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분
실재물
재료
물질문화
문화
방사성물질
방사성
d라이브러리
"
물질
"(으)로 총 8,140건 검색되었습니다.
제2의 지구 찾아 삼만 광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행성인지 정확히 알 수 있다. 별빛가림 현상으로 행성을 발견하면 행성의 대기를 이루는
물질
에 대한 정보도 얻을 수 있다. 먼저 초대형망원경과 고성능 분광기를 이용해 해당 별을 분광 관측한다. 여기서 나온 관측 결과 중에서별과 행성이 둘다 보일 때와 행성이 별 뒤로 숨어서 보이지 않을 때의 ... ...
외계행성을 지구처럼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환경에 알맞게 만든 인공 박테리아를 쓸 가능성이 높다. 테라포밍하려는 행성에 풍부한
물질
을 먹이로 삼아 번식하는 박테리아, 행성 고유의 광물에서 건축 재료로 쓸 금속을 뽑아 내는 박테리아 같은 맞춤형 미생물이 외계행성에 착한 인류의 첨병이 될 것이다.정착하려는 행성이 화성처럼 대기가 ... ...
탄소 중매쟁이 노벨상 거머쥐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싱귤레어 등이 있다. 이 밖에도 식물이나 해양생물서 발견되는 수많은 신약 후보
물질
들을 합성하는 데 널리 쓰이고 있다. 만일 팔라듐촉매 탄소-탄소 결합 반응법이 개발되지 않았다면 어떻게 됐을까.이태희 박사는 “탄소-탄소 반응을 일으키는 다른 방법이 있기 때문에 합성 자체가 불가능하지는 ... ...
불치병 콕 찍어내는 뇌단백질체 지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쏘거나 화학 반응을 일으켜 이온을 얻는 기존의 방법은 기체에만 적용할 수 있어 고분자
물질
인 단백질에 쓸 수 없다. 게다가 단백질은 열에 약하기 때문에 이온화 과정에서 분자가 파괴되기 쉽다. 1980년대 후반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이온화 기술이 등장했다.1987년 일본 시마즈 제작소의 ... ...
[생물]
물질
은 순환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루비스코는 오직 CO2와만 결합할 수 있다. 이 경로는 CO2를 고정해 최초로 생산하는
물질
이 4탄소 화합물이므로 이러한 식물을 C4식물이라고 한다. 이외의 식물들은 캘빈 회로를 통해 CO2를 고정시키고 첫번째 화합물이 3탄소 화합물이므로 C3식물이라고 한다. C4식물에서는 C3식물과 달리 엽육 세포로 CO ... ...
빛그림 만드는 광화학의 신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CFC보단 덜하지만 역시 오존층을 파괴한다. 그래서 1992년 제6회 몬트리올 의정서에서 규제
물질
로 포함됐다. HFC는 오존층을 파괴하지는 않지만 이산화탄소에 비해 수백 내지는 수만 배의 온실효과를 일으키기 때문에 문제가 되고 있다 ... ...
빛보다 빠르게 또는 느긋하게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수소 원자를 빨아들여 핵융합에 이용하는 방법이다. 따로 연료 없이 우주 공간에 있는
물질
을 연료로 이용하기 때문에 이론적으로는 빛의 속도까지 가속할 수 있다. 우주 여행 직행 티켓, 웜홀웜홀은 블랙홀과 화이트홀 사이를 이어 주는 가상의 통로다. 만약 웜홀이 존재한다면 웜홀을 통과해 ... ...
투명테이프가 선물한 노벨상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빛의 98%를 통과시킬 정도로 투명하다. 또 다른
물질
과 결합할 수 있어 얼마든지 새로운
물질
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에 0.1%의 그래핀을 넣으면 열에 대한 저항성이 30% 늘어난다. 1%를 섞으면 전기가 통하는 플라스틱을 만들 수 있다.그래핀 산업화의 길을 열다이런 그래핀의 장점 ... ...
세계는 지금 특허 전쟁 중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기술은 실제로 적용될 수 있다. 기술 하나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시간과 인적,
물질
적 자원이 들어가게 마련이다. 인간의 삶과 직결된 의약품이나 식량을 보더라도 마찬가지다. 유전자재조합작물(GMO) 기업인 몬산토, 듀폰, 바스크나 GSK, 바이엘 같은 제약회사는 특허권에 사활을 걸고 있다고 ... ...
빛의 냄새 맡는 쥐가 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미국 하버드대 분자및생물학과 벤카테쉬 머피 교수는 “향기는 화학적으로 너무 복잡한
물질
이라서 향기를 이용해서는 냄새를 맡는 신경 회로를 따로 분리해 연구하기가 매우 어렵다”고 설명했다.머피 교수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탄생한 분야인 광유전학을 적용했다. 빛에 반응하는 ... ...
이전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다음
공지사항