80%가 넘는 병원에서 의사가 아닌 전문 경영인들이 병원장을 비롯한 경영직을 맡고 있는 미국처럼 우리나라도 점차 이러한 선진국형 의료서비스 시스템이 ... ...
면발의 힘 글루텐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글루텐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밀 글루텐같은 성질을 내지는 못한다. 따라서 식품
분야
에서 말하는 글루텐은 보통 밀 글루텐을 의미한다.단백질은 아미노산이 염주알처럼 일렬로 연결된 뒤 입체적으로 뭉친 구조다. 글루텐 중 글루테닌 단백질은 용수철처럼 길게 늘어난 형태로 양쪽 끝 부분에 ... ...
붉은 단풍은 노란 단풍이‘똑똑하게’진화한 것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진화했으며, 산줄기가 뻗어 있는 모양에 따라 진화의 정도가 다르다”는 주장을 식물학
분야
의 국제학술지 ‘뉴 파이톨로지스트’ 6월호에 발표했다.연구 결과에 따르면 3500만 년 전에는 지구상 모든 나뭇잎이 녹색이었고 빙하기를 몇 번 겪으면서 잎이 물들게 됐다. 잎이 녹색인 이유는 색소 중에 ... ...
휴대전화 떨어뜨리면 가장 먼저 망가지는 부분은?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차이가 없다”고 덧붙였다.KTX에서 자동차, TV포장까지가상시뮬레이션을 활용할 수 있는
분야
는 무궁무진하다. 비행기가 추락하는 실험, 우주선에서 안테나를 펼치는 실험, 고속전철이 달릴 때 선로가 받는 힘을 측정하는 실험처럼 실제로는 거의 불가능한 실험이 가상 시뮬레이션의 덕을 보고 있다. ... ...
유전자와 문화 사이의 균형추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과학을 이끄는 주요 흐름 가운데 하나라는 사실을 부인할 사람은 많지 않을 것 같다.어느
분야
든 주류가 있으면 그에 반기를 드는 비(非)주류도 생긴다. 과학에서도 다르지 않다. 최근 나타나고 있는 일련의 기상 변화를 모두 지구온난화 탓으로 돌리는 건 타당하지 않다고 주장하는 과학자들이 있다. ... ...
수학은 처음에는 수학이 아니었다?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나온 단어로 ‘위치’라는 뜻이다. 여기서 예상할 수 있듯이 위상수학은 기하학의 한
분야
로 시작 됐으며, 공간의 위치 관계를 다루기 위해 만들어졌다.어려워 보이는 수학 용어도 기원을 살펴보면 머리에 쏙쏙 들어올 뿐만 아니라 우리가 배우는 수학이 어떻게 탄생했는지도 알 수 있다. 영어를 ... ...
수학, 보안에 날개를 달다~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보안에 필요한 컴퓨터 알고리즘을 이해하는 지름길이다. 그 후에 대학원에서 IT
분야
를 공부해도 좋고 보안 관련 기업체에서 인턴으로 경력을 쌓아도 좋다”라고 말했다. 21세기 보안전문가로 이름을 날리고 싶다면 수학을 꽉 붙잡아 보자 ... ...
초고속 정보통신 사회 구현하는 광양자컴퓨터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말했다. 경쟁 연구팀인 미국 하버드대나 스탠퍼드대에서도 함 단장을 양자광학
분야
의 전문가로 평가한다. 그러나 창의연구단으로 선정된 2006년 이전까지 함 단장은 연구에 어려움도 많았다. 제대로 된 장비가 없어 실험을 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창의연구단에 선정된 뒤에도 고가의 레이저 ... ...
이전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